『유식이십론』과 유식성 개념의 변화_『섭대승론』과『유식이십론』을 중심으로_

이길산 2022년
논문상세정보
' 『유식이십론』과 유식성 개념의 변화_『섭대승론』과『유식이십론』을 중심으로_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*Mahāyānasaṁgraha
  • Critique of materiality
  • Viṁśikā
  • Yogācāra-Vijñānavāda
  • vasubandhu
  • vijñaptimātratā
  • 『섭대승론』
  • 『유식이십론』
  • 물질성 비판
  • 바수반두
  • 유가행 유식학파
  • 유식성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55 0

0.0%

' 『유식이십론』과 유식성 개념의 변화_『섭대승론』과『유식이십론』을 중심으로_' 의 참고문헌

  • 「유식이십론」에서의 artha와 viṣaya에 대한 고찰
    박현수 [2013]
  • 「유식이십론」 연구 : 관념론적 해석을 중심으로
    이길산 [2021]
  • 짠드라끼르띠의 ‘유심’(Cittamātra) 해석과 ‘유식’(vijñaptimātra) 비판
    김현구 [2014]
  • 이십론주의 대론자는 누구인가? - 대론자 문제를 통해서 본 『유식이십론』 -
    이길산 [2022]
  • 유식학파의 실재ㆍ형상ㆍ존재에 관한 논리학적 논증
    박기열 [2022]
  • 유식불교, 「유식이십론」을 읽다
  • 유식과 유가행
  • 세친의 극미론
    이규완 [2018]
  • 섭대승론 - 증상혜학분 연구
    김성철 [2008]
  • 가상현실을 통한 불교이론의 재검토
    강형철 [2017]
  • 摂大乗論 : 和訳と注解 下
  • 摂大乗論 : 和訳と注解 上
  • 唯識二十論ノート(3)
  • 唯識二十論ノート(1)
  • 世親唯識の原典解明
    山口益 [1965]
  • 『십지경』 ‘삼계유심’구에 대한 유가행파와 중관학파의 해석
    김성철 [2016]
  • Ālambanaparīkṣā 제1송 해석의 문제
    김성옥 [2018]
  • Waking, dreaming, being : self and consciousness in neuroscience, meditation, and philosophy
  • Vasubandhus Viṁśatikā 1–2 anhand der Sanskritund tibetischen Fassungen
  • The Genesis of Yogācāra-Vijñānavāda - Responses and Reflections
  • The Buddhist doctrine of momentariness : a survey of the origins and early phase of this doctrine up to Vasubandhu
  • The Buddhist Theory of Self-Cognition
  • Studies in Yogācāra-Vijñānavāda idealism I: The interpretation of Vasubandhu’s Viṁśikā
  • Sprituelle Praxis und philosophische Theorie im Buddhismus
  • Sautrāntika-Voraussetzungen in Viṁśatikā und Triṁśikā
  • Perception
  • Mind Only - A Philosophical and Doctrinal Analysis of the Vijñānavāda
  • Matériaux pour l’étude du système Vijñaptimātra
  • Materials Toward the Study of Vasubandu’s Viṁśikā (I) - Sanskrit and Tibetan Critical Editions of the Verses and Autocommentary, An English Translation and Annotations (Harvard Oriental Series 81)
  • In clear words - the Prasannapadā, chapter one
  • Embassy of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vol. II
  • Buddhism as Philosophy
  • A Study of Sataimira in Dignāga's Definition of Pseudo-Perception (PS 1.7cd-8ab)
    Chu, Junjie [2004]
  • (上座)슈리라타와 經量部 사상
    권오민 [2019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