생애 불안정 노동 이력, 젠더와 연금급여의 관계 분석

' 생애 불안정 노동 이력, 젠더와 연금급여의 관계 분석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Labour market segregation
  • Old-age pension
  • Precarious work. Lifetime work history
  • gender
  • koreanretirementandincomestudy
  • 국민노후보장패널
  • 노령연금
  • 분절노동시장
  • 불안정 노동
  • 생애노동이력
  • 젠더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2,087 0

0.0%

' 생애 불안정 노동 이력, 젠더와 연금급여의 관계 분석' 의 참고문헌

  • 한국의 성별 임금격차: 차이와 차별
    신광영 [2011]
  • 한국의 불안정 노동자
    이승윤 [2017]
  • 한국 이중노동시장과 노후소득보장제도의 이중화: 공적연금개혁안 시뮬레이션 분석
    이승윤 [2019]
  • 한국 노후소득보장수준의 국제비교: 가설적 위험 인구 집단 추정 방식을 중심으로
    정창률 [2012]
  • 한국 노동시장의 젠더불평등과 성별 연금격차 - 노동시장에서의 차이와 차별을 중심으로 -
    이다미 [2017]
  • 한국 노동시장 내 직종의 여성화와 성별 임금격차:가치절하 기제의 성별화된 임금효과
    조수철 [2020]
  • 한국 노동시장 구조의 변화와 정책 평가
    전병유 [2019]
  • 취약계층 근로자의 고용보험·국민연금 적용실태와 개선방안
    황덕순 [2003]
  • 청년실업 경험과 연금수급권
    강성호 [2013]
  • 청년세대 내 불안정성은 계층화되는가?: 청년불안정노동의 유형과 세대내 격차 결정요인
    이승윤 [2022]
  • 청년기 여성의 일자리 안정성에 대한 코호트 비교분석
    장지연 [2020]
  • 중년 여성의 국민연금 가입 현황 및 결정요인 분석
    강소랑 [2014]
  • 중·고령자의 생애 주된 일자리의 노동시장 상태가 빈곤결정에 미치는 효과
    김재호 [2014]
  • 중 고령층의 국민연금제도에 대한 이해도와 국민연금가입에 관 한 연구: 남성과 여성의 비교를 중심으로
    김혜진 [2016]
  • 주요국 고용안전망의 현황과 시사점
    이승윤 [2020]
  •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사회보장 개혁: 플랫폼 노동에서의 사용종속관계와 기본소득
    서정희 [2017]
  • 적정 노후소득수준에 대응한 공․사적 연금소득원 추정
    강성호 [2012]
  • 적정 노후보장을 위한 공적연금 개혁방안: 기초연금, 국민연금의 역할 정립
    주은선 [2022]
  • 서비스경제와 한국사회의 계급, 그리고 불안정 노동 분석
    백승호 [2014]
  • 생태적 전환을 위한 ‘참여소득’의 가능성: 기본소득, 보편적 기본서비스, 일자리보장제와의 비교
    이승윤 [2021]
  • 사회보험의 법적 사각지대 : 임금근로자 적용제외 규정과 규모의 변화
    서정희 [2014]
  • 비표준적 형태의 일과 사회보장개혁의 남아있는 과제들
    백승호 [2021]
  • 비정규 고용과 국민연금 사각지대
    권혁진 [2012]
  • 불안정 노동자의 노후소득보장: 연금유형에 따른 불안정 노동자의 연금소득 시뮬레이션 분석
    김윤영 [2020]
  • 불안정 노동이 국민연금 노후소득 보장기능에 미치는 영향
    신우진 [2016]
  • 불안정 노동의 확대와 복지국가 혁명
    백승호 [2018]
  • 복지국가의 탄생, 그리고 연금개혁의 방향
    김연명 [2022]
  • 두 불평등 이야기: ‘직종 간 불평등’과 ‘직종 내 불평등’으로 검토한 노동시장에서의 성 불평등
    염유식 [2021]
  • 노동시장과 연금제도의 구조가 노인소득안정에 미치는 결합요인에 관한 연구
    최영준 [2013]
  • 노동시장 구조가 사회보험 배제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
    김수완 [2009]
  • 금융위기 이후 성별 임금 격차 변화 분석: 분위별, 연령대 코호트별 성별 임금 격차
    김수현 [2021]
  • 국민연금의 성별격차:남녀 간 노령연금 수급액 차이를 중심으로
    유희원 [2016]
  • 국민연금 적용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정책과제
    김혜진 [2020]
  •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
  • 국내 중, 고령자의 공·사적 연금격차에 관한 연구: 근로유형별 비교 분석을중심으로
    김경아 [2012]
  • 공적연금 잠재적 사각지대 집단의 일자리 경력: 50대 공적연금 가입자의 일자리 경력에 따른 납부 행태
    최옥금 [2010]
  • 고용관계 변화와 사회복지 패러다임 연구
    황덕순 [2016]
  • 결합노동시장지위와 임금불평등의 확대(2004∼2015년)
    이철승 [2017]
  • 건강보험 지역가입자의 가입자 지위 전환 요인에 관한 연구
    배지영 [2012]
  • ‘불안정노동-자영업-연금제도배제’ 경로 탐색 -자영업 이행 이후 연금보험료 납부시간 연구
    김창오 [2015]
  • The consequences of non-standard working and marital biographies for old age income in Europe: Contrasting the individual and the household perspective
  • The Politics of the New Welfare State
  • The New Pension Mix in Europe: Recent reforms, their distributional effects and political dynamics
    Natali, D. [2017]
  • The Age of Dualization : The challenging face of inequality in deindustrializing societies
  • Pensions at a glance 2019
  • Markov 전환율을 활용한 자영업자 생애근로유형별 연금소득대체율 추정
    강성호 [2018]
  • Labour market flexibility and pension reforms : Flexible today, secure tomorrow?
  • Inequalities and poverty risks in old age across Europe: The double-edged income effect of pension systems
  • Female outsiders in South Korea’s dual labour market: Challenges of equal pay for work of equal value
    Lee, S. [2020]
  • Employment histories and pension income in Europe
  • A Long Goodbye to Bismarck? The Politics of Welfare Reforms in Continental Europe
    Palier, B. [2010]
  • 2019년 12월말 기준 국민연금 통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