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사 연구와 디지털역사학 연구방법론 -양적분석을 중심으로-

이상국 2022년
' 한국사 연구와 디지털역사학 연구방법론 -양적분석을 중심으로-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HAVNet
  • Korean history research
  • digital history
  • qualitative analysis
  • quantitative analysis
  • regression analysis
  • social-network analysis
  • statistics in history
  • ‘big data in Korean history’
  • ‘한국사 빅데이터’
  • 디지털 역사학
  • 소셜 네트워크 분석
  • 양적 분석
  • 역사 통계학
  • 질적 분석
  • 한국사 연구
  • 회귀분석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,518 0

0.0%

' 한국사 연구와 디지털역사학 연구방법론 -양적분석을 중심으로-' 의 참고문헌

  • 특집1 : 각국의 디지털역사학
    이주영 [2018]
  • 조선시대의 신분, 신분제 개념에 대하여
  • 조선 초기 관료의 관청이동을 통해 본 주요 통치기구의 위상 — HAVNet 자료를 중심으로 —
    최상일 [2021]
  • 성공의 경로 -조선시대 지배엘리트의 관직이력 데이터[HAVNet] 분석을 중심으로
    이상국 [2019]
  • 사회과학자를 위한 데이터 과학 -R을 이용한 사회과학 자료분석
    박종희 [2020]
  • 디지털인문학 입문
    홍정욱 [2016]
  • 디지털 인문학 입문
    김현 [2016]
  • 데이터 기반 인문학 연구 방법의 모색: 문중 고문서 아카이브와 디지털 인문학의 만남
    김현 [2018]
  • 근대로의 이행과 역사 비교방법
    안재흥 [2020]
  • 朝鮮初期兩班硏究
    李成茂 [1980]
  • ‘빅데이터’ 분석 기반 한국사 연구의 현황과 가능성: 디지털 역사학의 시작
    이상국 [2016]
  • Quality over Quantity: A Lineage-Survival Strategy of Elite Families in Premodern Korea
  • History in the Digital Age
    Toni Weller [2013]
  • From Words to Numbers
  • From Data to Agents: 한국 디지털 역사학의 현주소와 AI 시대의 역사학
    이상동 [2020]
  • Event History Modeling
  • English Population History from Family Reconstitution 1580-1837
  • Computing Lens for Exploring the Historical People’s Social Network
  • Building an Archival Database for Visualizing Historical Networks: A Case for Pre-Modern Korea
  • Ahistoricism in Time-series Analyses of Historical Process: Crinique, Redirection, and Illustrations from U.S. Labor History
  • A Demographic Study of the British Ducal Familie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