마이너리티 역사, 민중사의 새로운 혁신인가 해체인가?

소현숙 2022년
' 마이너리티 역사, 민중사의 새로운 혁신인가 해체인가?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Hansen’s disease patient
  • Minority
  • Minority history
  • Novel people’s history
  • People’s history
  • Vagrants
  • disabled
  • 마이너리티
  • 마이너리티 역사
  • 민중
  • 민중사
  • 새로운민중사
  • 소수자
  • 소수자의 역사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617 0

0.0%

' 마이너리티 역사, 민중사의 새로운 혁신인가 해체인가?' 의 참고문헌

  • 해외입양과 한국 민족주의: 한국 대중문화에 나타난 해외입양과 입양한국인의 모습
    이삼돌 [2008]
  • 해방 공간의 재일조선인사
    정영환 [2019]
  • 한국장해아동조사보고서
  • 한국에서의 근대적 나구료의 형성
    정근식 [1997]
  • 한국 해외입양과 친생모 모성, 1966~1992
    신필식 [2020]
  • 한국 민중사의 새로운 모색과 역사쓰기
  • 한국 가족법 읽기
    양현아 [2011]
  • 학교의 문턱, 의무교육제도의 도입과 장애아교육 - 해방직후∼1960년대를 중심으로
    소현숙 [2019]
  • 치안유지를 넘어선 ‘치료’와 ‘복지’의 시대 - 1970~80년대 보안처분제도의 운영실태를 중심으로
    김대현 [2021]
  • 차이의 정치와 정의
  • 차별에 저항하라: 한국의 장애인운동 20년 (1987~2006)
    김도현 [2007]
  • 질병, 낙인 : 무균사회와 한센인의 강제격리
    김재형 [2021]
  • 주권의 너머에서
  • 조선의 퀴어 : 근대의 틈새에 숨은 변태들의 초상
  • 젠더와 민족
  • 절멸과 갱생 사이
  • 일제 하 부랑자의 탄생과 그 특징 - 1910년대를 중심으로 -
    예지숙 [2014]
  • 일제 말기 소록도갱생원과 이춘상 사건
    정근식 [2005]
  • 일제 강점기 형평운동의 지역적 전개
    김재영 [2007]
  • 이혼법정에 선 식민지 조선여성들
    소현숙 [2017]
  • 우생학의 재림과 ‘정상/비정상’의 폭력―가족계획사업과 장애인 강제불임수술
    소현숙 [2020]
  • 우리시대의 소수자운동
    윤수종 [2005]
  • 왜 그 아이들은 한국을 떠나지 않을 수 없었나: 해외입양의 숨겨진 역사
  • 역사의 공간
    이진경 [2010]
  • 역사 속 장애인은 어떻게 살았을까?
    정창권 [2011]
  • 여성, 전쟁을 넘어 일어서다
    이임하 [2004]
  • 여성 1970: 그녀들의 반 역사
    김 원 [2005]
  • 식민지적 근대와 신체의 정치
    정근식 [1997]
  • 식민지시기 ‘불량소년’ 담론의 형성 - ‘민족/국민’ 만들기와 ‘협력’의 역학
    소현숙 [2015]
  • 식민지 조선의 반중국인 폭동과 도시 하층민
    정병욱 [2015]
  • 식민지 조선에서 ‘불구자’ 개념의 형성과 그 성격
    소현숙 [2017]
  • 시설사회-시설화된 장소, 저항하는 몸들
    김순남 [2020]
  • 소수자운동의 새로운 전개
    윤수종 [2013]
  • 소수자, 소수자를 통한 역사, 소수자의 역사 - 독일 유대인을 중심으로 -
    김학이 [2013]
  • 소록도 100년 한센병 그리고 사람, 백년의 성찰(역사편)
    정근식 [2017]
  • 선감학원 아동인권침해사건보고서
    정진각 [2018]
  • 서평, 민중의 민낯을 직시하기, 그리고 한 번 더 생각하기
    김성보 [2017]
  • 비판과 굴절, 전화 속의 한국 식민지근대성론: 구조, 주체, 경험의 삼각 구도를 중심으로
    조형근 [2009]
  • 부마항쟁, 도시하층민들의 해방구: 부마항쟁의 주체 및 성격에 관한 연구
    임미리 [2021]
  • 보이지 않는 역사-한국 시각장애인들의 저항과 연대
    주윤정 [2020]
  • 배제, 저항, 포스트휴먼: 배제, 저항, 포스트휴먼
    주윤정 [2021]
  • 박정희 시대의 유령들–기억, 사건 그리고 정치
    김원 [2011]
  • 민중사를 다시 말한다
  • 미혼모의 탄생, 추방된 어머니들의 역사
    권희정 [2019]
  • 동아시아 한센병사 연구를 위하여
    정근식 [2002]
  • 동아시아 민중사의 새로운 모색: 민중경험과 마이너리티
  • 나환자에 대한 일반대중의 인식과 조선총독부의 나병정책-1930~40년대 소록도갱생원을 중심으로-
    김미정 [2012]
  • 나환과 소문, 소록도의 기억 - 나환 인식과 규율체제의 형성에 관한 언술 분석적 접근
    한순미 [2010]
  • 꽃만 봐도 서롭고 그리운 날들 4: 5.18 민중항쟁 증언록-상이 후 사망자편
  • 근대적 대중지성의 형성과 사회주의 (1)-초기 형평운동과 「낙동강」에 나타난 근대 주체
    천정환 [2008]
  • 고아, 족보 없는 자
    김아람 [2014]
  • 감금의 정치
    최정기 [2005]
  • 가족법 개정운동 60년사
  • 朝鮮ハンセン病史-日本植民地下の小鹿島
  • 日本殖民統治下的 底層社會 臺灣與朝鮮
    陳姃湲 [2018]
  • ‘탈근대론’과 근대중심주의
    배항섭 [2016]
  • ‘새로운 민중사’의 등장과 새로운 동학농민전쟁史 서술에 대한 모색
    홍동현 [2014]
  • ‘새로운 민중사’의 가능성과 한계를 묻는다
    장용경 [2014]
  • 5·18 무장투쟁과 1980년대 사회운동―대항폭력의 과잉과 반폭력의 소실
    김정한 [2012]
  • 4월혁명의 기억에서 사라진 사람들―고학생과 도시하층민
    오제연 [2014]
  • 1980년 사북: 항쟁과 일상의 사회사
    장용경 [2021]
  • 1956년 한국가정법률상담소의 설립과 호주제 폐지를 향한 기나긴 여정
    소현숙 [2015]
  • 1931년 식민지 조선 반중국인 폭동의 학살 현장 검토
    정병욱 [2019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