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OVID-19 팬데믹 이후 중국인 혐오표현에 대한 대학생의 주관적 인식 유형 연구

논문상세정보
' COVID-19 팬데믹 이후 중국인 혐오표현에 대한 대학생의 주관적 인식 유형 연구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COVID-19
  • Chinese Hate Speech
  • Racist Hate Speech
  • q methodology
  • q 방법론
  • 인종차별적 혐오표현
  • 중국인 혐오표현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7,311 0

0.0%

' COVID-19 팬데믹 이후 중국인 혐오표현에 대한 대학생의 주관적 인식 유형 연구' 의 참고문헌

  • 혐오표현의 실태와 대응방안
    박미숙 [2017]
  • 혐오표현의 실태와 국내 관련입법 현황
    박승호 [2019]
  • 혐오표현의 수행성과 그것에 대한 저항 : 표현을 통하여 무언가를 행하는 법
    권경휘 [2020]
  • 혐오표현의 규제에 대한 인권법적 고찰 - 국제조약상 입법화 의무를 중심으로
    한위수 [2019]
  • 혐오표현의 규제: 표현의 자유와 소수자 보호를 위한 규제대안의 모색
    홍성수 [2015]
  • 혐오표현(Hate Speech)에 관한 헌법적 고찰
    박해영 [2015]
  • 혐오표현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개발 및 적용 연구 : 초등학교 4학년사회과를 중심으로
    이승희 [2021]
  • 혐오표현 예방·대응 가이드라인 마련 실태조사: 2018년도 인권상황실태조사 연구용역보고서
    홍성수 [2018]
  • 혐오표현 실태조사 및 규제방안 연구
  • 혐오표현 규제에 대한 헌법적 이해
    이승현 [2016]
  • 혐오사회와 공존의 시민성 교육: 시민교육 수업사례를 중 심으로
    정재원 [2019]
  • 혐오 표현의 특징 및 변주 양상
    강희숙 [2018]
  • 한국에서 증오범죄의 가능성과 규제 방안
    조계원 [2017]
  • 한국사회 청년층의 사회적 배제: 청년실업문제를 중심으로
    이성균 [2009]
  • 학교 다문화교육의 현황 분석 : 연구자, 교사, 학생의 인식을 중심으로
    김동진 [2021]
  • 표현의 자유의 현대적 쟁점에 대한 헌법적 고찰 - 온라인에서의 적의적 표현행위(Hate Speech)에 대한 규제를 중심으로 -
    조소영 [2016]
  • 표현의 자유와 혐오표현규제
    김현귀 [2016]
  • 포스트 코로나 시대 다문화 시티즌십의 내용
    변종헌 [2021]
  • 트위터에서의 COVID-19와 관련된 반시민성 주제 탐색: 혐오 대상 및 키워드 분석
    김규리 [2022]
  • 코비드-19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유형:국내 언론보도 뉴스 키워드를 중심으로
    최원주 [2022]
  • 코로나19와 혐오의 팬데믹
  • 코로나 19와 이주민인권: 모니터링 결과보고
  • 코로나 19 전후 외국인 관련 혐오표현 댓글분석: 2019년과2020년도 비교
    이연호 [2020]
  • 코로나 19 이후 한국사회의 혐오 담론: 구조적 토픽 모형을 활용한 언론보도기사 분석
    이혜수 [2021]
  • 초등학생이 지각한 학급풍토가다문화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
    강하윤 [2017]
  • 청소년의 혐오표현 노출실태 및 대응 방안 연구
    김영한 [2020]
  • 청년 세대의 분노와 혐오 표현의 탄생 : 온라인 커뮤니티 <에브리타임>의 ‘혐오-언어’표현 실태 분석을 중심으로
    이종임 [2021]
  • 차별의식, 공감 그리고 대화 이성
    박해용 [2015]
  • 정치참여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유형 연구
    문세진 [2019]
  • 인종차별적 혐오표현의 민사법적 연구 : 법 비교 및 입법제언을중심으로
    신선미 [2017]
  • 인종차별적 혐오표현에 대한 일본사회의 법제도적 대응
    문연주 [2017]
  • 인종차별적 Hate Speech의 제한에 대한 입법적 검토
    정소영 [2015]
  • 이런 사회에서 대학생들이 어찌차별을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?
    오찬호 [2015]
  • 이데올로기와 문화 - 문화연구에 있어 이데올로기 개념의 중요성
    김누리 [2006]
