악장(樂章) 연구의 현황과 전망

김승우 2022년
' 악장(樂章) 연구의 현황과 전망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Akjang(樂章)
  • Asong(雅頌)
  • History of Korean Classical Poetry
  • Wolincheongangjigok(月印千江之曲)
  • Yongbieocheonga(龍飛御天歌)
  • ode
  • 송도가(頌禱歌)
  • 송축가(頌祝歌)
  • 시가사(詩歌史)
  • 아송(雅頌)
  • 악장(樂章)
  • 용비어천가(龍飛御天歌)
  • 월인천강지곡(月印千江之曲)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33 0

0.0%

' 악장(樂章) 연구의 현황과 전망' 의 참고문헌

  • 현토체악가의 시가사적 의의
    성호주 [1984]
  • 한시현토체 악장의 일고찰
    성호경 [1981]
  • 한국시가의 형태적 고찰
    김상선 [1968]
  • 한국시가연구
    최정여 [1981]
  • 한국고전시가론
    정병욱 [1977]
  • 한국 중세 정치사상과 문학: <용비어천가>와 <월인천강지곡>을중심으로
    신영명 [2006]
  • 한국 악장과 중국 樂府와의 대비
    이종찬 [1969]
  • 한국 불교시가의 구도와 전개
    김기종 [2014]
  • 한국 문학의 이해
    김흥규 [1986]
  • 하륜 악장 연구: 주제의식과 수용양상을 중심으로
    조규익 [1989]
  • 태종 조 樂調에 반영된 唐․俗樂 악장의 양상과 중세적 의미
    조규익 [2017]
  • 최항 악장 연구
    조규익 [1989]
  • 조선후기 연향의식에서의 현토체 악장 연구
    신경숙 [2006]
  • 조선후기 宴享儀式에서의 歌者
    신경숙 [2003]
  • 조선후기 <몽금척(夢金尺)> 악장 및 정재의 전승 양상
    김승우 [2019]
  • 조선초기의 악장과 불교사상
    조평환 [2000]
  • 조선초기시가론연구
    김영수 [1991]
  • 조선초기 악장체가의 연구
    이종출 [1979]
  • 조선초기 악장의 문학사적 의미: 목적문학론의 첫 대두와 그 창작적 실현
    조규익 [1988]
  • 조선초기 악장 연구: 정도전과 권근의 악장을 중심으로
    김풍기 [1994]
  • 조선초기 아송문학연구
    조규익 [1986]
  • 조선초기 공동 제작 악장 연구
    조규익 [1990]
  • 조선조 외연의 가객 공연도
    신경숙 [2012]
  • 조선조 외연의 <가자와 금슬>
    신경숙 [2011]
  • 조선조 악장의 통시적 의미 -‘태조~성종조’를 중심으로
    조규익 [2003]
  • 조선조 악장의 문예미학
    조규익 [2005]
  • 조선조 악장문학 연구 (1)
    김시황 [1987]
  • 조선조 악장, 그 역동성: 후기 연향악장을 읽는 네 가지 방법
    신경숙 [2008]
  • 조선조 악장 연구
    조규익 [2014]
  • 조선조 문인(文人)들의 보허사(步虛詞) 수용양상
    성영애 [2020]
  • 조선조 風雲雷雨 악장 연구
    조규익 [2012]
  • 조선조 社稷樂章의 성격과 의미
    조규익 [2011]
  • 조선조 外宴의 성악정재, 歌者
    신경숙 [2005]
  • 조선조 先蠶樂章 연구
    조규익 [2012]
  • 조선조 <釋奠飮福宴樂章> 연구
    조규익 [2011]
  • 조선시대 선잠(先蠶) 악장 연구
    박현숙 [2014]
  • 조선시가사강
    조윤제 [1937]
  • 조선문학사
    안확 [1922]
  • 조선 후기 연향악장의 기능과 의의
