조선 후기 읍성의 인구 구성과 상업 집적 특성

' 조선 후기 읍성의 인구 구성과 상업 집적 특성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Eupchi
  • Jangsi
  • commerce
  • county ruling place
  • eupseong
  • joseon dynasty
  • periodical market
  • population composition
  • walled town
  • 상업
  • 읍성
  • 읍치
  • 인구구성
  • 장시
  • 정기시
  • 조선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,035 0

0.0%

' 조선 후기 읍성의 인구 구성과 상업 집적 특성' 의 참고문헌

  • 한국사에서의 수도집중
    이헌창 [2006]
  • 한국경제사 1, 2
    이영훈 [2016]
  • 한국개항기 도시사회경제사연구
    손정목 [1982]
  • 한국개항기 도시변화과정연구: 개항장·개시장·조계·거류지
    손정목 [1982]
  • 한국 읍성의 연구 : 충남지방을 중심으로
    심정보 [1995]
  • 한국 도시사 연구에 대한 비평과 전망
    민유기 [2007]
  • 중세 유럽의 도시
  • 조선후기 읍성 취락의 경관 요소와 경관 구성-태안읍성, 서산읍성, 해미읍성을 중심으로-
    전종한 [2015]
  • 조선후기 시장과 상업의 장기 변동에 대한 재검토: 18-19세기 場市 통계를 중심으로
    조영준 [2021]
  • 조선초기 군현치소의 이설
    김동수 [1992]
  • 조선의 도시, 권위와 상징의 공간: 한국적 전통도시 경관의 원형 탐색
    이기봉 [2008]
  • 조선시대 도시사회 연구
    손정목 [1977]
  • 조선-일제강정기 동래읍성 경관변화 연구
    김기혁 [2002]
  • 임원경제지 권112-113: 예규지2
    서유구 [2019]
  • 일제시대 홍주읍성의 토지이용 변화에 관한 연구: 필지체계 및 소유권변화를 중심으로
    최상식 [2003]
  • 일제강점기 光州邑城 內의 경관변화
    조정규 [2013]
  • 일제 식민지기 재래시장의 사회사적 분석을 통한 식민지근대성론의 사회변동론적 재구성
    조형근 [2014]
  • 유럽경제사: 지식, 제도, 성장, 600~현재
  • 예산 동서·상중리 上: 임존성이 품은 대흥의 읍치마을
    이연숙 [2009]
  • 성곽의 도시원형적 해석: 조선시대 읍성을 중심으로
    김선범 [1999]
  • 사회사/역사사회학
    김백영 [2016]
  • 민적통계표의 해설과 이용방법
    이헌창 [1997]
  •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1: 일상생활의 구조
  • 동아시아 근세 시장구조와 농촌공업 – 청대 강남지역과 에도시대의 비교를 중심으로
    홍성화 [2018]
  • 내포지역 읍성 원형과 읍치경관의 근대적 변형 - 읍성취락의 사회공간적 재편과 근대화 -
    전종한 [2004]
  • 고려시대 유성현과 대전 상대동 유적
    문경호 [2013]
  • 고려 시대 전통 대읍 읍치 공간의 실증적 검토와 산성읍치설 비판
    정요근 [2019]
  • 朝鮮の市場
    文定昌 [1941]
  • 地籍原圖를 활용한 邑城空間의 역사지리적 복원: 경상도 읍성을 사례로
    최원석 [2005]
  • 《한국 중세의 읍치와 성》
    최종석 [2014]
  • “식민지 시기(1910년-1945년) 조선의 인구 동태와 구조”
    박경숙 [2009]
  • <批評論文> 조선전기 상업사의 이해 시각
    박평식 [2020]
  • 20세기 초 철도부설과 읍성해체에 따른 도시공간구조와 주변 필지 변화에 관한 연구
    김대중 [2019]
  • 20세기 전반 언양의 소농사회
    이영훈 [2015]
  • 18세기말~19세기초의 장시발달에 대한 기초연구: 경상도지방을 중심으로
    한상권 [1981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