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회과 교육과정의 학문적 내용 타당성에 대한 성찰 - 2015 개정 초․중 ‘사회’ 과목의 일반사회 영역을 중심으로 -

' 사회과 교육과정의 학문적 내용 타당성에 대한 성찰 - 2015 개정 초․중 ‘사회’ 과목의 일반사회 영역을 중심으로 -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citizenship education
  •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
  • disciplinary content structures and trends
  • social studies curriculum
  • social studies education
  • validity of discipline content
  • 교육과정 성취기준
  • 사회과 교육과정
  • 사회과교육
  • 시민교육
  • 학문 체계와 동향
  • 학문적 내용 타당성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848 0

0.0%

' 사회과 교육과정의 학문적 내용 타당성에 대한 성찰 - 2015 개정 초․중 ‘사회’ 과목의 일반사회 영역을 중심으로 -' 의 참고문헌

  • 한국과 일본의 미군정 초기 교육정책과 사회과 도입에 관한 연구
    이진석 [2003]
  •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의 과정과 양상-2007,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-
    강대현 [2013]
  • 학교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
    정문성 [2018]
  • 초중등 학교에서의 사회적 경제 교육 방식에 대한 연구
    김혜원 [2015]
  • 초등 사회과교육론
    Parker, W. [2012]
  • 초등 사회과교육 60년: 변천과 전망
    최용규 [2005]
  • 초등 사회 교과서의 경제 단원에 나타난 소비자 교육 내용 분석
    이경윤 [2021]
  • 초․중․고 사회과 교과서의 선거교육 계열성 분석 - 2015 개정 교육과정 시기를 중심으로 -
    송성민 [2020]
  • 초·중등학교 교과 교육 내용의 적합성 제고 방안 연구
    민용성 [2010]
  • 초·중·고 교육과정상 헌법교육의 계열성 분석 및 제안
    송성민 [2015]
  • 지식의 구조와 교과
    이홍우 [2006]
  • 중학교 사회 경제 관련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-경제윤리 중심 사회적 역할 모형 비판을 중심으로-
    이윤호 [2005]
  • 인권, 무엇이라 가르칠 것인가? -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사회의 인권 내용에 대한문제점과 개선방안-
    이수경 [2018]
  • 우리나라 중학생의 학업성취수준별사회과 개념 구조 분석
    박선미 [2006]
  • 애덤 스미스의 법과 경제: 정의와 효율성간의 관계를 중심으로
    김광수 [2009]
  • 사회문화 교육과정의 문제점과개선 방향에 대한 연구
    은지용 [2006]
  • 사회과교육
    모경환 [2021]
  • 사회과 인권교육 개념에 관한 재검토, 인권교육인가? 기본권교육인가?
    전윤경 [2019]
  • 사회과 법교육에 있어서 국제법 교육의 실태와 대안 탐색에 관한 연구
    박성혁 [2004]
  • 사회과 교육론–시민교육의 이상과 현실
    강대현 [2021]
  • 사회과 교육과정. 교육부 고시 제2018-162호 [별책 7]
  •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선거교육 내용 분석
    김명정 [2014]
  • 사회ㆍ문화 교과서의 STS 관련 내용 분석 -‘정보화’ 단원을 중심으로
    주주자 [2008]
  • 사회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적 협동조합의 거버넌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- 공동생산 개념을 중심으로 -
    윤길순 [2015]
  • 미국 선거 교육 사례연구: 2008년 이후 대통령 선거 시기를 중심으로
    곽한영 [2017]
  • 규범경제학의 최근 동향 : 공정배분과 사회선택이론
    주병기 [2017]
  • 교과 교육과정의 적정화 지침 개발 연구
    이승미 [2011]
  • 고등학교‘국제사회의 법과 정치’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? -법과 정치 교과서 국제법 분야에 대한 정인섭 교수의 분석에 대한 답변-
    진시원 [2017]
  • 고등학교 사회문화 교육과정의 비판적 고찰
    황갑진 [2008]
  • 고등학교 ‘법과 정치’ 교과서의 분석과 개선 모색-민사법 분야-
    남효순 [2014]
  • 고등학교 ‘법과 정치’ 교과서에서의 노동인권교육 내용 분석
    윤종수 [2016]
  • 고등학교 ‘법과 정치’ 교과서 분석과 개선 모색 -헌법 분야-
    이효원 [2014]
  • 고등학교 '법과 정치' 교과서의 분석과 개선 모색-국제법 분야-
    정인섭 [2014]
  • 고등학교 '국제법'의 교육과정 개선에 관한 탐색적 연구
    정상우 [2015]
  • 경제윤리학의 등장과 학교 경제교육의 방향 탐색
    정용교 [2008]
  • 경제윤리에 대한 실증연구 : 공동체적 선(善) vs. 경제적 효율성
    류지명 [2015]
  • 「사회·문화」 교과서의 ‘역할’ 관련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
    차조일 [2015]
  • ‘사회·문화’ 교육과정의 내용 타당성에 대한 분석 연구
    은지용 [2006]
  • Transition of Labor Education Contents Appeared in High-School Economic Textbooks
    김현진 [2018]
  • The Role of Social Science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Citizenship Education
    강대현 [2017]
  • The Analysis on the Concept and Relationship of Terms between Human Rights, Fundamental Rights, Fundamental Human Rights in Law-related Education - Focused on Analyzing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 -
    정순원 [2021]
  • Social studies for secondary schools: Teaching to learn, learning to teach
  • Pareto Efficiency and Equality
    김석호 [2015]
  • Homo Economicus vs Social Preference and Fairness : A Critique of School Economic Education
    이윤호 [2021]
  • Economic Justice Education: Justifi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itizenship Education
    김재근 [2017]
  • Analysis of the Human Rights Unit in Content Organization in the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in 2015 Revised Curriculum
    구정화 [2019]
  • Analysis of the Content System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the "Guarantee of Human Rights and the Constitution" Unit in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
    구정화 [2019]
  • Analysis of the 2015 Revised Society and Culture Curriculum - Focusing on Expert Delphi and Opinion Survey Results -
    박선웅 [2017]
  • Analysis of Economic Ethics Content in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 - Focused on the Consumers’ Choice and Role -
    김태환 [2019]
  • An Analysis of the Sequence of Governance Structures Education in Period of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
    정상우 [2021]
  • A study on the time-periodic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- From syllabus period to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-
    옥일남 [2017]
  • A Study on the Criteria of Human Rights Perspectives in composing Subject Curriculum and Textbooks
    박새롬 [2021]
  • A Historical Account of a Major Concept in Social Studies: Focusing on Cooley's Concept of Primary Group
    차조일 [2012]
  • A Comparative Study on the Economic Education Contents in Korean-Japanese Social Studies Curriculum
    유종열 [2021]
  • 2015 개정 초등 사회 교과서에 제시된 ‘갈등’ 내용 분석
    박새롬 [2020]
  •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·중학교 교과 교육 내용의 적정성 분석: 국어, 사회, 영어
    주형미 [2020]
  •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-고등학교. 교육부 고시 제2015-74호
  •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Ⅰ- 사회과 교육과정
    모경환 [2015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