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인의 머리뼈지수와 바위능선-정중선각을 이용한 머리뼈 형태의 분류: 사후컴퓨터단층촬영 영상을 기반으로

논문상세정보
' 한국인의 머리뼈지수와 바위능선-정중선각을 이용한 머리뼈 형태의 분류: 사후컴퓨터단층촬영 영상을 기반으로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Cranial index
  • Cranial morphology
  • Petrous ridge-midline angle
  • Post-mortem computed tomography
  • 머리뼈 형태
  • 머리뼈지수
  • 바위능선정중선각
  • 사후컴퓨터단층촬영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7 0

0.0%

' 한국인의 머리뼈지수와 바위능선-정중선각을 이용한 머리뼈 형태의 분류: 사후컴퓨터단층촬영 영상을 기반으로' 의 참고문헌

  • 제주지역거주민 머리뼈의 체질인류학적 특징
    허동진 [2008]
  • 법의부검에서 중요한 사후컴퓨터단층촬영 소견
    이수경 [2014]
  • The Measurement of Observer Agreement for Categorical Data
  • Skull indices in a population collected from computed tomographic scans of patients with head trauma
    Eskandary H [2009]
  • Optimal positioning for CT examinations of the skull base. Experimental and clinical studies
    Honda H [1987]
  • Merrill’s Atlas of Radiographic Positioning and Procedures
    Long BW [2018]
  • Lehrbuch der Anthropologie. Vol 1
    Martin R [1928]
  • Global forensic anthropology in the 21st century
    Iscan MY [2001]
  • Functional anatomy of the cerebral cortex by computed tomography
    Gado M [1979]
  • Craniometric Study in Modern Korean Adults
    Han SH [1995]
  • Anthrop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rania
    Koh KS [1999]
  • A study on national differences in identification standards for Chinese skull-image superimposition
    Lan Y [1995]
  • A comparative study of the temporal bone in three populations of man
    Schulter FP [1976]
  • 3차원 머리뼈 CT 영상과 계측학적 분석을 활용한 한국인 눈확지수와 머리뼈지수에 대한 연구
    최창운 [2020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