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회적 자본이 안전인식을 매개로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: 사회적 자본의 유형별 차이를 중심으로

논문상세정보
' 사회적 자본이 안전인식을 매개로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: 사회적 자본의 유형별 차이를 중심으로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multi-cultural acceptance
  • safety perception
  • social capital
  • 다문화 수용성
  • 사회적 자본
  • 안전인식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2,174 0

0.0%

' 사회적 자본이 안전인식을 매개로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: 사회적 자본의 유형별 차이를 중심으로' 의 참고문헌

  • 현대 사회의 위험과 위험 관리
    이승훈 [2009]
  • 한국인의 위험 인식
    설동훈 [1998]
  • 한국인의 사회자본과 다문화 수용성 관계
    이형하 [2014]
  • 한국인의 다문화 시티즌십 (multicultural citizenship): 다문화 의식을 중심 으로
    최현 [2007]
  •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성 분석. 새로운 성원권의 정치학(politics of membership)관점에서
    황정미 [2010]
  •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성 결정요인 분석: 교육수준의 영향을 중심으로
    이자형 [2012]
  • 한국인의 국민정체성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 수용성
    윤인진 [2011]
  • 한국인의 국민정체성, 다문화 수용성과 통일 태도
    백시내 [2016]
  • 한국인 다문화 수용성 영향요인들 간 구조적 관계 분석: 교육수준의 효과를 중심으로
    김경근 [2015]
  • 한국에서 사회신뢰의 생성: 시민사회와 국가제도의 역할
    박종민 [2006]
  • 한국에서 단체는 민주주의의 학교인가?: 단체참여의 내부효과
    박종민 [2008]
  • 한국사회의 다민족・다문화 지향성에 대한조사연구
    황정미 [2007]
  • 한국 내 방글라데시 이주민의 사회적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
  •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-19 대유행 이후 한국 거주 중국인 유학생의 사회적 낙인 경험
    장이츠 [2021]
  • 출신국적에 따른 서울시 외국인 이주자의 거주지 분리
    최은진 [2011]
  • 지역주민의 사회안전 및 사회위험 인식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: 광역자치단체를 중심으로
    서재호 [2012]
  • 지역사회 안전인식에 관한 연구 - 사회통합모델과 무질서모델의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-
    이유미 [2015]
  • 지역과 국가수준의 사회자본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
    허윤철 [2017]
  • 제3차 외국인정책 기본계획 수립 연구
  • 정부역량과 사회안전성 간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: 사회통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
    윤건 [2021]
  • 재난 상황에서 다면적 신뢰가 주관적 안전인식 및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: 코로나19 전후 비교를 중심으로
    강서윤 [2022]
  • 이주자에 대한 사회적 거리와 시민권에 대한 태도
    조동기 [2010]
  • 우리나라 정부신뢰 특성 및 영향 요인 분석
    박희봉 [2003]
  • 외국인의 증가와 범죄에 대한 두려움 : 집단위협이론을 중심으로
    노성훈 [2013]
  • 외국인 주거지의 공간분포 특성과 정책함의
    박세훈 [2010]
  • 외국인 노동자/이민자 수용 태도에 대한 인과관계 분석- 한국·중국·미국 비교를 중심으로
    서운석 [2011]
  • 외국인 거주자의 주거입지 선택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: 수도권을 중심으로
    정지은 [2011]
  • 외국이주민에 대한 직ㆍ간접 접촉경험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: 위협인식의 매개효과 분석
    배은주 [2020]
  • 안전도시 활성화 및 인증제도 도입방안 연구
    나채준 [2014]
  • 수도권 지역 외국인들의 거주지 분리에 대한 연구
    박윤환 [2010]
  • 소셜 미디어 이용과 다문화에 대한 관용: 연계형 사회자본의 영향을 중심으로
    금희조 [2011]
  • 서울시 외국인 주거지의 공간적 분리패턴에 관한 연구
    하성규 [2011]
  • 서울시 거주 외국인의 사회적 자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: 방문취업자와 결혼이민자 간 비교를 중심으로
    김동현 [2019]
  •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환경과 사회자본: 사회자본 논의의 이론적 쟁점과 실천적 과제를 중심으로
    배영 [2007]
  • 사회참여가 이주민들에 대한 사회적 거리에 미치는 영향
    전대성 [2015]
  • 사회적 자본이 시민들의 이민자 수용에 미치는 영향
    허거훈 [2020]
  • 사회적 자본과 안전인식 그리고 개인 웰빙에 관한 실증연구
    임현철 [2019]
  • 사회적 가치관이 한국의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
    윤상우 [2010]
  • 사회자본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
    김혜선 [2014]
  • 사회자본과 지방정부 역량의 연관성 탐색: 재정역량을 중심으로
    정광호 [2010]
  • 사회자본과 다문화 수용성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 및 인식 분석
    이재철 [2017]
  • 사회자본(Social Capital) 특성이 지역주의에 미치는 영향: 결속형과 교량형을 중심으로
    이현우 [2011]
  • 사회안전에 대한 인식수준과 영향요인 분석: 시민과 공무원을 대 상으로
    임동진 [2016]
  • 범죄 뉴스 노출과 다문화수용성: 위험지각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
    허윤철 [2016]
  • 다문화주의와 다문화정책에 대한 정책참여자들의 태도와 성향 분석:공무원, 민간사업자, 전문가집단을 중심으로
    임동진 [2012]
  • 다문화주의에 대한 한국인들의 태도: 경제적 이해관계와 국가 정체성의 영향을 중심으로
    장승진 [2010]
  • 다문화시대 한국인의 심리적 적응: 집단정체성, 문화적응 이데올로기와 접촉이 이주민에 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
    김혜숙 [2011]
  •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: 사회적 자본을 중심으로
    곽윤경 [2020]
  •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가정 환경 요인과 다문화 밀집지역의 조절효과
    한윤선 [2014]