  • 온라인 혐오표현의 확산 네트워크 분석 : 이슈 속성별 확산 패턴 및 혐오표현의 유형과 강도
    홍주현 [2016]
  • 온라인 혐오표현 규제에 관한 고찰 ― 국제인권법 관점에서 ―
    김민정 [2020]
  • 세대불평등 담론의 정치적 계보와 의미론 : ‘386’ 담론 의 구조와 변화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, 1990~2019년.
    신진욱 [2020]
  • 사회심리학
    Aronson, E. [2015]
  • 사회과교육에서 혐오표현 관련 교육에 관한 시론
    구정화 [2018]
  • 사이버 혐오 표현의 실제와 규제 방향
    박태순 [2014]
  • 사이버 공간의 매체적 특성과 사회적 영향에 대한 연구 사이버공간의 자유와 규제를 중심으로
    박성호 [2003]
  • 동성애에 대한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태도 관련요인 연구
    이봉재 [2006]
  • 데이비드 흄: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
    이준호 [2005]
  • 대학생의 잠재된 차별의식 드러내기 - 차별대상과 편견 성찰에 대한 질적 연구 -
    임윤서 [2016]
  • 대학생 커뮤니티의 혐오표현 양상: C대학 에브리타임 핫게시물을 중심으로
    최유숙 [2019]
  • 단일민족의식이 다문화 한국사회의 인종계층화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 함의
    하진기 [2018]
  • 단일민족사관의 사회사적 형성과 다문화교육의 방향 탐색
    강창동 [2010]
  • 단일민족과 다문화주의 사이에서 북한 바라보기 - 고정된 역사 속에서의 타자화 현상을 중심으로
    천경효 [2015]
  • 다문화교육에서 인종 및 반(反)차별 담론과 이슈 분석: 영국 레스터(Leicester) 시(市) 다문화 평생교육 사례를 중심으로
    김진희 [2016]
  • ‘이행기’ 청년의 문제설정과 삶의 진로에 대한 연구
    강정석 [2015]
  • hate-speech 등 인종주의적 혐오표현에 대한 법적 규제의 동향 과 시사점
    노재철 [2016]
  • Words that wound: Critical race theory, assaultive speech, and the first amendment
  • The study of behavior;Q-technique and its methology
  • Spirit-Murdering the Messenger : The Discourse of Finger pointing as the Law’s Response to Racism
  • Soul of Society: A Focus on the Lives of Children & Youth
    Oksanen, A. [2014]
  • Q 방법론을 활용한 연구에 대한‘무관용 원칙’에 대한 인식
    김남이 [2015]
  • Q 방법론-과학철학, 이론분석 그리고 적용
    김흥규 [2008]
  • Mobile strategies in political communication
    Pick, C. Y. [2010]
  • Making Choic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: Five Approaches to Race, Class and Gender
    Sleeter, C. [2009]
  • Hate Crimes:Understanding and Defining Hate Crimes
    Levin, B. [2009]
  • European regulation of cross-border hate speech in cyberspace:The limits of legislation
    Banks, J. [2011]
  • Cyber hate speech on twitter : An application of machine classification and statistical modeling for policy and decision making
    Burnap, P. [2015]
  • Changes in Perception of Cultural Diversity in COVID-19 Era
    설진배 [2021]
  •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
  • 2020년도 서울시 청년 인권의식 및 혐오표현실태조사
  • 2019년 혐오표현 국민인식조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