‘테이신타이(挺身隊)’로 동원된 여성의 포스트/식민 현실과 재현 난제 –하근찬의 월례소전(月禮小傳) 을 중심으로–

서승희 2022년
논문상세정보
' ‘테이신타이(挺身隊)’로 동원된 여성의 포스트/식민 현실과 재현 난제 –하근찬의 월례소전(月禮小傳) 을 중심으로–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Colonial Memory
  • Ha
  • Jeongshindae (Teisintai)
  • Korean People in Sakhalin
  • Wol-Rye-So-Jeon(月禮小傳)
  • geun-chan
  • nationalnarrative
  • ‘Comfort Women’ for the Japanese Army
  • 국민 서사
  • 사할린 한인
  • 식민지기억
  • 월례소전
  • 일본군 ‘위안부’
  • 정신대
  • 하근찬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55 0

0.0%

' ‘테이신타이(挺身隊)’로 동원된 여성의 포스트/식민 현실과 재현 난제 –하근찬의 월례소전(月禮小傳) 을 중심으로–' 의 참고문헌

  •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
  • 하근찬의 민족수난 서사와 아버지의 표상
    류동규 [2015]
  • 하근찬 전집 9: 夜壺 下
    하근찬 [2021]
  • 하근찬 전집 9: 夜壺 上
    하근찬 [2021]
  • 하근찬 장편소설 『야호(夜壺)』의 관전사(貫戰史)적 연구-국가권력의 폭력구조와 국민정체성의 이동을 중심으로
    염창동 [2018]
  • 하근찬 소설에 나타난 식민교육담론 연구
    변화영 [2006]
  • 총동원체제기 식민지 조선에서 정신대와 위안부 개념의 착종 연구: 정신대의 역사적 개념 변천을 중심으로
    박정애 [2020]
  • 책임과 변명의 인질극
  • 전후 작가의 식민지 기억과 민족주의 ―하근찬 소설을 중심으로
    서승희 [2013]
  • 전야제 외‧月禮小傳
    서기원 [1990]
  • 잡지미디어, 불온, 대중교양 -1960년대 복간 『신동아』 론-
    이봉범 [2013]
  • 유년의 입사형식(入社形式)과 기억의 균열 -하근찬의 유년체험의 형상화와 식민화된 주체
    한수영 [2014]
  • 예루살렘의 아이히만
  • 여자정신대 그 기억과 진실
    박광준 [2022]
  • 여성동아
  • 신동아
  • 식민지 학교의 기억과 그 재현 - 하근찬의 경우 -
    류동규 [2011]
  • 식민지 조선에서의 ‘애국백인일수’ 수용 양상 연구-‘애국백인일수’ 전람회를 중심으로-
    박상현 [2016]
  • 사할린—얼어붙은 섬에 뿌리내린 한인의 역사와 삶의 기록
    최상구 [2015]
  • 사할린 잔류자들‒국가가 잊은 존재들의삶의 기록
    현무암 [2019]
  • 동아일보
  • 단절과 고립의 냉전서사로서의 일본군 ‘위안부’ 서사 연구 : 1960∼1970년대 일본군 ‘위안부’ 서사를 중심으로
    장수희 [2021]
  • 내 안의 일본-해방세대 작가의 식민지 기억과 ‘친일’ 문제
  • 내 안에 내가 있다
    하근찬 [1997]
  • 기억문화연구
    태지호 [2014]
  • 경향신문
  • 月禮小傳
    하근찬 [1975]
  • 『조선일보』
  • ‘위안부’ 문제와 식민지 지배 책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