‘-이다’와 의미적으로 대응되는 현대 중국어 한자 구성 분석 - 다양한 국어 ‘-이다’에 대응되는 한자어의 분석 -

이지연 2022년
' ‘-이다’와 의미적으로 대응되는 현대 중국어 한자 구성 분석 - 다양한 국어 ‘-이다’에 대응되는 한자어의 분석 -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chinese characters
  • contrastive study
  • i-’
  • sentence components
  • syntactic characteristics
  • word class
  • ‘在’
  • ‘是’
  • ‘有’
  • “在
  • 대조 연구
  • 문장 성분
  • 이다
  • 통사특징
  • 품사
  • 한자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725 0

0.0%

' ‘-이다’와 의미적으로 대응되는 현대 중국어 한자 구성 분석 - 다양한 국어 ‘-이다’에 대응되는 한자어의 분석 -' 의 참고문헌

  • 현대중국어 어법론
    朱德熙 [1982]
  • 한중 계사구문의 유형론적 대조 연구
    탄나나 [2015]
  • 한자어 형성과 기능 단위
    노명희 [2014]
  • 한자어 형성과 고유어 문법의 제약
    김창섭 [2001]
  • 한국인을 위한 중국어 교육법
    王海峰 [2014]
  • 한국어와 중국어 계사구문의 대조 연구 - 통사적 분포와 의미 기능 확장을 중심으로 -
    탄나나 [2013]
  • 한국어‘이다’ 구문의 중국어대응
    주 유 [2019]
  • 한국어 ‘이-’와 중국어 ‘是’의 대조 연구
    진휘휘 [2015]
  • 중세⋅근대 국어 계사 구문의 쟁점과 과제
    김건희 [2021]
  • 중국어 繫辭 ‘是’의 起源과 再分析
    양세욱 [2006]
  • 의미지도를 이용한 한국어 어휘요소와 문법요소의 의미 기술
    박진호 [2012]
  • 언어 유형론 -언어의 통일성과 다양성
  • 말뭉치언어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명사의 정도성- 관형성과 피수식성을 중심으로 -
    남길임 [2014]
  • 국어 {이다}의 어휘소 분할에 대하여
    임근석 [2012]
  • 계사 유형론의 관점에서 본 한국어 ‘(시적)이다/(유명)하다’의 정체
    목정수 [2010]
  • 语法讲义
    朱德熙 [1982]
  • 现代汉语八百词
    吕叔湘 [1999]
  • 新著國語文法
    黎锦熙 [1924]
  • 北京大學중국어 어법의 모든 것
    李宝貴 [2005]
  • 『현대 우리말의 형태론』
    한 길 [2006]
  • 「어휘 변화의 양상과 그 배경」
    송 민 [1990]
  • “현대 국어 「이다」구문 연구”,
    남길임 [2004]
  • ‘이다’의 범주와 문법 기술
    유현경 [2016]
  • ‘이다’를 機能動詞로 分析해야 하는 이유 몇 가지
    목정수 [2007]
  • ‘이’의 용언설에 대한 재고찰 -서술의 분포‧기능을 중심으로-
    김건희 [2016]
  • ‘아니다’의 사용패턴과 부정의 의미
    남길임 [2010]
  • VP shells와 ‘한자어 명사+하다’에 대하여
    김건희 [2001]
  • '이다' 구문에 대한 연구 : 중국어에서의 대응형식을 중심으로
    진 열 [2012]
  • '이’의 형용사설에 대한 재고찰 -‘파생명사(N+적)+이다’의 부정형 분석을 중심으로-
    김건희 [2017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