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가락국기> ‘굴봉정촬토(掘峯頂撮土)’의 장례의례적 성격 고찰

' <가락국기> ‘굴봉정촬토(掘峯頂撮土)’의 장례의례적 성격 고찰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Dasiraegi
  • Funeral rites
  • Garakgukgi
  • Gulbongjeongchwalto
  • Jejeol
  • Samgukeusa
  • Suro myth
  • gujiga
  • 〈가락국기〉
  • 〈구지가〉
  • 〈다시래기〉
  • 〈수로신화〉
  • 『 삼국유사 』
  • 굴봉정촬토
  • 장례의례
  • 제절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00 0

0.0%

' <가락국기> ‘굴봉정촬토(掘峯頂撮土)’의 장례의례적 성격 고찰' 의 참고문헌

  • 향가문학연구
    김종우 [1974]
  • 한문학적 관점으로 본 구지가(龜旨歌)의 재해석
    어강석 [2015]
  • 한국의 초분
  • 한국의 관혼상제
    장철수 [1997]
  • 한국신화의 연구
    황패강 [2006]
  • 한국민속대백과사전
  • 한국문학사
    조윤제 [1997]
  • 한국무속과 연희
    이두현 [1996]
  • 한국고대의 건국신화와 제의
    김주진 [1999]
  • 표준국어대사전
  • 통과의례
  • 종교사개론
    Elliade, M [1993]
  • 제주유맥육백년사
  • 제주도무속자료사전
    현용준 [1980]
  • 제주도 심방의 멩두 연구 : 기원, 전승, 의례를 중심으로
    강소전 [2012]
  • 장제와 관련된 무속연구-특히 초분과 씻김굿에 대하여
    이두현 [1973]
  • 장례의 역사
    박태호 [2006]
  • 인도네시아 바라(Bara)족, 중국 흰 바지 야오족(瑤族)의 장례에서의 성적(性的) 제의와 진도 다시래기의 아기 낳기 놀이의 비교
    안철상 [2009]
  • 양평 앙덕리 고인돌 발굴보고
    이융조 [1975]
  • 양주 금남리 지석묘 조사보고
    황용훈 [1972]
  • 쉽게 풀어본 龜旨歌詞의 해석
    이상돈 [2011]
  • 송이도(松耳島)의 초분(草墳) 고찰-“앉은 초분”의 형태와 그 기능을 중심으로-
    박종오 [2005]
  • 삼한의 사회와 문화
    송화섭 [1997]
  • 삼국유사
  • 삼국유사
    이병도 [1962]
  • 사학연구제주도 심방의 멩두 연구
    방선주 [1968]
  • 국문학사
    조윤제 [1949]
  • 구지가와 그 배경의 연구
    김승찬 [1975]
  • 구지가연구
    박지홍 [1957]
  • 구지가 신연구
    박진태 [1982]
  • 고소설의 원시종교사상연구
    박용식 [1986]
  • 고령 지산동 고분군에서 ‘건국신화 그림 6종’ 새겨진 토제방울 출토
  • 고대인들의 황천(皇天) 인식과 소망 성취 방식 - <구지가(龜旨歌)>를 중심으로 -
    김병국 [2019]
  • 가야의 문화와 역사
    김태식 [2009]
  • 가야고분군 Ⅴ-가야고분군 연구총서
    배성혁 [2020]
  • 龜旨歌 敍事의 封祭機能 硏究
    오태권 [2007]
  • 龜何歌攷
    황패강 [1965]
  • 駕洛國記의 山上儀禮와 龜旨歌의 性格에 대한 小考
    황경숙 [1994]
  • 韓國 葬俗에 나타난 演劇性 硏究
    이상범 [1996]
  • 豊饒祈願노래로서의「龜旨歌」연구
    조용호 [2010]
  • 譯解 三國遺事
    박성봉 [1985]
  • 國文學通論․國文學史
    박성의 [1976]
  • 出喪 前夜 喪家에서 행해지는 葬禮놀이
    오임숙 [2017]
  • 『三國史記』,
  • 《隋書》,
  • 《三國志》,
  • ‘김수로왕 탄생 신화’ 〈구지가〉 논란 불러올 흙방울 출토
  • ‘굴봉정촬토(掘峰頂撮土)’ 행위로 본<구지가>의 성격에 대한 재고
    박재민 [2018]
  • ‘구지가’ 연상시키는 1500년 전 방울…가야의 신비 풀리나