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공 플랫폼 기반 중학교 과학 교과서 해양 조석 데이터 시각화 탐구 활동 개발

논문상세정보
' 공공 플랫폼 기반 중학교 과학 교과서 해양 조석 데이터 시각화 탐구 활동 개발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Data Literacy
  • Data Visualization
  • Middle-School Science Textbook
  • Ocean Data
  • Tide
  • 데이터 리터러시
  • 데이터 시각화
  • 조석
  • 중학교과학교과서
  • 해양 데이터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407 0

0.0%

' 공공 플랫폼 기반 중학교 과학 교과서 해양 조석 데이터 시각화 탐구 활동 개발' 의 참고문헌

  • 해양에 대한 호기심과 친근감 향상을 위한 해양캠프 프로그램의 적용: 2004~2012년
    박경애 [2013]
  • 학습자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과학과 수업방법 개선 방안
    곽영순 [2012]
  • 최신 해양과학
    Alan PT [2021]
  • 진앙 위치 및 진원 깊이 결정 탐구 프로그램 개발
    엄주영 [2021]
  • 지식정보화 사회에서의 과학탐구 교육 방향성 탐색
    정대홍 [2020]
  • 중학교 과학Ⅱ
    김성진 [2019]
  • 중학교 과학Ⅱ
    김호련 [2020]
  • 중학교 과학Ⅱ
    노석구 [2019]
  • 중학교 과학Ⅱ
    노태희 [2019]
  • 중학교 과학Ⅱ
    임태훈 [2019]
  • 중학교 과학 생물의 구조와 기능 단원의 실험 및 관찰 탐구활동 내용에 대한교과서 비교 연구
    고계순 [2001]
  • 중등학교 교과서 해양 수온의 계절변화 이해를 위한 위성 해수면온도 데이터 시각화 프로그램
    이은영 [2022]
  • 조석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특성
    국동식 [1995]
  • 제7학년 과학의 조석현상 학습을위한 교재개발과 적용
    김은지 [2007]
  • 자동기상관측시스템을 활용한 실시간 기상 관측 자료 제공 웹 페이지 개발
    김용남 [2009]
  • 인지갈등 전략을 적용한 학습모듈이 중등과학 예비교사의 조석 개념변화에 미치는 영향
    조재형 [2017]
  • 상황에 따른 개념 유형의 국면 분석을 통한 중학교 과학 영재아들의 조석에 관한 정신모형 탐색
    이기영 [2006]
  • 과학·수학·정보·융합 교육 중 과학교육 종합계획 보도자료
  • 고해상도 위성자료를 활용한 과학 영재 대상 해수면 온도 산출 R&E 프로그램 개발
    장재철 [2018]
  • ‘한국의 갯벌’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: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(07년)에 이어 두 번째 자연 유산 등재 보도자료
  • ‘2022 개정 교육과정’ 총론 주요사항 보도자료
  • Visualization literacy at elementary school
    Alper B [2017]
  • The inclusion of STS material in the most frequently used secondary science textbooks in the US
  • Sea fog around the Korean Peninsula
    조양기 [2000]
  • Morphology, sedimentology and stratigraphy of Korean tidal flats-Implications for future coastal managements
    최경식 [2014]
  • Investigating aspects of data visualization literacy using 20 information visualizations and 273 science museum visitors
    Börner, K. [2016]
  • Introducing Data Science to School Kids
    Srikant, S. [2017]
  • Exploring design principles for data literacy activities to support children’s inquiries from complex data
    WolffA [2019]
  • Data visualization literacy : Investigating data interpretation along the novice—expert continuum
    Maltese AV [2015]
  • DSLR을 활용한 과학 영재 대상 천체 관측 R&E 프로그램 개발
    최동열 [2022]
  • Collaborative inquiry learning : Models, tools, and challenges
    Bell T [2010]
  • Centering complexity in ‘educators’ data literacy’to support future practices in faculty development :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
  • Better the data you know: Developing youth data literacy in schools and informal learning environments
    Deahl E [2014]
  • Active inquiry, web-based oceanography exercises
    Martin EE [2001]
  •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
  • 12학년 학생들의 조석에 관한 개념 분석
    김학성 [2007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