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⋅중 실록에 기록된 소설의 개념 및 인식 -조선⋅명⋅청을 중심으로-

이지한 2022년
논문상세정보
' 한⋅중 실록에 기록된 소설의 개념 및 인식 -조선⋅명⋅청을 중심으로-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實錄
  • 小說
  • 朝鮮
  • 認識
  • 소설
  • 실록
  • 인식
  • 조선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2,858 0

0.0%

' 한⋅중 실록에 기록된 소설의 개념 및 인식 -조선⋅명⋅청을 중심으로-' 의 참고문헌

  • 청실록 조선사 관계사료 연구
    박경휘 [1993]
  • 중국소설사의 이해
  • 중국 금서소설의 정리와 연구현황
    최용철 [1996]
  • 조선·명·청 소설규제의 법률적 근거 고찰 - ‘明律’을 중심으로
    이지한 [2020]
  • 자아와 세계의 소설적대결에 관한 시론
    조동 [1974]
  • 원명청시기 금훼 소설·희곡 연구
    譚니如 [2009]
  • 영조(英祖)의 소설 애호와 그 의의
    김수영 [2016]
  • 국어의미론
    천시권 [1971]
  • 論乾隆朝小說禁毁的種族主義傾向
    胡海義 [2006]
  • 談 ≪水滸傳≫的禁毁與李青山起義
    李維東 [2018]
  • 漢書ㆍ藝文志ㆍ諸子略
  • 清代小說禁毁述略
    石昌渝 [2010]
  • 淸實錄 : 大淸歷代實錄
  • 淸前期的文字獄 (上)
    朱眉叔 [1979]
  • 水滸傳
    施耐庵 [1997]
  • 朝鮮王朝實錄
  • 明清时期"水滸傳
    陳衛星 [2013]
  • 明實錄의 刊行·收藏과 朝鮮 유입
    서인범 [2014]
  • 明實錄硏究
    謝貴安 [2013]
  • 明實錄 : 皇明實錄
  • 從清代禁毁小說看法律對文學的規制
    崔蘊華 [2013]
  • 古代小說禁書漫畵
    歐陽健 [1992]
  • 『소설신수(小説神髄)』의 역사소설론 ―지식 수용의 관점으로 본 과도기적 특징을 중심으로―
    홍성준 [2019]
  • 『新論』 : 『文選ㆍ南朝梁江文通(淹)雜體詩之二ㆍ李都尉陵』注
  • 『承政院日記』
  • https://sillok.history.go.kr
  • https://jsg.aks.ac.kr/dir/view?catePath
  • https://baike.baidu.com/ite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