    박은빈 [2017]
  • 조선 초기 악장을 통해본 전환기의 실상
    조규익 [2006]
  • 조선 초기 樂章 演行 양상 - 受寶ㆍ夢金尺ㆍ覲天庭ㆍ受明命 -
    김종수 [2008]
  • 조선 궁중의 노래, 악장
    신경숙 [2016]
  • 정조대의 악장 정비: 「국조시악(國朝詩樂)」의 편찬을 중심으로
    송지원 [2001]
  • 정도전의 악장에 대한 일고찰
    조흥욱 [1999]
  • 정도전 악장의 문학사적 의미
    조규익 [1989]
  • 이조시대의 가요연구: 특히 초중기의 형식을 주로
    김사엽 [1956]
  • 의례와 악장, 규범을 넘어선 창발적 전략들
    신경숙 [2016]
  • 유교식 제례의 종교적 특성과 <풍운뢰우악장> 연구
    박현숙 [2011]
  • 월인천강지곡의 저경과 문학적 성격
    김기종 [2010]
  • 월인천강지곡의 문학적 연구
    조흥욱 [2008]
  • 월인천강지곡 : 훈민정음으로 불경을 노래하다
    박해진 [2021]
  • 용비어천가의 성립과 수용
    김승우 [2012]
  • 용비어천가의 단락과 구성에 대한 연구
    김승우 [2015]
  • 용비어천가(龍飛御天歌)의 재발견과 왕업(王業)의 재구성
    이왕무 [2015]
  • 용비어천가 국문 가사와 한시의 성립 순서에 대하여
    이근우 [2017]
  • 예악사상과 선초 악장소고
    김영수 [1985]
  • 영조의 기로소 입사 기념, 갑자(1744)진연 악장 -<維聖之曲>과 <於顯曲> ­존호악장의 내용과 진연에서의 전용­-
    나동숙 [2014]
  • 연산군대의 악장 개찬에 대한 연구
    김승우 [2013]
  • 연산군대(燕山君代) 여악(女樂) 확대정책의 전개 양상
    성영애 [2020]
  • 여말선초 악장의 중세적 관습 및 변이 양상
    조규익 [2014]
  • 야연의 <악가삼장(樂歌三章)> 연구
    신경숙 [2005]
  • 악장의 형태사적 고찰
    조평환 [1989]
  • 악장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
    조규익 [2003]
  • 악장으로서의 <보허사(步虛詞)>, 그 전변(轉變)에 따른 시대적 의미
    조규익 [2020]
  • 악장으로 읽어보는 효명세자의 정재 연출 의식: 순조조 무자년(1828) <연경당진작(演慶堂進爵)>의 경우
    이의강 [2005]
  • 악장에 대한 일고찰
    조평환 [1985]
  • 악장시가의 형태사적 고찰
    윤귀섭 [1967]
  • 악장서사시 <평삭방송> 연구
    윤종배 [1996]
  • 악장 표기 양상 고찰
    차순자 [1997]
  • 악장 <평삭방송(平朔方頌)>의 미학 탐색
    신두환 [2005]
  • 악장 <친사문묘송(親祀文廟頌)>의 미학 탐구
    신두환 [2006]
  • 신발굴 자료 ‘청년문고본(靑年文庫本) 『용비어천가』’(1915)에 대한 고찰
    김승우 [2017]
  • 시조와 궁중 악장의 관계
    조규익 [2006]
  • 순조조 기축(1829) 외연 악장의 성격
    신경숙 [2016]
  • 송과 고려 예종 시대의 태묘악장(太廟樂章) 비교 고찰
    김명준 [2017]
  • 소위 ‘악장’의 장르 처리 문제
    성호주 [1975]
  • 세종조 『龍飛御天歌』 補修의 정황과 실상
    김승우 [2009]
  • 세종시대 편찬물 체재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-『삼강행실도』 ⋅『명황계감』⋅『용비어천가』⋅『월인석보』의 체재를 중심으로 –
    김승우 [2018]
  • 세종대 동아시아 예악론의 인식 양상과 의례음악 정비
