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학생 또래상담 활동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

정계현 2022년
논문상세정보
' 대학생 또래상담 활동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grounded theory
  • peer counseling activity experience
  • university student peer counselor
  • 근거 이론
  • 대학생 또래상담자
  • 또래상담 활동경험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,745 0

0.0%

' 대학생 또래상담 활동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' 의 참고문헌

  • 후기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향상을 위한 또래상담 프로그램 개발
    양미진 [2020]
  • 후기청소년 또래상담프로그램 개발 : 대학생을 중심으로
    양미진 [2018]
  • 학업부진 대학생을 위한 또래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
    구진순 [2013]
  • 학교 또래상담의 정착 평가 기준에 대한 연구 -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-
    노성덕 [2007]
  • 청소년 또래상담 훈련프로그램 V
    구본용 [1998]
  • 중, 고등학교에서의 또래상담 효과검증 연구
    이상희 [2000]
  • 인생의 2막 대학생활
    권석만 [2011]
  • 솔리언또래상담 웹교재
  • 또래상담자의 또래상담 교육과 활동 경험에 대한 연구-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-
    주지선 [2014]
  • 또래상담자 훈련 프로그램 개발 연구
    구본용 [1994]
  • 또래상담
    이상희 [2010]
  • 또래 집단 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스트레스 및 학교 적응에 미치는 효과
    정은이 [2006]
  • 또래 진로 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유형 및 수준에 미치는 효과
    정은이 [2007]
  • 동료상담자에 의한 지지집단 상담 효과.
    황혜리 [2002]
  • 동료상담자 훈련경험이 내담자의 교우관계와 학교관련태도에 미치는 효과
    李恩美 [1991]
  • 동료 상담자 훈련에 관한 일 연구 : 사관생도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를 중심으로
    金光恩 [1992]
  • 대학생 또래상담자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: 대인관계 유능성을 중심으로
    손혜진 [2016]
  • 대학생 또래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및 효과요인에 관한 연구
    채유경 [2003]
  • 국내 또래상담 성과연구에 대한 메타분석
    김계현 [2004]
  • 고등학생의 또래상담 활동경험에 관한 질적 분석
    백향하 [2004]
  • 고등학교 또래상담 정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질적 분석
    노성덕 [2007]
  • Techniques et procédures de dévelop ement de la theorie enracinée
    Strauss, A. [2004]
  • Starting a college or university peer support center
  • Peer Counselor 활동에 관한 일 연구
    김정희 [1990]
  • Grounded theory research : procedures, canons, and evaluative criteria
    Corbin, J. [1990]
  • Fourth generation evaluation
    Guba, E. [1981]
  • Emerging Adulthood
  • Childhood and society
  •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: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
    Strauss, A. [1998]
  • Academic Peer Counseling : Advising with A Personal Touch