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일본군 ‘위안부’ 영화의 냉전 체제 재현 방식 : 「아이 캔 스피크」와 「허스토리」

김현경 2022년
논문상세정보
' 최근 일본군 ‘위안부’ 영화의 냉전 체제 재현 방식 : 「아이 캔 스피크」와 「허스토리」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Comfort Women
  • Herstory
  • I Can Speak
  • Postcolonial Cold War regime
  • cold war
  • 「아이 캔스피크」
  • 냉전
  • 일본군 ‘위안부’
  • 포스트식민 냉전 체제
  • 허스토리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844 0

0.0%

' 최근 일본군 ‘위안부’ 영화의 냉전 체제 재현 방식 : 「아이 캔 스피크」와 「허스토리」' 의 참고문헌

  • 현재적 의미가 봉쇄당한 고통의 무기력함
    송효정 [2016]
  • 허스토리
    민규동 [2018]
  • 페미니즘 리부트
    손희정 [2017]
  • 트라우마의 재현과 구술사: 군위안부 증언의 아포리아
    김수진 [2013]
  • 증언, 트라우마, 서사– 한일 ‘위안부’ 합의 이후의 일본군 ‘위안부’ 영화
    권은선 [2019]
  • 제국의 위안부
    박유하 [2013]
  • 전후 일본의 ‘조선인 위안부’ 표상, 그 변용과 굴절: “춘부전(春婦伝)”의 출판/영화화 과정에서 드러나는전후 일본의 전쟁기억/표상/젠더
    최은주 [2014]
  • 일본군 ‘위안부’의 영화적 기억과 크로노폴리틱스
    박현선 [2020]
  • 일본군 ‘위안부’ 재현과 진정성의 곤경- 소녀와 할머니 표상을 중심으로 -
    허윤 [2018]
  • 일본군 ‘위안부’ 운동 초기 증언의 교차적 듣기 『조선인 군대 위안부(朝鮮人軍隊慰安婦)』(1992)와 『강제로 끌려간 조선인 군위안부들』 1,2(1993, 1997)을 중심으로
    이지은 [2021]
  • 일본군 ‘위안부’ 영화의 자매애와 증언전수 가능성
    권은선 [2017]
  • 위안부 합의 100일, 한일관계는 어디로
  • 위안부 피해자 영상의 “포스트-기억 세대” 양식으로의 변화와 사회문화적 함의 읽기
    강경래 [2018]
  • 위안부 영화와 역사쓰기의 새로운 도전: <귀향>과 <눈길>을 중심으로
    주유신 [2017]
  • 우리 안의 과거—미디어·메모리·히스토리
  • 아이 캔 스피크
    김현석 [2017]
  • 식민주의, 전쟁, 군 ‘위안부’
  • 소송과 한국의 원고 피해자 할머니들과 함께 한 28년의 기록 – 관부재판
  • 성 제국주의, 민족 전통, 그리고 ‘기생’의 침묵― ‘기생관광’ 반대운동의 재현 정치, 1973~1988년
    박정미 [2014]
  • 비명이 도착할 때: 〈귀향〉을 둘러싼 각축전과 말없는 비평
    장수희 [2016]
  • 발전과 섹스: 한국 정부의 성매매관광정책, 1955-1988년
    박정미 [2014]
  • 민족주의적 ‘위안부’ 담론의 구성과 작동 방식-윤정모, 「에미이름은 조센삐였다」의 최초 판본과 개작 양상을 중심으로
    이지은 [2019]
  • 문학을 부수는 문학들
    이혜령 [2018]
  • 무수한 ‘말 걸기’의 역사, ‘아이 캔 스피크’
  • 대중매체를 통해 바라본 일본군 ‘위안부’의 재현 〈3부〉– 재현물로서 〈허스토리〉의 성공과 실패
  • 냉전기 한국사회의 기억의 정치학: <사르빈 강에 노을이 진다> 속 군인과 ‘위안부’ 표상을 중심으로
    김지언 [2021]
  • 냉전과 일본군 '위안부': 배봉기의 잊혀진 삶 그리고 주검을 둘러싼 경합
    김현경 [2021]
  • 나’를 증명하기 – 아시아에서의 국적·여권·등록
    조경희 [2017]
  • 관광의 경로와 로컬리티- 부산관광담론을 중심으로 -
    문재원 [2010]
  • ‘위안부’는 어떻게 잊혀 졌나? 1990년대 이전 대중영화 속 ‘위안부’ 재현
    김청강 [2017]
  • ‘우리 할머니’들의 이야기와 기억의 물화-일본군 ‘위안부’ 표상과 시민다움의 정치학
    허윤 [2021]
  • ‘용납할 수 없는 것’을 이미지화 한다는 것의 의미: 영화 <귀향>의 성/폭력 재현을 중심으로
    권은선 [2017]
  • ‘대중혐오’와 부대낌의 복잡성
    권명아 [2016]
  • https://www.internationalcrimesdatabase.org/Case/981/The-Prosecutorsand-the-Peoples-of-the-Asia–Pacific-Region/
  • The Other Cold War .
  • Ruptured Histories: War, Memory, and the Post-Cold War in Asia
  • Mnemonic Solidarity: Global Interventions
  • Dangerous Women: Gender and Korean Nationalism
  • Cold War Ruins : Transpacific Critique of American Justice and Japanese War Crimes
  • Cary and Lawrence Grossberg, Marxism and the Interpretation of Culture
  • Asia as Method: Toward Deimperialization
  • 2000년 여성국제법정을 통해 본 초국적 여성 연대의 가능성 : 한일 사회 내 일본군 '위안부' 문제를 중심으로
    강가람 [2006]
  • 1960년대 일본의 전쟁기억/주체/‘위안부’-‘위안부’ 언설과 영화표상-
    최은수 [2019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