조선의 冕服: 정치와 외교의 修辭

김윤정 2022년
논문상세정보
' 조선의 冕服: 정치와 외교의 修辭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Bestowed Attires (賜與冠服)
  • King Taejong
  • Lined Coronet (梁冠)
  • The Jingnan Campaign
  • kingtaejo
  • myeonbok(冕服)
  • ” king sejong
  • 구류관 구장복
  • 면복
  • 사여관복
  • 세종
  • 양관복
  • 정난의 변
  • 태조
  • 태종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424 0

0.0%

' 조선의 冕服: 정치와 외교의 修辭' 의 참고문헌

  • 「조선초기 제후국 체제 운영의 특징과 그에 대한 맥락적 이해」
    최종석 [2013]
  • 「조선시대 國家典禮書의 편찬 양상」
    김문식 [2009]
  • 「명대의 예제질서에서 조선국왕의 위상」
    정동훈 [2012]
  • 「對明儀禮를 통해 본 15세기 朝明관계」
    한형주 [2008]
  • 조선초기 왕세자의 국가의례 참여와 그 성격
    한형주 [2009]
  • 조선왕조실록
  • 조선시대 예교담론과 예제질서
    박종천 [2016]
  • 조선시대 면류관 제작에 관한 연구
    김영희 [2014]
  • 조선시대 국왕 면복(冕服) 착용 의례의 정립과 그 확장
    구도영 [2021]
  • 조선 태종의 왕위와 왕통의 정당화
    남지대 [2013]
  • 조선 태조대 관복제정에 관한 연구
    전혜숙 [2005]
  • 조선 건국의 대외적 정당화 작업과 중화 보편의 추구
    최종석 [2018]
  • 영락제 : 화이질서의 완성
  • 명초 외교제도의 성립과 그 기원 - 고려-몽골 관계의 유산과 그 전유(專有) -
    정동훈 [2019]
  • 고려시대 사여관복(賜與冠服) 행례와 예제(禮制) 질서의 형성
    김윤정 [2020]
  • 고려사
  • 고려 말 조선 초 관복제의 변화와 문화적 지향
    김윤정 [2018]
  • 洪武禮制
  • 朝鮮時代 王世子 冕服
    김명숙 [1992]
  • 明實錄
  • 明「靖難의 役」에 대한 朝鮮의 對應
    朴元熇 [1983]
  • 大明集禮
  • 冕服에 關한 硏究
    柳喜卿 [1972]
  • 『明史』
  • 「冕服考」 (上)․(下)
    金東旭 [1962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