드라마 <펜트하우스> 화면에 나타난 폭력성 연구 맥락적 요인을 중심으로

논문상세정보
' 드라마 <펜트하우스> 화면에 나타난 폭력성 연구 맥락적 요인을 중심으로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PAT지수
  • context of violence
  • mediaviolence
  • pat
  • violence index
  • 드라마의 폭력성
  • 폭력성 측정
  • 폭력의 맥락요인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22 0

0.0%

' 드라마 <펜트하우스> 화면에 나타난 폭력성 연구 맥락적 요인을 중심으로' 의 참고문헌

  • 폭력의 사회문화적 배경에 관한 탐색적 고찰
    이문웅 [1991]
  • 폭력물의 맥락적 요인이 어린이의 도덕추론과 도덕판단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TV 폭력 노출량, 폭력 성향, 성차 변인의 역할
    최이정 [2004]
  • 포스트페미니즘 드라마의 서사와 정치적 함의 ―TV드라마 <검색어를 입력하세요 WWW>를 중심으로-
    김미라 [2019]
  • 펜트하우스, 산후조리원… 여자들만의 드라마가 벌어진다
  •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폭력성 제재 분석
    김유정 [2014]
  • 텔레비전 폭력 연구
  • 텔레비전 드라마의 폭력성 묘사연구 :방송심의제재를 받은 드라마를 대상으로
    정미정 [2019]
  • 텔레비전 드라마의 직장 내 여성 관리자 및 경영자 묘사에 대한 연구
    양문희 [2005]
  • 텔레비전 드라마에 비친 한국여성상에 관한 분석
    남명자 [1984]
  • 텔레비전 드라마 <종합병원>의 담론 분석
    김응숙 [1995]
  • 케이블텔레비전 주시청시간대 프로그램의 폭력성에 관한 연구:폭력 묘사의 양과 유형을 중심으로
    이정교 [2007]
  • 케이블TV에 나타난 폭력성 연구:폭력의 맥락화를 중심으로
    하승태 [2008]
  • 첫회부터 살인·폭행·불륜… 대놓고 막장의 끝 보겠다?
  • 처음부터 무조건 세게… 드라마 첫 회 폭력적 자극적으로
  • 지상파 및 케이블 방송의 청소년 시청가 프로그램에 나타난 폭력성의 비교연구
    하승태 [2008]
  • 주시청시간대 지상파 텔레비전의 폭력성 연구폭력의 양과 유형을 중심으로
    민영 [2007]
  • 주시청시간대 지상파 텔레비전의 폭력성 연구: 폭력의 맥락적 변인을 중심으로
    하승태 [2007]
  • 욕설로 대화하는 한국 영화: 한국 청소년 관람가 영화에 나타난 폭력적 언어 분석
    김정선 [2011]
  • 여성과 매스미디어
    송유재 [1990]
  • 여성 담론생산의 장(場)으로써 텔레비전 드라마: 30대 미혼여성의 일과 사랑을 중심으로
    김훈순 [2008]
  • 막나가는 ‘펜트하우스’, 이렇게 시청률 10% 넘으면 행복할까
  • 디지털 시대 미디어 폭력 연구
    곽진희 [2004]
  • 드라마에 나타난 사랑과 분노:아침 일일 연속극 내러티브와 여성 인물 분석을 중심으로
    김수아 [2014]
  • Women watching television
  • Women and the mass media
    Butler, M. [1980]
  • Violence dressed in humor : Comedic violence in advertising
  • Trends in violent content in selected mass media
  • Traumatic victimization,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, suicidal ideation, and substance abuse risk among juvenile justice-involved youth
    Ford, J. D. [2008]
  • The"mainstreaming"of America : Violence profile number 11
    Gerbner, G. [1980]
  • The portrayal of aggression on North American television
  • The 11 myths of media violence
  • Television: A world in action
    Heath, S. [1977]
  • Television violence: Content, context, and consequences
    Aidman, A. [1997]
  • Television violence: A development of a coding scheme
  • TV드라마에 나타난 여성의 역할에 관한 연구
    오혜란 [1991]
  • TV드라마를 통해 재현된 여성의 몸 담론
    홍지아 [2010]
  • TV 폭력의 실태와 규제방안에 관한 연구
    안계춘 [1998]
  • TV 여성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
    이경자 [1986]
  • TV violence profile no. 8: The highlights
    Gerbner, G. [1977]
  • SBS 펜트하우스 폭력묘사에 “상식 파괴 연출” 법정제재 추진
  • Role of cognitive-emotional mediators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media violence on aggression
  • Responding to the screen
  • Physiological desensitization and judgments about female victims of violence
    Linz, D. [1989]
  • Perspectives on media effects
    Gerbner, G. [1986]
  • On media violence
  • National television violence study
  • Media effects: Advances in theory and research
    Gunter, B. [1994]
  • Mass media effects on violent behavior
  • Ladies of the evening: Women characters of primetime television
    Meehan, D. [1983]
  • Identification with film characters, covert aggressive verbalization, and reaction to film violence
  • Humor as camouflage of televised violence
  • Fearful expectations and avoidant actions as coeffects of perceived self-inefficacy
    Bandura , A [1986]
  • Effect of media violence “justification” on aggression
    Hoyt, J. L. [1970]
  • Dimensions of television violence
    Gunter, B. [1985]
  • Developmental differences in resonses to a television character’s appearance and behavior
    Hoffner, C. [1985]
  • Developing a model for viewer interpretations of violence
  • Deceptive appearances : Television violence and aggressive behavior
  • Children's toleration of real-life aggression after exposure to media violence: A replication of the Drabman and Thomas studies
    Molitor, F. [1994]
  • Aggressive humor as a stimulus to aggressive response
  • Adolescents and ambivalence toward marriage: A cultivation analysi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