  •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: 수원시를 중심으로
    백정미 [2019]
  • 누가 왜 여성결혼이민자들과 생산기능직 근로자들의 유입 증가를 반대하는가: 문화적 위협변인과 경제적 위협변인의 영향력 분석을 중심으로
    조정인 [2011]
  • 국민정체성이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
    백승대 [2013]
  • 국민정체성과 위협의식, 다문화 수용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
    박서연 [2019]
  • 국민정체성과 다문화태도의 관계-한·중·일 대학생을 중심으로
    김현숙 [2011]
  • 「다문화사회의 위협인식에 대한 영향요인: 한국인과 거주외국 인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」
    정하나 [2016]
  • What is social capital?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concept
  • Untangling the roots of tolerance : How forms of social capital shape attitudes toward ethnic minorities and immigrants
  • Toward a Theory of Minority-group Relations
  • The social fabric at risk : Toward the social transformation of risk analysis
  • The network structure of social capital .
    Burt , R.S [2000]
  • The moral foundations of trust
  • The Place of Social capital in Understanding Social and Economic Outcomes
  • Testing alternative models of fear of crime
  • Sources of negative attitudes toward immigrants in Europe: A multi-level analysis
  • Social trust and self-rated health in US communities: a multilevel analysis
  • Social sources of delinquency: An appraisal of analytic models
  • Social risk management : A new conceptual framework for social protection, and beyond
  •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ty crime : Examining the importance of neighbor networks
  • Social capital, income inequality, and firearm violent crime
  • Social capital in development : Bonds, bridges, and links in Osa and Golfito, Costa Rica
    Hunt, C. A. [2015]
  • Social capital and feelings of unsafety in later life :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ocial networks, place attachment, and civic participation on perceived safety in Belgium
  • Social capital and ethnic harmony : evidence from the New Brunswick case
    Howe, P. [2006]
  • Social capital and democracy : An interdependent relationship
    Paxton , P. [2002]
  • Social Trust, Social Capital and Perceptions of Immigration
  • Social Factors in Juvenile Delinquency; a Study of the Community, the Family, and the Gang in Relation to Delinquent Behavior for the National Commission of Law Observance and Enforcement
  • Social Capital and Empowerment Among Squatter Settlers in Tehran, Iran
    Babaei, H. [2012]
  • SNS 사용과 이민자에 대한 태도: 사회적 자본 논의를 중심으로
    김기동 [2018]
  • Optimism and the perceptions of new risks
  • Old and new sources of risk : a study of societal risk perception in Finland
  • New Risks, New Welfare: The Transformation of the European Welfare State
  • Neighborhoods and violent crime: A multilevel study of collective efficacy
  • Making democracy work: Civic traditions in modern Italy
  • Juvenile delinquency and urban areas
  • Health by association? Social capital, social theory, and the political economy of public health
    Szreter, S. [2004]
  • Functions of social capital–bonding, bridging, linking
  • Exploring the social capital grid: bonding, bridging, qualitative, quantitative
  • Coping with crime: Individual and neighborhood reactions (Vol. 124)
  • Contexts of Social Capital
  • Community resilience and health : The role of bonding, bridging, and linking aspects of social capital
  • Citizenship struggles in Soviet successor states
  • Burglary victimization, perceptions of crime risk, and routine activities : A multilevel analysis across Seattle neighborhoods and census tracts
  • Brokerage and closure: An introduction to social capital
  • Bowling alone :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
  • Bowling alone : America 's declining social capital
  • Assessing Effect of Bridging Social Capital on the Attitudes Toward Immigrants in the US : Does Race Matter?
    Chu, Y. [2019]
  • Adolescent place attachment, social capital, and perceived safety : A comparison of 13countries
    Dallago, L. [2009]
  • A psychology of immigration .
  • 2020년 이민자 체류실태 및 고용조사
    통계청 [2020]
  • 2020년 사회통합실태조사(국가승인통계 공표용 보고서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