의원의 서사로 본 조선 후기 의료의 사회문화적 풍경

이기복 2022년
' 의원의 서사로 본 조선 후기 의료의 사회문화적 풍경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Clinical Encounter
  • Diseases as Contingent Incidents
  • Doctors as Agents of Medical Practice
  • Emotion-Induced Diseases
  • Late Chosŏn Period
  • Medical Body
  • Medical Case Histories
  • Medical Practice as Social Process
  • Medical Self
  • Medical Tools
  • Patient-Doctor Relationship
  • Patients as Actors of Medical Process
  • Socio-Cultural Landscape
  • 사회-몸-질병의 혼종체로서의 칠정상
  • 사회문화적 풍경
  • 사회적 과정으로서의 의료
  • 실행의 주체인 의사
  • 우연적 사건으로서의 질병
  • 의료과정의 행위자인 환자
  • 의안
  • 의학적 몸
  • 의학적 자아
  • 자연물/기술의 변주인 도구
  • 조선후기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421 0

0.0%

' 의원의 서사로 본 조선 후기 의료의 사회문화적 풍경' 의 참고문헌

  • 호환, 마마, 천연두: 병의 일상 개념사
    신동원 [2013]
  • 한의학에 미친 조선의 지식인들: 유의열전(儒醫列傳)
    김남일 [2011]
  • 한의원의 인류학
    김태우 [2021]
  • 판소리 <수궁가> 醫學記事에 내포된 역사성과 조선후기 민중 의학지식의 보급 -김연수 창본 수궁가의 사설을 대상으로-
    안상우 [2010]
  • 죽소부군일기
    권별 [2012]
  • 조성당일기
    김택룡 [2010]
  • 조선후기 통신사와 한일 의학교류: 필담록을 중심으로
    김호 [2008]
  • 조선후기 의약생활의 변화: 선물경제에서 시장경제로-미암일기, 쇄미록, 이재난고, 흠영의 분석
    신동원 [2006]
  • 조선통신사 사행원과 기록 연구 -18세기 사행록과 의학문답 기록을 중심으로-
    함정식 [2007]
  • 조선전기의 역병 유행에 관하여
    권복규 [1999]
  • 조선의약생활사: 환자를 중심으로 본 의료 2000년
    신동원 [2014]
  • 조선의 중인들: 정조의 르네상스를 만든 건 사대부가 아니라 ‘중인’이었다
    허경진 [2015]
  • 조선의 명의들
    김호 [2007]
  • 조선의 뒷골목 풍경
    강명관 [2003]
  • 조선시대 지방의료의 성장 :관 주도에서 사족 주도로, 사족 주도에서 시장 주도로―강릉 약계(1603~1842)의 조직과 해소를 중심으로―
    신동원 [2006]
  • 조선시대 제주의 주변성과 의료
    김호 [2020]
  • 조선시대 왕들의 질병치료를 통해 본 의학의 변천
    김정선 [2005]
  • 조선 후기 의학 지식 구성 및 실행 방식의 변화: 18세기 『역시만필(歷試漫筆)』을 중심으로
    이기복 [2019]
  • 조선 후기 醫案 『輕寶新編』 연구
    전종욱 [2017]
  • 조선 의원의 일본 사행과 의학필담집의 출판 양상
    허경진 [2010]
  • 조선 왕실의료문헌과 문집에 나타난 牛角灸法 연구
    오준호 [2010]
  • 의학의 법칙들: 생명의 최전선, 가장 인간적인 과학의 현장에서
  • 우잠잡저, 世人之惑於巫覡之術
  • 왕실의 議藥
    홍세영 [2010]
  • 역중일기 6
    최흥원 [2021]
  • 역중일기 5
    최흥원 [2021]
  • 역시만필: 어의 이수귀의 동의보감 실전기
    신동원 [2015]
  • 쇄미록 4
    오희문 [2018]
  • 국역 상한경험방(傷寒經驗方)
  • 국역 노상추일기 2
    노상추 [2017]
  • 국역 노상추일기 1
    노상추 [2017]
  • 국역 경보신편(輕寶新篇)
    구민석 [2017]
  • 고려대 소장 醫案 『經驗方』의 저자 小白累人의 신원과 생애 고증
    김하라 [2017]
  • 麻科會通
  • 韓國醫學史에서의 醫案硏究의 必要性과 意義
    김남일 [2005]
  • 輕寶新篇
  • 英祖實錄 권28
  • 脫草譯註 在嶺南日記
    황사우 [2006]
  • 發掘 醫案 고려대학교 소장 『經驗方』에 대하여
    박상영 [2015]
  • 東醫寶鑑, 「雜病篇」 卷之七, 邪祟
  • 朝鮮時代 醫員의 변화와 自己意識 형성
    김성수 [2011]
  • 呑吐經驗方, 治月湖金參奉風症
  • 呑吐經驗方, 古阜李友允景見害
  • 『역시만필(歷試漫筆)』의 사례로 재구성한 조선후기 여성의 삶과 질병
    이꽃메 [2015]
  • 『輕寶新編』의 의안에 대한 연구
    구민석 [2017]
  • 『承政院日記』의 臨床醫學 記錄 硏究
    홍세영 [2009]
  • 『愚岑雜著』에 관한 一考
    홍세영 [2009]
  • The Puzzle of Spermatorrhea in Republican China
    H. Shapiro [1998]
  • The Cold Damage Medicine in 17th and 18th Century Korea: Comparison through the Medical Records of China, Japan, and Korea
    C. Oh [2014]
  • Patients and Healers in Late Imperial China: Evidence from the Jinpingmei
    C. Cullen [1993]
  • Naming the Local: Medicine, Language, and Identity in Korea since the Fifteenth Century
    S. Suh [2017]
  • A Midwife's Tale: the Life of Martha Ballard, Based on Her Diary, 1785-1812
    L. Ulrich [1999]
  • A Chinese Physician: Wang Ji and the ‘Stone Mountain medical case histories’
    J. Grant [2003]
  • 19세기 고창지방 의원 은수룡이 남긴 경험의안
    이선아 [2005]
  • 18세기 후반 의학계의 변화상 -『欽英』으로 본 조선후기 의학 -
    김성수 [2014]
  • 18세기 후반 居京 士族의 衛生과 醫療: 『欽英』을 중심으로
    김호 [1998]
  • 18세기 의관 이수기(李壽祺)의 자기인식: 기술직 중인의 전문가의식을 중심으로
    이기복 [2013]
  • 16세기 향촌의료 실태와 사족의 대응
    김성수 [2001]
  • 16세기 지방의 의서 편찬과 患難相恤의 實踐知
    김호 [2019]
  • 16~17세기 조선의 지방 醫局 운영: 경북 영주의 濟民樓를 중심으로
    김호 [2018]
  • (국역) 우잠만고ㆍ우잠잡저
    장태경 [2010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