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반도 통합문학의 가능성 탐색-월북 이후 이기영의 대표 작품을 중심으로-

오태호 2022년
' 한반도 통합문학의 가능성 탐색-월북 이후 이기영의 대표 작품을 중심으로-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Integrated Literature on the Korean Peninsula
  • Lee Ki-young
  • North Korean Novels
  • [Hyeonggwan]
  • gaebyeok
  • japanese colonial period
  • landreform
  • north-koreanliterature
  • {Land}
  • {Tumen River}
  • 「형관」
  • 개벽
  • 두만강
  • 북한 문학
  • 북한소설
  • 이기영(=리기영)
  • 일제강점기
  • 토지개혁
  • 한반도 통합문학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,236 0

0.0%

' 한반도 통합문학의 가능성 탐색-월북 이후 이기영의 대표 작품을 중심으로-' 의 참고문헌

  • 형관 (1)~(3), 『문화전선』 2~4집
    리기영 [1946]
  • 해방기(1945~48) 북한 문예지에 게재된 대표 단편소설 연구 -인물 형상화의 경직성과 유연성을 중심으로
    오태호 [2020]
  • 해방기 자전적 소설의 고백과 주체 재생의 플롯 ― 채만식 「민족의 죄인」, 이기영 「형관」 연구
    김민선 [2011]
  • 해방기 이기영 소설의 재정립 양상 연구 - 「농막일기」에서 「형관」까지
    김흥식 [2016]
  • 한국 근대문학을 찾아서
    최원식 [1999]
  • 프라수아 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 문화
  • 탈식민지 문학자의 소련기행과 새 국가 건설 - 1946년 조선 문학자의 소련기행을 중심으로
    배개화 [2015]
  • 조선문학통사(현대문학편)
  • 조선문학사10-해방후편(평화적민주건설시기)
    오정애 [1994]
  • 조선문학개관Ⅱ
    박종원 [1988]
  • 조선 이기영의 <땅>과 한국 채만식의 <논 이야기> 비교고찰
    임향란 [2010]
  • 재북 시기 리기영 문학의 실증적 바탕 2
    박태일 [2017]
  • 재북 시기 리기영 문학의 실증적 바탕 1
    박태일 [2017]
  • 작가 이기영, 그 치열한 삶과 문학적 진실의 수준
    김흥식 [2020]
  • 이기영-시대와 문학
    이상경 [1994]
  • 이기영의"두만강"론
    김강호 [1990]
  • 이기영의 장편소설 『땅』에 나타난 계몽 담론 연구
    박영식 [2005]
  • 이기영의 땅 연구
    김동석 [2005]
  • 이기영의 농민소설 『땅』에 나타난 북한 토지개혁의 성과
    박태상 [2000]
  • 이기영의 『땅』론
    김윤식 [1990]
  • 이기영의 『땅』 분석 : 창작방법론을 중심으로
    홍혜미 [2001]
  • 이기영의 '두만강' 서사 구조 연구
    조정래 [2017]
  • 이기영 해방 이후 소설 연구 : 북한 문예정책 및 문예이론의 원용 양상을 중심으로
    안상문 [2006]
  • 이기영 장편소설 『땅』의 개작 연구
    박영식 [2007]
  • 이기영 소설과 농촌 체험
    김한식 [2014]
  • 이기영 소설 연구
    金興植 [1991]
  • 이기영 소설 연구
    김흥식 [1996]
  • 이기영 농민소설에 나타난 쌀의 표상과 국가
    윤영옥 [2010]
  • 이기영 『땅(下)』 해설
    이상경 [1992]
  • 이기영 『두만강』에 나타나는 매개자의 변이와 그 특성
    문흥술 [2016]
  • 이기영 : 이야기꾼ㆍ리얼리즘ㆍ이데올로기
    조남현 [2002]
  • 이기영
    조남현 [2008]
  • 새로 발견된 이기영의 『기행문집』 연구 : 공산주의적 유토피아로서의 소련
    박태상 [2001]
  • 북한 문학자들의 소련기행과 전후 소련의 이식
    배개화 [2012]
  • 북조선 정전집, ‘리기영 선집’ 연구-다시, 근대문학의 경계를 생각하다-
    남원진 [2018]
  • 민촌과 광복전 그의 창작활동
    리상복 [2000]
  • 민촌 이기영의 작가세계
    권유 [2002]
  • 민촌 이기영 평전
    이성렬 [2006]
  • 민촌 이기영 문학 연구
    김상선 [1999]
  • 민족이야기의 두 양상 : 안수길의 『북간도』와 이기영의 『두만강』 분석
    신형기 [2005]
  • 문화전선
    리기영 [1946]
  • 문학대사전 2
  • 땅(제2부)(리기영선집 12)
    리기영 [1960]
  • 땅(제1부)(리기영선집 9)
    리기영 [1960]
  • 두만강(1~3부)(리기영선집 10, 11, 13, 15)
    리기영 [1964]
  • 두만강 론-항일무장투쟁에의 길
    정호웅 [1989]
  • 두만강
    김재용 [1989]
  • 李箕永
    정호웅 [1995]
  • 『땅』(이기영)의 멜로드라마적인 특성 연구
    이인표 [2021]
  • 『두만강』의 구조와 담론 특성 연구
    임옥규 [2003]
  • 『두만강』에 나타난 중국 동북지역 이주 조선인 형상의 함의
    이주미 [2019]
  • 『두만강』(이기영)의 정치적 무의식 연구
    이인표 [2021]
  • 『두만강』(1)~(2)(1~2부)(리기영선집 9, 12)
    리기영 [1955]
  • 『개벽』과 토지개혁
    남원진 [2013]
  • ‘민촌’에게 따사로이 비친 은혜로운 해빛-위대한 수령님께서 작가 리기영에게 들려주신 사랑과 배려
    리수립 [1997]
  • ‘두만강’을 통해 본 북한문학
    조남현 [1989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