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북송연의>와 한국 고전소설 군담의 비교 연구

서정현 2022년
논문상세정보
' <북송연의>와 한국 고전소설 군담의 비교 연구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<Bei Song Zhi zhuan(北宋志傳)> <Buksongyeonui(北宋演義)>
  • <Sohyeonseongnok(蘇賢聖錄)>
  • <북송연의>
  • <북송지전>
  • <소현성록>
  • Korean classic novels
  • chinesenovels
  • military stories
  • 고전소설
  • 군담
  • 중국 소설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89 0

0.0%

' <북송연의>와 한국 고전소설 군담의 비교 연구' 의 참고문헌

  • 女將軍 登場의 古小說 硏究
    여세주 [1982]
  • 金自點 담론의 추이와 소설적 악인 형상화의 정치적 역학
    이종필 [2013]
  • 현몽쌍룡기
  • 한국문학통사 3
    조동일 [2005]
  • 한국 군담소설(軍談小說)과 <서주연의(西周演義)>
    김동욱 [2019]
  • 한국 고전소설에 나타난 ‘中華主義’
    정길수 [2007]
  • 초기 창작 영웅소설의 형성 연구
    김대곤 [2018]
  • 초기 여성영웅소설로 본 <이현경전>의 성격과 의미
    박양리 [2010]
  • 증보조선소설사
    김태준 [1990]
  • 중국 전통극 중 여성영웅형상 연구― 楊家將戱를 중심으로
    하경심 [2011]
  • 중국 고전소설의 전파와 수용
    민관동 [2007]
  • 주체와 타자의 시각에서 바라본 여성영웅소설
    이지하 [2007]
  • 조선후기 장편국문소설의 조망
    전성운 [2002]
  • 조선 후기 장편소설 속 군담 연구
    서정현 [2019]
  • 조선 후기 가문 소설의 계후갈등 변이양상 연구 —<엄씨효문청행록>, <성현공숙렬기>, <완월회맹연>을 중심으로—
    이현주 [2012]
  • 조선 여성영웅소설의 출현배경에 관한 試論 ― 『북송연의』의 영향 가능성에 대해
    하경심 [2011]
  • 전란의 기억과 문학적 극복 — 정묘⋅병자호란 이후 17세기 후반에 나타난 문학적 현상에 주목하여 —
    백진우 [2017]
  • 일본 동양문고 소장 세책 고소설의 성격과 의미
    유춘동 [2014]
  • 완월회맹연
  • 영웅소설의 소설사적 변주
    박일용 [2003]
  • 영웅소설과의 비교 분석을 통한 대하소설의 남성 악인형 인물 연구
    한길연 [2014]
  • 여호걸계 소설의 형성과정 연구
    정명기 [1981]
  • 여장군소설 주인공의 역할 모델 연구
    조용호 [2014]
  • 여성영웅소설과 <양가장연의>의 비교 연구
    유효가 [2016]
  • 소현성록
  • 서울대본 <옥원재합기연> 소재 소설목록에 대한 고찰
    김동욱 [2015]
  •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에 나타난 異國公主의 형상화 방식과 의미 - <유씨삼대록>과 <성현공숙열기> 연작을 중심으로 -
    강우규 [2016]
  • 북송의 명장 양업(楊業)과 양가장(楊家將) 설화
    이근명 [2011]
  • 북송연의
    박재연 [1996]
  • 낙선재본 소설의 선행본에 관한 일고찰
    심경호 [1990]
  • 군담소설의 구조와 배경
    서대석 [2008]
  • 고전종합DB
  • 楊家將演義
    熊大木 [2017]
  • 東洋文庫 소장 『북송연의』 연구
  • 朝鮮時代 中國 通俗小說 飜譯本의 연구 : 樂善齋本을 중심으로
    朴在淵 [1993]
  • 北宋演義
  • <이대봉전> 완판 81장본
  • <유충렬전> 완판 86장본
  • <유씨삼대록> 속 이민족 여성의 형상화와 그 의미
    최수현 [2012]
  • <완월회맹연>의 도술에 대하여
    김동욱 [2017]
  • <소대성전> 완판 43장본
  • <성현공숙렬기>에 나타난 내·외부 조력자로서의 시비(侍婢) - 열영, 상운, 매송을 중심으로
    김민정 [2020]
  • 18세기 고소설에 나타난 ‘비-중국’ 국가의 서사적 이미지-<완월회맹연>의 금국과 안남을 중심으로
    김수연 [2020]
  • 17세기 중국소설의 번역과 우리소설과의 관계
    송성욱 [2001]
  • 17세기 장편소설의 형성 경로와 장편화 방법
    정길수 [2005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