어린이집 공공성 강화를 위한 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의 인식과 경험 탐색

논문상세정보
' 어린이집 공공성 강화를 위한 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의 인식과 경험 탐색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child-careteacher
  • childcare centers
  • childcare director
  • fgi
  • publicness
  • 공공성
  • 보육교사
  • 어린이집원장
  • 초점집단면접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2,152 0

0.0%

' 어린이집 공공성 강화를 위한 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의 인식과 경험 탐색' 의 참고문헌

  • 한국의 보육공공성과 ‘제3의 보육체계’ - 서울형어린이집을 중심으로 -
    안현미 [2011]
  • 표준국어대사전.
  • 제3차 중장기 보육 기본계획(2018~2022)
  • 유아교사론
    박은혜 [2019]
  • 우리나라 보육정책 변천과정에서 살펴 본 보육공공성.
    백은영 [2012]
  • 영유아보육법
  • 영유아보육․교육에서의 공공성의 의미 탐색
    김희연 [2013]
  •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 : OECD 국가를 대상으로
    홍성희 [2021]
  • 어린이집 운영의 공공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
    양미선 [2014]
  • 어린이집 운영의 공공성에 대한 인식 연구
    정혜원 [2021]
  • 어린이집 설치와 인가 기준의 변화 및 보육의 공공성
    조성연 [2013]
  • 사회서비스원은 공공성을 강화하는가?: 사회서비스원 시범사 업 초기성과 분석
    양난주 [2020]
  • 보육의 공공성 확보와 충청남도의 노력
    최은희 [2015]
  • 보육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정책
    백선희 [2011]
  • 보육 공공성 강화를 위한 중앙-지방정부간 책임성 진단 및 개선방안 연구
    안현미 [2017]
  • 보육 공공서비스 질 제고를 위한 보육평가과정 개선방안과 정책적과제
    이성은 [2019]
  • 보건복지부보육통계(국가승인통계 제15407호, 어린이집 및 이용자 통계)
  • 민간어린이집 보육재정지원에 관한 쟁점 연구 - 어린이집 재무회계규칙 논의의 배경을 중심으로 -
    장영인 [2015]
  • 교육 공공성의 개념 체계와 정립 원리
    성병창 [2007]
  • 공공성 강화는 어떻게 실현되는가
    강정원 [2017]
  • The Necessity and Challenges to Strengthen Communityism Orientation in Community-Based Welfare Organizations - Expanding publicness discourse and changing social service model -
    김용득 [2019]
  • Parenting as apublic problem in a neoliberal era: A changing regime in France?
    Martin, C. [2017]
  • Naturalistic inquiry
  • Issues on the Policy of Expanding National Childcare Centers to Reinforce the Public Interest of Childcare
    정효정 [2018]
  • Integrative publicness : A framework for public management strategy and performance
    Bozeman, B. [2011]
  • How to use qualitative methods in evaluation
  • Grandparenting and mothers’ labour force participation: A comparative analysis using the Generations and Gender Survey
  • Focus groups: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
  • Analysis of the meaning of learning community experiences of childcare center teachers: Focusing on changes in teacher perception and practice following the application of the 4th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
    서혜전 [2021]
  • A study of The Publicness evaluation on social services organizations
    양성욱 [2013]
  • A Study on the Process of the Daycare Policy Change in Korea
    정우열 [2020]
  • A Study on the Collaboration of Public and Private Sector for Public Childcare: Focused on the Implications of German Corporatism
    장영인 [2021]
  • 2013-2017 보육 중장기 발전방향
    이미화 [2012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