    송혜진 [2014]
  • 세종대 <용비어천가>의 창제배경과 음악화 과정 연구
    김세종 [2009]
  • 세종 시대 景幾體歌系 樂章 제작의 양상 - 집현전 관원의 역할을 중심으로-
    김승우 [2020]
  • 세조(世祖)의 농가(農歌) 향유 양상과 배경
    김승우 [2014]
  • 세조 조 「圜丘樂章」 연구
    조규익 [2016]
  • 세도 정치기 헌종의 궁중 연향 운용 - 헌종의 어제 악장을 중심으로 -
    김지혜 [2016]
  • 선초악장문학연구
    조규익 [1990]
  • 선초 악장의 천명론적 상상력과 정치의식
    김흥규 [2000]
  • 선초 악장의 정립과정과 그 의미
    김명준 [2007]
  • 선초 악장의 장르적 성격
    조규익 [1990]
  • 선초 악장 <납씨곡(納氏曲)>의 특징과 수용 양상
    김승우 [2016]
  • 선초 대외 악장의 성립 과정과 변모 양상 -태종과 세종 조를 중심으로-
    김명준 [2019]
  • 불교계 악장문학: 조선조 초기를 중심으로
    구사회 [1994]
  • 보렴의 양식과 삶의 자리 연구
    엄국현 [2013]
  • 변계량 악장의 문학사적 의미: 형태적 특질을 중심으로
    조규익 [1989]
  • 무악으로서의 악장 고찰
    차순자 [2001]
  • 명칭가곡 수용의 양상과 의미
    임주탁 [2009]
  • 눌재 양성지의 ‘송(頌)’에 대한 일 연구
    신두환 [2001]
  • 국어국문학연구사
    권두환 [1985]
  • 국문학사
  • 관왕묘(關王廟) 악장의 형성과 개찬의 의미 - 정조와 고종대를 중심으로 -
    김명준 [2016]
  • 관암(冠巖) 홍경모(洪敬謨)의 연향악장 개편 양상과 그 의의
    김승우 [2016]
  • 고전시가론
    성기옥 [2006]
  • 고시조와 선초의 송축가
    김상선 [1968]
  • 고시가논고
    이능우 [1966]
  • 고려 예종 대 <구실등가(九室登歌)>의 성립 배경과 악장사적 의미
    김명준 [2013]
  • 고려 말 「신찬태묘악장(新撰太廟樂章)」 연구 - 텍스트 구성양상과 그 정치・문화적 의미 -
    조규익 [2020]
  • 고려 恭愍王 대 太廟樂章의 개찬 양상과 그 의미
    김명준 [2014]
  • 고려 夜心詞의 조선 종묘제례악 전승
    정경란 [2012]
  • 계층화의 명분과 기득권 수호 의지: 선초 악장의 이중성
    조규익 [2003]
  • 경기체가계 악장 <연형제곡(宴兄弟曲)>의 제작배경과 지향
    김승우 [2016]
  • 경기체가 <화산별곡(華山別曲)>의 제작 배경과 구성
    김승우 [2016]
  • 鳳來儀 進⋅退口號의 기능적 의미와 텍스트 양상
    조규익 [2013]
  • 鮮初 <五倫歌>의 고전적 원천과 그 의미 -경기체가 <오륜가>와 시조 <오륜가>를 중심으로-
    하윤섭 [2009]
  • 頌禱 모티프의 연원과 전개양상
    조규익 [2007]
  • 韓國樂章文學硏究
    具仕會 [1992]
  • 鄭道傳 樂章의 형상적 함의와 시가사적 위상
    정무룡 [2010]
  • 記錄을 통한 [龍飛御天歌]의 原作者 辨正
    박찬수 [2011]
  • 翼宗 樂章 硏究
    조규익 [2003]
  • 朝鮮 初期 禮樂의 硏究
    崔正如 [1975]
  • 月印千江之曲의 텍스트 문제 ,
    김기종 [2006]
  • 文昭殿 樂章 硏究
    조규익 [2010]
  • 宗廟祭禮樂章 <保太平>·<定大業>의 특성과 변모 양상
    김승우 [2008]
  • 先農祭儀 악장의 텍스트 양상과 의미
    조규익 [2012]
  • 世祖의 ‘樂章’ 革新運動과 그 守成의 美學
