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내 퇴직연금의 운용성과 제고를 위한 제도 개혁방안

박종원 2022년
논문상세정보
' 국내 퇴직연금의 운용성과 제고를 위한 제도 개혁방안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Asset Allocation
  • Investment Performance
  • Keywords:Retirement Pension
  • Pension Fund Governance
  • Risk-Based Supervision
  • 리스크중심감독
  • 자산배분
  • 주제어:퇴직연금
  • 지배구조
  • 투자성과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445 0

0.0%

' 국내 퇴직연금의 운용성과 제고를 위한 제도 개혁방안' 의 참고문헌

  • 획일적 편입규제에 수익 ‘쥐꼬리’... “투자바구니 다양화해야
  •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의 적립과 대리인문제: 좋은 지배구조는 적립비율을 높이는가?
    김영식 [2020]
  • 호주 퇴직연금제도 현황과 시사점
    이경희 [2018]
  • 한국상장기업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의 자산배분 행태
    김영식 [2022]
  • 퇴직연기금 디폴트 옵션 도입 방안 및 부채연계투자전략에 관한 연구
    성주호 [2018]
  • 퇴직연금통계 2020
  • 퇴직연금의 임금성에 대한 비판적 검토
    전혜향 [2015]
  • 퇴직연금 적립금 운용 효율화를 위한 한국형 디폴트옵션 도입 방안
    남재우 [2017]
  • 퇴직연금 적립 255조 ‘폭풍성장’... “디폴트옵션이 연금부자 주춧돌
  • 퇴직연금 자산운용체계의 바람직한 발전방안
    송홍선 [2014]
  • 퇴직연금 수수료 체계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
    김병덕 [2019]
  • 퇴직연금 디폴트옵션의 해외사례 및 국내 도입방안에 관 한 연구
    김병덕 [2021]
  • 퇴직연금 기금형 도입방안
  • 퇴직연금 감독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
    박희진 [2019]
  • 퇴직연금 가입자 실태조사 보도자료
  • 퇴직급여제도, 퇴직연금으로 단일화해야
  • 적립금 운용펀드 수익률과 퇴직연금사업자와 자산운용사의 관계
    성주호 [2019]
  • 장래인구특별추계: 2017~2067년
  • 일본 DC형제도 개혁과 함의
    이상우 [2017]
  • 수익률 제고를 위한 퇴직연금 자산운용체계 개선 방향
    송홍선 [2019]
  • 노후소득보장제도 개혁 담론 분석
    정해식 [2020]
  • 내 퇴직금 국민연금처럼 운용....OCIO 펀드가 뜬다
  • 기업의 조세부담과 퇴직연금의 통합적 고찰: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의 재정적립을 중심으로
    김호균 [2018]
  • 기업들 퇴직연금 사업자 선정 이유 “거래관계 때문”
  • 기금형 퇴직연금제도의 의의와 도입 방향
    남재우 [2018]
  • 기금형 퇴직연금 도입의 쟁점 및 개선방안 검토-가입자의 관점에서
    정창률 [2018]
  •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우리 경제의 성장률 둔화와 장기전망
    권규호 [2019]
  • 국민연금의 전략적 자산배분이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
    [2005]
  • 국민․퇴직연금 소득대체율 48% 불과-개인연금 활성화 필요
  • 국내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제도 운영과 세금효과의 연계성에 대한 실증적 고찰
    김영식 [2020]
  • 국내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수급권 보장 방안
    박희진 [2021]
  • 국내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도입방안
    박희진 [2015]
  • 국내 OCIO 제도 정착을 위한 개선과제
    남재우 [2019]
  • What Drives Corporate Pension Plan Contributions: Moral Hazard or Tax Benefits?
    Chen, X [2013]
  • The Tax Consequences of Long Run Pension Policy
    Black, F. [1980]
  • The Global Case for Strategic Asset Allocation and an Examination of Home Bias
    Vanguard [2016]
  • The Broken Promise
  • The Appropriateness of Default Investment Options in Defined Contribution Plans: Australian Evidence
    Basu, A. K. [2010]
  • Taxation and Corporate Pension Policy
    Tepper, I. [1981]
  • Supervising Default Investment Funds
    IOPS [2012]
  • Statistcis: Annual Superannuation Bulletin-Highlights
  • Risk Shifting versus Risk Management: Evidence from the Funding of the Corporate Pension Plans
    Rauh, J. D. [2009]
  • Retirement offerings in the Fortune 500: 1998-2019
  • Pensions at a Glance 2019
    OECD [2021]
  • Pension Markets in Focus 2020
    OECD [2021]
  • Pension Funds and Drivers of Heterogeneous Investment Strategies
  • OECD 국가의 연금정책과 시사점
    류건식 [2020]
  • OECD guidelines on pension fund asset management.
    OECD [2006]
  • New Trends in Pension Benefit and Retirement Provisions
    Mitchell, O [2001]
  • Mercer CFA Institute Global Pension Index 2020
    Mercer [2021]
  • KOSIS 퇴직연금통계
  • Investment and Financing Constraints: Evidence from the Funding of Corporate Pension Plans
    Rauh, J. D. [2006]
  • Income Distribution Database
    OECD [2021]
  • IRP 퇴직연금제도의 연속성 평가 및 과제
    류건식 [2020]
  • IMF Country Report: Republic of Korea
    IMF [2021]
  • Guide: Supervision Risk and Intensity Model
  • Global Pension Statistics 2020
    OECD [2021]
  • Employer Stock in Retirement Plans: Investment Risk and Retirement Security
    Purcell, P. [2003]
  • Does Freezing a Defined Benefit Pension Plan Affect Firm Risk?
    Choy, H. [2014]
  • Does Asset Allocation Policy Explain 40%, 90%, or 100% of Performance?
  • Determinants of Portfolio Performance - 20 Years Later
    Hood, L. R. [2015]
  • Defined Benefit Pension De-Risking and Corporate Risk Taking
  • DC형 퇴직연금의 노후안전망역할 강화 연구
    송홍선 [2022]
  • Corporate America’s Legacy Costs
  • Beebower, “Determinants of Portfolio Performance
  • A Model of Pension Fund Growth
    Ezra. D [2008]
  • 2021 Investment Company Fact Book
    ICI [2021]
  • 2020년, 2021년 퇴직연금 적립금 운용현황 통계
  • 2018년 국민연금 재정계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