‘재난’은 어떻게 소비되고 있는가: 영화《두더지》와 재난 내러티브

박이진 2022년
논문상세정보
' ‘재난’은 어떻게 소비되고 있는가: 영화《두더지》와 재난 내러티브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post-truth
  • 탈진실
  • 3.11
  • 3.11.
  • Diegesis
  • Himizu
  • disasternarrative
  • ヒミズ、災害ナラティブ、脱真実、ディエジェージンス、3.11
  • 두더지
  • 디에게시스
  • 재난 내러티브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04 0

0.0%

' ‘재난’은 어떻게 소비되고 있는가: 영화《두더지》와 재난 내러티브' 의 참고문헌

  • 환경재난 영화에서의 공포의 재현 방식
    강윤주 [2011]
  • 포스트트루스-가짜 뉴스와 탈진실의 시대
  • 평범한 어른이 되는 법
  • 트럼프식 탈진실 정치와 코로나 위기
  • 일본현대문학자의 동일본대지진과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한 대응과 인식 ‒진재(震災)․원전(原電)문학집 『그래도 3월은, 다시(それでも三月は、また)』를 중심으로‒
    조미경 [2014]
  • 일본의 재난문학과 문화
    정병호 [2018]
  • 일본영화가 담아낸 재난의 기억 - 동일본대지진 이후 영화를 중심으로 -
    유양근 [2016]
  • 일본 재난영화의 내셔널리즘적 변용: <고지라>와 <일본침몰>을 중심으로
    김려실 [2012]
  • 영화「두더지」소노 시온(園子温) 감독의 무대 인사와 특별 시사회
  • 동일본대지진으로부터 5년 특별전
  • 동아시아 재난 서사
    정병호 [2020]
  • 동아시아 재난 서사
    김보경 [2020]
  • 개소리는 어떻게 세상을 정복했는가-진실보다 강한 탈진실의 힘
  • 特集<陰謀論>の時代
  • 映画「君の名は。」に違和感を感じる人たち
  • 戦後日本のメディアと市民意識一「大きな物語」の変容
    大石裕 [2015]
  • 大震災と脱真実:関東大震災から3.11東日本大震災まで
    김병진 [2022]
  • ’두더지’, 대지진이 빚어낸 일본 사회의 힘겨운 줄다리기
  • ‘역화효과’와 뇌피셜
  • The role of narratives in consumer information processing
    Adaval, R. [1998]
  • Telling stories about global climate change : Measuring the impact of narrative on issue cycles
    McComas, K. [1999]
  • NHK 東日本大震災ア一カイブス
  • 3.11 동일본대진재와 문학
    김태경 [2014]
  • 3.11 동일본대지진 이후의 일본 진재문학과 마이너리티-원전사고와 차별문제를 중심으로-
    최가형 [2015]
  • 2000년대 이후 ‘파국의 상상력’ 한일 비교연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