    신두환 [2012]
  • 『조선 전기의 언어와 문학』
    김문기 [1976]
  • 『월인천강지곡』텍스트의 복원
    천명희 [2019]
  • 『월인천강지곡』의 간텍스트성
    박금자 [2000]
  • 『용비어천가約本』에 대한 연구
    김승우 [2008]
  • 『용비어천가』의 전거(典據)와 체재(體裁)에 대한 연구
    김승우 [2013]
  • 『용비어천가』 판본의 변개(變改)와 그 해석 -서지학과 국어사 연구의 관점에서-
    이호권 [2019]
  • 『용비어천가』 주해문의 ‘事見上’ 유형 고찰
    박찬수 [2016]
  • 『석보상절』의 底本과 그 성격
    김기종 [2019]
  • 『사리영응기』 소재 세종의 ‘親制新聲’ 연구
    김기종 [2014]
  • 『명황계감 (明皇誡鑑) 의 편찬 및 개찬 과정에 관한 연구
    김승우 [2014]
  • 『국연정재창사초록(國讌呈才唱詞抄錄)』을 통해 본 고종조 연향악장 정비
    성무경 [2005]
  • 『국문학신강』
    성기옥 [1985]
  • 『外進宴樂章』(1902.4)의 ‘歌詞’ 연구
    신경숙 [2013]
  • 「월인천강지곡(月印千江之曲)」의 훈민정음 활용과 연행적(演行的) 유통 양상
    사재동 [2012]
  • 「용비어천도(龍飛御天圖)」에 대한 연구
    김승우 [2008]
  • 「상대별곡」에 나타난 화자의 시선과 텍스트 미의식」
    전유재 [2012]
  • 「徽懿公主魂殿大享樂章」의 시경 텍스트 수용 양상과 의미
    조규익 [2016]
  • 「『월인천강지곡』의 인쇄사적 가치에 대한 재고찰」
    옥영정 [2018]
  • ‘월인석보’와 ‘팔상도’ 공존의 문화사적 의의
    권정은 [2014]
  • <龍飛御天歌>와 <月印千江之曲> 비교연구 -양층언어현상(Diglossia)을 중심으로-
    정소연 [2009]
  • <龍飛御天歌> 향유․수용양상의 특징과 그 의미 - <鳳來儀> 정재를 중심으로 -
    김승우 [2007]
  • <월인천강지곡>의 서사 구성 방식에 관한 연구
    김보현 [2016]
  • <월인천강지곡>의 사건전개 양상과 장르적 성격
    조규익 [2004]
  • <월인천강지곡>의 내용 특징 연구
    조흥욱 [2004]
  • <용비어천가>의 六祖 서술 양상 고찰
    박찬수 [2018]
  • <용비어천가>의 편찬과 세종의 정치적 의도
    조흥욱 [2013]
  • <용비어천가>의 창작 경위에 대한 연구: 국문가사와 한문가사 창작의 선후관계를 중심으로
    조흥욱 [2001]
  • <용비어천가>의 주해문 일고
    정무룡 [2010]
  • <용비어천가>의 제작 기반 연구 - 선행 樂章에 대한 평가와 활용 양상 -
    김승우 [2009]
  • <용비어천가>의 [시경] 수용 양상-史詩적 본질과 天命담론-
    조규익 [2018]
  • <용비어천가>와 전통 생태 담론으로서의 풍수적 사유
    조규익 [2014]
  • <용비어천가>에 나타난 주체성 고찰
    박찬수 [2019]
  • <용비어천가>에 나타난 여말선초의 영토전쟁과 변경
    최미정 [2015]
  • <구실등가>와 <용비어천가>의 비교 연구
    박기호 [2003]
  • <風雲雷雨樂章>과 동아시아 중세생태주의 담론
    조규익 [2018]
  • <月印千江之曲> 結詞의 再構 試論
    이호권 [2011]
  • <創守之曲>과 <敬勤之曲>의 樂章史的 의미
    조규익 [2009]
  • (역주)월인천강지곡
    김기종 [2018]
  • (쉽게 읽는)용비어천가 1
    윤석민 [2006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