창의공학적 문제해결성향에 기여한 과학-공학 융합수업의 특성

논문상세정보
' 창의공학적 문제해결성향에 기여한 과학-공학 융합수업의 특성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degree centrality
  • engineering design
  • science-engineering integrated education
  • semantic network analysis
  • 공학설계
  • 과학-공학 융합 수업
  • 언어 네트워크 분석
  • 중심도 분석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691 0

0.0%

' 창의공학적 문제해결성향에 기여한 과학-공학 융합수업의 특성' 의 참고문헌

  • 프로젝트 기반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
    이상균 [2013]
  •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: 사회적 인식 네트워크(socio-cognitive network) 분석을 통한 정책이해관계자 간 공유된 의미 파악 사례
    박치성 [2013]
  • 융합인재교육(STEAM)을 위한 창의적 공학문제해결 성향 검사 도구 개발
    강주원 [2016]
  • 융합인재교육(STEAM) 실행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
    백윤수 [2012]
  • 손에 잡히는 STEAM 교육
  • 미래세대를 위한 과학 융합교육
    남윤경 [2022]
  • 미국의 STEM 교육 정책과 한국의 STEAM 교육 정책의 비교
    김민철 [2013]
  • 국내 융합인재교육(STEAM)의 연구 동향 분석 -2011~2016을 중심으로-
    최은영 [2017]
  • 과학·공학 융합 수업 준거틀 및 공학 설계 수준 제안
    남윤경 [2020]
  • 공학설계기반 과학수업에서 성별과 공학설계 단계에 따른 학습자들의 융합적 문제해결력및 상의성, 창의성 자기인식의 변화
    이동영 [2022]
  • 공학설계 측면에서 한국 STEAM 프로그램 분석틀 제안
    이동영 [2018]
  • The impact of Engineering Integrated Science (EIS) curricula on firstyear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’ attitudes-toward science and perceptions of engineering
    Nam, Y. [2016]
  • STEM, STEAM 교육과 우리나라 융합인재교육의 이해와 해결 과제
    심재호 [2015]
  • STEAM 프로그램 효과성 제고 및 현장활용도 향상 기본연구
    박현주 [2014]
  •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: For states, by states
  • Massachusetts science and technology/engineering curriculum framework
  • Infusing engineering design into high school STEM courses
    Hynes, M. [2011]
  • Handbook of design research methods in education: Innovations in science, technology, engineering, and mathematics learning and teaching
  • Graduate STEM education for the 21st century
  • Engineering in K-12 education : Under standing the status and improving the prospects
  • Developing assessments for the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
  • Bridging the gap between engineering design and PK-12 curriculum development through the use the STEM education quality framework
    Pinnell, M. [2013]
  • An algorithm for drawing general undirected graphs
    Kamada, T. [1989]
  • A high-quality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achers of grades 3-6 for implementing engineering into classrooms
  • A framework for quality K-12 engineering education : Research and development
  • A curricular framework for integrated STEM
    Roehrig, H. [2017]
  • A Framework for K-12Science Education: Practices, Crosscutting Concepts, and Core Ideas
  • 2020 과학교육 종합계획
    교육부 [2020]
  • 2015 개정 과학 교사용 지도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