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공공데이터법>과 인문데이터 -공공기관 보유 인문데이터 공개 신청 사례를 중심으로

김바로 2022년
논문상세정보
' <공공데이터법>과 인문데이터 -공공기관 보유 인문데이터 공개 신청 사례를 중심으로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Public data
  • digital humanities
  • humanities
  • humanities data
  • public institution
  • 공공기관
  • 공공데이터
  • 디지털 인문학
  • 인문데이터
  • 인문학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,469 0

0.0%

' <공공데이터법>과 인문데이터 -공공기관 보유 인문데이터 공개 신청 사례를 중심으로' 의 참고문헌

  •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
  • 한국사데이터베이스, 한국근대지리정보
  • 한국사데이터베이스, 일제감시대상인물카드
  • 한국문집총간 편목색인, 범례
  • 한국근대지리정보 제공신청 반려
  • 한국고전종합DB, 한국문집총간 편목색인
  • 한국고전번역원 한국문집총간 편목색인 제공신청반려
  • 조선왕조실록, 선조수정실록 2권, 선조 1년 2월 1일 辛巳 2번째기사
  • 조선 후기 여성 전기문학을 통한 인물 관계 데이터 모델 연구 : 『한국문집총간』 수록 여성 전기문학을 중심으로
    김선미 [2021]
  • 인문정보학의 모색
  • 시맨틱 데이터 아카이브의 구축과 활용 : 제도와 인사의 관계에 대한 근대(1895〜1910) 학교 자료를 중심으로
  • 부당이득금반환(공개된 개인정보를 수집하여 제3자에게 제공한 행위에 대하여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침해를 이유로 위자료를 구하는 사건)[대법원 2016. 8. 17., 선고, 2014다235080, 판결]
  • 모두의 말뭉치, 자주 찾는 질문, 말뭉치를 상업적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나요?
  • 모두의 말뭉치
  • 데이터역사과학 ‒ 고대 문명의 보편 질문을 향한 관문
    김광림 [2020]
  •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“공공정보의 민간활용을 위해 정부가 나선다”
  • 국립국어원, 중단됐던 ‘국가 말뭉치 구축사업’ 10년 만에 재개
  • 교육부 국사편찬위원회_한국사데이터베이스 정보_일제감시 대상인물카드
  • 교육부 국사편찬위원회_조선왕조실록 정보_실록원문
  • 교육부 국사편찬위원회_조선왕조실록 정보_부가정보 인물 데이터
  • 교육부 국사편찬위원회_조선왕조실록 정보_고순종실록 원문
  • 교육부 국사편찬위원회_근대지리정보
  • 공인 개념의 현실적 의의와 범위에 대한 고찰 ― 법무부 ‘수사공보준칙’에 나타난 공인 개념을 중심으로 ―
    심석태 [2011]
  • 공공데이터포털
  • 공공데이터제공분쟁조정사건(2020-015)
  • 공공데이터제공분쟁조정사건(2018-011)
  •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[시행 2020. 12. 10.] [법률 제17344호, 2020. 6. 9., 타법개정]
  •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[시행 2013. 10. 31.] [법률 제11956호, 2013. 7. 30., 제정]
  • 공공데이터 영역 리스크 관리에 관한 법적 소고 — 데이터 개방에 따른 개인정보 관련 리스크를 중심으로 —
    권은정 [2020]
  • 공공데이터 부분제공 결정통지서(2016-33)
  • 공공데이터 관리지침[시행 2021. 10. 26.] [행정안전부고시 제2021-70호, 2021. 10. 26., 전부개정]
  • 공공데이터 관리지침 개정 고시(행정안전부고시 제 2019-71호)
  •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[시행 2021. 12. 23.] [법률 제17690호, 2020. 12. 22., 일부개정]
  • 개인정보 보호법[시행 2020. 8. 5.] [법률 제16930호, 2020. 2. 4., 일부개정]
  • 『조선왕조실록』
  • Gradient-based learning applied to document recognition
    Y. Lecun [1998]
  • A conceptual framework for data quality in knowledge discovery tasks (FDQ-KDT): A Proposal