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로나19 발생 초기 상황에서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이용이 예방 행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

논문상세정보
' 코로나19 발생 초기 상황에서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이용이 예방 행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evaluation of the government’s response
  • preventive behavior
  • risk perception
  • use of communication channel
  • 예방 행동 참여
  • 위험지각
  • 정부의 대응에 대한 평가
  •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이용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357 0

0.0%

' 코로나19 발생 초기 상황에서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이용이 예방 행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' 의 참고문헌

  • 행위단서로서의 미디어 캠페인이 인플루엔자예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: 건강신념모델의 확장을 중심으로
    이병관 [2008]
  • 행위단서로서 광우병 관련 미디어 노출이미국산 쇠고기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: 지각된 취약성, 지각된 심각성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
    최명일 [2009]
  • 행위단서, 공포 및 정부신뢰도가 위험인식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: 원전사고 이후 일본산 수산물 섭취이슈 중심 분석
    장유진 [2016]
  • 한국인의 위험지각
    이영애 [2013]
  • 한국 언론의 신종 감염성 질환 보도 프레임 연구
  • 코로나19(COVID-19) 관련 정보이용 및 인식 현황
    이소은 [2020]
  •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의 감염 예방행동 의도에 관한 연구: 건강신념모델에 사회적 변인 적용을 중심으로
    홍다예 [2021]
  • 코로나19 성공적 대응과 국가자부심 향상: 위기를 기회로
  • 코로나19 상황·백신 접종 인식 및 정부 대응 평가 (2022년 3월 2주차)
  • 코로나19 백신수용성: 정부신뢰 요인을 중심으로
    황선재 [2021]
  • 코로나19 (COVID-19) 관련 위험정보 탐색과 처리가 코로나19 예방 행동 및 정보 공유에 미치는 영향
    박민정 [2020]
  • 지각된 위험과 자기효능감이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조절하는 낙관적 편견의 간접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: 구제역, 광우병, 신종플루 사례를 중심으로
    장정헌 [2013]
  • 의료보건 이후에 일반인 익명취재원 활용 신중해야
    김춘식 [2009]
  • 위험인식태도와 불안이 미세먼지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: RPA모델 적용을 중심으로
    고두희 [2020]
  • 위험을 수반한 과학기술의 낙인효과 :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이 방사선기술 이용 생산물에 대한위험인식과 수용에 미치는 영향
    오미영 [2008]
  • 위험소통과 정부신뢰 - 빅 데이터 감정 분석을 통한메르스 사례 분석 -
    최미정 [2018]
  • 위험성 인식의 사회적 증폭요인에 관한 연구: 언론보도와 사회적 신뢰가 광우병 위험성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
    최진식 [2009]
  • 위험사회의 의미 구성하기 : 국내 언론의 신종플루 프레이밍 방식 분석
    양정혜 [2010]
  • 위험 커뮤니케이션
    김영욱 [2014]
  •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과 지각된 지식,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이용, 제 3자 효과가 낙관적 편견에 미치는 영향 ―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
    김인숙 [2012]
  • 언론의 신종플루 보도가 대학생의예방위생 행동에 미치는 영향: 제3자 효과를 중심으로
    김옥태 [2010]
  • 신종플루 뉴스 이용 정도가 개인 및 공중에 대한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미 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: 보호동기이론을 중심으로
    김여라 [2010]
  • 시기별·정치 성향별로 달라지는 주요 키워드
    권오성 [2022]
  • 사회수준과 개인수준의 온라인 위험판단에 영향을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
    이재신 [2007]
  • 사이버범죄에 대한 미디어의존과 위험 심각성 및 주관적 지식이 예방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
    송해룡 [2014]
  • 미디어의존과 미디어 보도태도에 대한 수용자의 신뢰성 연구 - 원자력기술(발전소 포함)을 중심으로
    송해룡 [2013]
  • 미디어 정치 효과: 비개인적영향력
    Mutz, D. C. [2000]
  • 미디어 이용, 사회적 상황, 낙관적 편견이 코로나19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
    김인숙 [2021]
  • 미디어 레퍼토리, 위험특성과 위험커뮤니케이션 인식이 원자력 수용에 미치는 영향- 신뢰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-
    김영욱 [2014]
  • 문화계발이론의 ‘공명효과’ (resonance effect)에 대한 재 고찰: 위험인식에 대한 텔레비전 뉴스효과를 중심으로
    우형진 [2006]
  • 매스커뮤니케이션 통론
  • 매스미디어 노출과 메르스 예방행동 의도의 관계에서 대인커뮤니케이션의 역할:면대면 및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의 매개 및 조절효과
    유우현 [2016]
  • 매스 커뮤니케이션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청년실업에 관한 대학생의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
    차동필 [2011]
  • 대학생들의 정부신뢰 수준이 감염병 예방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: MERS(중동호흡기증후군)를 중심으로
    홍다현 [2020]
  • 대책없는 공포조성에 무력감 느끼는 시청자
    백선기 [2009]
  • 뉴미디어와 정보사회
    오택섭 [2018]
  • 검증된 사실 위주 보도와 공공성 우선한 보도 감염병 보도 역량 강화의 토대로 삼아야
    이충헌 [2022]
  • Toward a reconceptualization of communication cues to action in the health belief model : HIV test counseling
    Mattson, M. [1999]
  •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: A conceptual framework
  • The mass media and judgments of risk : Distinguishing impact on personal and societal level judgments
  • The health belief model and personal health behavior
  • The effects of SNS communication : How express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predict MERS-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in South Korea
    Yoo, W. [2016]
  • The cognitive mediation model : Factors influencing public knowledge of the H1N1 pandemic and intention to take precautionary behaviors
    Ho, S. S. [2013]
  • The Effect of Government Trust on COVID-19 Prevention Intention in Health Belief Model
    김수연 [2020]
  • Risk as analysis and risk as feelings : Some thoughts about affect, reason, risk, and rationality
    Slovic, P. [2004]
  • Preventing AIDS: Theories and methods of behavioral interventions
  • Perception of hazards : The role of social trust and knowledge
  • PROCESS macro를 이용한 매개분석·조절분석 및 조절된 매개분석
  • Mass-media-generate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s sources of information about family planning
    Valente, T. [1996]
  • Estimating the Relationships among COVID-19 Pandemic Information Channel Use, Risk Perception, and Behavioral Response : A Comparison of Personal and Collective Perceptions
    이완수 [2021]
  • A Study on the Expressions Used in COVID-19 News - Focusing on Fear and Hate Reflected in Headlines -
    손달임 [2020]
  • 2020년 메인뉴스 시청자수 JTBC 제친 TV조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