규암 송인수의 귤림서원 배향과 제주교육사적 의미

강동호 2022년
논문상세정보
' 규암 송인수의 귤림서원 배향과 제주교육사적 의미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Enshrined in Seowon.
  • Governor of Jeju
  • Gyulim Seowon
  • Jeju Ohyun
  • Kyuam Song In-su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9 0

0.0%

' 규암 송인수의 귤림서원 배향과 제주교육사적 의미' 의 참고문헌

  • 한국유학사상대계 Ⅴ-敎育思想編
    정순우 [2006]
  • 집권세력의 갈등을 통해 본 중종대의 정치구조- 金安老의 권력 강화과정을 중심으로 -
    차주영 [2007]
  • 조선유학의 개념들
    이승환 [2002]
  • 조선시대 제주지역 문과 운영의 실제에 관한 연구
    강동호 [2021]
  • 조선 시대 서원과 양반
    윤희면 [2004]
  • 제주지역 유교 지식(知識)・문화(文化)의 수용 양상과 ‘제주학풍(濟州學風)’ 주자학적 예교론(禮敎論)과 사림파 학풍의 유입을 중심으로
    김학수 [2020]
  • 제주오현 규암 송인수의 수기치인 공부론과 교육실천에 관한 연구
    강동호 [2021]
  • 제주삼읍교학사료집
    김치홍 [2003]
  • 역주 규암선생문집
    송인수 [2014]
  • 서원의 사회사
    정순우 [2013]
  • 동계(桐溪) 정온(鄭蘊) 서원배향(書院配享)의 제주교육사적 의미
    양진건 [2010]
  • 교육사
    조화태 [2016]
  • 退溪集
  • 耽羅誌草本(下)
    李源祚 [2008]
  • 耽羅誌草本(上)
    李源祚 [2007]
  • 耽羅志
    李元鎭 [2002]
  • 知瀛錄
    李益泰 [2002]
  • 濟州 五賢의 敎學活動 硏究
    양진건 [1988]
  • 浮查集
  • 林白湖集
  • 朝鮮王朝實錄
  • 大東野乘
  • 『한국서원교육제도연구』
    정순목 [1980]
  • 『증보 제주통사』
    김봉옥 [2001]
  • 『조선의 서원』
    이호일 [2006]
  • 『제주유림육백년사』
  • 『새로 쓰는 제주사』
    이영권 [2005]
  • 『민족문화대백과사전』
  • 『귤림서원』
    강문종 [2019]
  • 『韓國儒學論究』
    윤사순 [1980]
  • 『武陵雜稿』
  • 『書院謄錄』
  • 『宋子大全』
  • 『圭菴集』
  • 『乙巳傳聞錄』
  • 「조선시대의 학령(學令) 및 학규(學規)」
    박종배 [2006]
  • 「조선시대 제주유배인 실태분석과 특징」
    김재형 [2011]
  • 「조선시대 제주유배교육사 연구」
    강동호 [2013]
  • 「규암 송인수의 학문과 의리정신의 구현」
    안동교 [2018]
  • 「규암 송인수의 사후 평가와 추숭활동」
    이해준 [2007]
  • 「朝鮮時代濟州敎育思想史硏究」
    양진건 [1991]
  • 「學規에 나타난 조선시대 서원교육의 이념과 실제」
    박종배 [2010]
  • 「16세기 조선 성리학의 성격 변화와 서원의 교학이념」
    김창욱 [2000]
  • ,《增補文獻備考》,