장·노년층 소비자의 디지털 기기 사용 어려움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

논문상세정보
' 장·노년층 소비자의 디지털 기기 사용 어려움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Digital devices
  • Digital divide
  • Elderly consumers
  • Grounded theory
  • Paradigm model
  • 근거 이론
  • 디지털 격차
  • 디지털 기기
  • 장·노년 소비자
  • 패러다임 모형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,605 0

0.0%

' 장·노년층 소비자의 디지털 기기 사용 어려움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' 의 참고문헌

  • 키오스크 이용 시 시니어의 시선이동 분석 연구 : 아이트래커를 활용하여
    양여름 [2020]
  • 키오스크 서비스 실패: 시니어들의 부정적인 키오스크 이용 경험을 중심으로
    김효정 [2021]
  • 지능정보사회에서의 디지털 정보격차와 과제
    이기호 [2019]
  • 지능정보사회에서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: 미래 지능정보기술의 인지와 태도를 중심으로
    최아름 [2020]
  • 중․고령층 교육 시스템 개발을 위한디지털 포용의 방향성 연구: 무인주문결제 키오스크를 중심으로
    윤예진 [2021]
  • 정보격차의 패러다임 전환과 지적 정보격차
    이승민 [2020]
  • 장노년층의 모바일기기 이용능력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: 모바일기반 생활서비스 이용수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
    신승윤 [2019]
  • 장노년층의 디지털기기 이용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: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매개효과
    김수경 [2021]
  • 장노년층 정보화 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: 디지털 역량과 삶의 질을 중심으로
    김영대 [2017]
  • 장·노년층의 성공적 노화와 정보화교육 유용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: 서울자유시민대학 사례를 중심으로
    정용균 [2019]
  • 장·노년층의 디지털 정보격차 영향요인: 베이비붐 세대와 노인세대의 비교를 중심으로
    임정훈 [2020]
  • 우리는 노년층의 스마트폰 이용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가?: 노년층 내에서의 디지털 격차 결정요인
    김지현 [2020]
  • 온라인 교육 수용 환경에서 시니어들의 디지털 행동 이해: 근거이론 적용
    장현용 [2020]
  • 어린이의 스마트폰 이용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연구 - 스마트폰 이용을 통한 부정적 경험과 극복전략을 중심으로
    황슬하 [2014]
  • 스마트폰 중독 연구 : 근거이론 접근법을 활용한 중독위험군의 특성 도출을 중심으로
    권상희 [2016]
  • 사회적 지지가 고령층의 디지털정보활용에 미치는 영향: 디지털 이용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
    고정현 [2020]
  • 사회적 관계 만족도를 매개로 한 노년기 인터넷 이용과 우울 간의 구조모형 분석 : 서울시 독거노인을 대상으로
    전혜정 [2015]
  •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연결망 형성과 유형에 대한 근거 이론 연구
    염유식 [2011]
  •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: 근거이론적 접근
    장연주 [2013]
  • 모바일 디바이드 세대 격차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
    박종서 [2021]
  • 디지털 활용 격차와 결과 격차: 디지털 활용 능력과 정보적 지지를 중심으로
    이숙정 [2014]
  • 디지털 정보격차 수준에 따른 소비자유형 연구
    백지연 [2022]
  • 디지털 정보격차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
    고정현 [2021]
  •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격차의 세부요인 분석- 세대와 경제수준을 중심으로
    안정임 [2014]
  • 디지털 리터러시가 노년기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
    임주희 [2020]
  • 노인집단내 정보격차와 그에 따른 삶의 만족도 연구: 가구구성형태 효과를 중심으로
    황현정 [2017]
  • 노인의 일상생활에서의 인터넷 활용 경험과 그 의미에 관한 질적 연구
    권중돈 [2012]
  • 노인의 스마트폰 이용이 생활만족도, 우울, 사회활동 및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
    김명용 [2018]
  • 노인의 가구유형에 따른 정보 활용과 삶의 질과의 관계
    전병주 [2016]
  • 노인들의 미디어 리터러시가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: 미디어에 대한 접근⋅통제능력과 사회적 소통능력을 중심으로 장년층과의 비교 연구
    김경희 [2020]
  • 고령층의 정보 활용수준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
    김판수 [2014]
  • 고령층을 위한 패스트푸드점 AI 음성인식 키오스크 인터페이스의 사용성 비교 평가
    김유빈 [2022]
  • 고령장애인의 모바일 사회참여 영향요인 연구 - 청장년장애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
    노승현 [2021]
  • 고령자의 정보활용 행태에 관한 연구:정보화인식을 중심으로
    명승환 [2010]
  • 고령자의 은행자동화기기(ATM) 사용에 대한 근거이론적 분석
    정주연 [2015]
  • 고령자의 디지털기기 사용성 개선을 위한 Micro Interaction을 적용한 UI 설계에관한 연구
    오건영 [2021]
  • 고령자를 위한 태블릿 기반 운전 상황인식시스템 개발
    조현서 [2018]
  • 고령자를 고려한 스마트폰 UI 디자인 방향에 관한 연구 - 고령자의 스마트폰 사용 경험 모델링을 중심으로 -
    김현정 [2013]
  • 개인의 특성이 스마트 디바이스 이용성과에 미치는 영향 : 모바일 정보격차 조절효과를 중심으로
    설중호 [2018]
  • “질적 정보격차와 인터넷 정보이용의 영향요인고찰: 이용자의 디지 털 리터러시, 인식,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”
    송효진 [2014]
  • The third-level digital divide: Who benefits most from being online?.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annual
  •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: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
  • The digital divide has grown old : Determinants of a digital divide among seniors
    Friemel, T. [2014]
  • The digital divide
  • The Third Digital Divide : A Weberian Approach to Digital Inequalities
  • Reconsidering political and popular understandings of the digital divide
    Selwyn , N. [2004]
  • Race, gender, and information technology use : The new digital divide
  • Internet use and social networking among middle aged and older adults
  • Individual difference predictors of ICT use in older adulthood : A study of 17 candidate characteristics
  • He explained it to me and I also did it myself : How older adults get support with their technology uses
  • Gender and age differences in employee decisions about new technology : An extension to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
  • Falling through the net: A survey of the "have nots" in rural and urban America
  • Digital informatization level and health satisfaction among elderly people: correlation and analysis of the influencing factors-Based on the 2017 Digital Divide Survey
    Kim, H. J. [2019]
  • Conceptualizing and testing a social cognitive model of the digital divide
    Wei, K. K. [2011]
  •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: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
    Strauss, A. [1998]
  • 2021 인터넷이용실태조사 보고서
  • 2021 디지털정보격차실태조사 보고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