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『조선왕조실록』의 기초적 수량 분석

이민우 2022년
'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『조선왕조실록』의 기초적 수량 분석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digital history
  • distant reading
  • quantitative analysis
  •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
  • the joseon dynasty
  • 「조선왕조실록
  • 디지털 역사학
  • 멀리서 읽기
  • 수량 분석
  • 조선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833 0

0.0%

'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『조선왕조실록』의 기초적 수량 분석' 의 참고문헌

  • 후대가 판단케 하라-조선실록의 수정과 개수
    오항녕 [2018]
  • 파이썬으로 텍스트 분석하기
    윤태일 [2018]
  • 토픽모델링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<亂中日記> 텍스트 연구
    정성훈 [2021]
  • 조선왕조 ‘실록학’의 정립을 향하여
    정긍식 [2018]
  • 언어학과 기계 번역-한문학 텍스트의 기계 번역과 관련하여
    정성훈 [2019]
  • 실록이란 무엇인가 : 조선 문명의 일기
    오항녕 [2018]
  • 멀리서읽기: 세계문학과 수량적 형식주의
  • 디지털 역사자료의 구축과 표준
    주성지 [2008]
  • 그래프, 나무, 지도: 문학사를 위한 추상적 모델
  • 교육부 국사편찬위원회_조선왕조실록 정보_실록원문_10/28/2021(공공데이터포털에서 다운로드)
  • 교육부 국사편찬위원회_조선왕조실록 정보_부가정보 인물 데이터_10/28/2021(공공데이터포털에서 다운로드)
  • 『한국문집총간』 엔그램 분석 프로그램 개발 연구
    이병찬 [2020]
  • 『조선왕조실록』 연구의 현황
    강문식 [2015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