학령후기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결정성동기가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

' 학령후기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결정성동기가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Key Words: Children
  • Receptive Parenting Attitude
  • School Adjustment
  • parental attitude
  • self-determined motivation
  • 부모양육 태도
  • 수용적 양육태도
  • 자기결정성동기
  • 학교생활적응
  • 핵심어: 학령후기 아동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,333 0

0.0%

' 학령후기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결정성동기가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' 의 참고문헌

  • 한국 청소년의 학업동기 발달
    김아영 [2008]
  • 한국 대학생들의 자기조절동기, 학업정서 및 인지적 자기조절 학습전략 사용 간의 경로 탐색 연구
    김현진 [2011]
  • 학습장애 학생과 일반학생의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와 학교적응의 관계
    신보희 [2012]
  • 학대와 따돌림이 청소년기 우울과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: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
    정익중 [2012]
  • 학교적응의 종단적 변화와 예측 변인 탐색
    이희정 [2010]
  • 평가방식이 자기결정성 동기를 매개로 수업참여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
    백진호 [2012]
  •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이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
    윤미라 [2010]
  • 초등학생의 학년과 성별에 따른 자기결정성 수준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
    임지현 [2007]
  •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, 학교생활적응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
    김소영 [2007]
  • 초등학교에서 중학교 전환기 학생의 자기결정성동기 잠재전이분석 및 부모 변인 예측효과 검증
    장희선 [2020]
  • 초등학교 고학년 부모-자녀 의사소통과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에 따른 군집 유형별 자기결정성 동기와 그릿(Grit)의 차이
    박혜연 [2019]
  • 초기 청소년의 학교적응 변화양상과 예측요인
    이영애 [2016]
  • 초․중학생 부모의 비지지적 양육태도와 학교생활부적응 간 관계에서 학습무동기의 매개효과
    유계환 [2018]
  •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 및 비행경험의 조절효과
    권윤정 [2017]
  •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
    박신영 [2018]
  • 청소년의 외현적 공격성 및 내면화된 문제행동의 개인별 변화에 대한 친한 친구 관련 변수의 영향
    김재철 [2010]
  • 청소년의 수치심경향성, 죄책감경향성과 부모양육태도, 자기결정동기, 학교생활적응의 관계
    최창석 [2011]
  •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간의 관계 : 정서경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
    조한익 [2012]
  •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, 자기결정성동기, 정서지능, 자기조절학습 간의 구조적 관계
    최헌철 [2020]
  • 자기결정이론을 토대로 한 학습동기 경로 모형 검증
    이민희 [2008]
  • 자기결정성 동기와 학업적 성과의 관계: 동일시 조절과 내사 조절 의 효과 재조명
    이은주 [2017]
  • 양육철학의 개념과 우리나라 부모양육철학의 방향성 제안
    한영식 [2019]
  •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: 아동의 귀인성향을 매개변인으로
    김정숙 [2010]
  • 아동이 지각한 모의 양육태도와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관계: 학업적 실패내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
    서지혜 [2014]
  • 아동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: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
    조연희 [2015]
  • 아동기에서 청소년기로의 전환과정에서 내재화 문제의 변화양상과 예측요인
    좌현숙 [2010]
  •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또래애착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
    김현주 [2015]
  • 부모의 양육방식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생활 적응의 변화 궤적에 미치는 영향
    이정민 [2015]
  • 부모양육태도와 유아의 자아탄력성이 유아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
    류관열 [2014]
  • 부모양육태도에 따른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학업성취도 간의 종단 적 관계
    김진아 [2016]
  •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: 정책 적 시사점 도출을 중심으로
    기성진 [2012]
  • 모의 양육태도와 아동과의 의사소통이 유아의 자기주도 학습력에 미치는 영향
    이명란 [2014]
  • 남자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 서 자기결정성동기와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
    김정화 [2019]
  • 긍정적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- 자기조절학습의 매개효과와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-
    고미숙 [2016]
  • 긍정적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
    임혜림 [2014]
  •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학업성취의 관계: 자기결정성 동기의 매개효과
    이나언 [2016]
  • 自我尊重感과 學校生活適應과의 關係 硏究
    李勳珍 [1999]
  • 學業成就와 知覺된 養育態度가 自我槪念에 미치는 影響
    金琪正 [1985]
  • 學校生活適應과 自我槪念이 學業成績에 미치는 影響
    閔炳壽 [1991]
  • The "What" and "Why" of Goal Pursuits: Human Needs and the Self-Determination of Behavior
  • Supportive parenting, Ecological Context, and Children's Adjustment: A seven-Year Longitudianl Study
  • Self-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, social development, and well-being
  • Perceived locus of causality and internalization: Examining reasons for acting in two domains.
  • Pancultural Associations Between Perceived Parental Acceptance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of Children and Adults
  • Maladaptive perfectionistic self-representations: The mediational link between psychological control and adjustment
  • Introduction to Mediation, Moderation,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
  •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-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
    Deci, E. L. [1985]
  • Inner resources for school achievement : Motivational mediators of children’s perceptions of their parents
  • Distinguishing Three Way of BeingInternally Motivated A Closer LookatIntrojection, identificationand Intrinsic Motivation HandbookOf Self-Determination Research
  • Deep Structure of the Human Affectional System: Introduction to Interpersonal Acceptance-Rejection Theory
  • Between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: Examination of Reasons for Academic Study based on the Theory of Internalizati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