트랜스 동아시아 BL 대중화 경향 연구 - 한・중・일 3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-

논문상세정보
' 트랜스 동아시아 BL 대중화 경향 연구 - 한・중・일 3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-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BL(Boys Love)
  • Hako no naka
  • MoDaoZuShi
  • bl(보이즈 러브)
  • east asia
  • media
  • popularization
  • 『마도조사(魔道祖师)』
  • 『상자 속(箱の中)』
  • 대중화
  • 동아시아
  • 미디어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2,414 0

0.0%

' 트랜스 동아시아 BL 대중화 경향 연구 - 한・중・일 3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-' 의 참고문헌

  • 후죠시(腐女子)는 말할 수 있는가?: ‘여자’ 오타쿠의 발견
    김효진 [2010]
  • 한국 동인문화와 야오이: 1990년대를 중심으로
    김효진 [2013]
  • 페미니즘의 시대, 보이즈 러브의 의미를 다시 묻다 : 인터넷의 ‘탈BL’ 담론을 중심으로
    김효진 [2019]
  • 진강문학성(晉江文學城) 홈페이지
  • 웹소설 작가를 위한 장르 가이드 9: 보이즈 러브(BL)
    이미호 [2017]
  • 아마존 재팬 홈페이지
  • 순애를 통해 본 BL(보이즈 러브)만화 연구─한일 BL만화 비교를 중심으로
  • 성인동
  • 선협(仙俠)의 위상변화와 확장적 스토리텔링 전략 — 세계 창조 기술로서의 선협
    류호현 [2021]
  • 미디어 두와 NTT 도코모의 공동출자기업인 에브리스타 홈페이지
  • 남성 동성애 서사로서 <아재‘s 러브(おっさんずラブ)> 시리즈의 가능성과 한계
    김효진 [2020]
  • 그녀들은 왜 소년들의 사랑에 열광하는가?-야마오카 시게유키(山岡重行) <후죠시의 심리학(腐女子の心理学)>
    김소원 [2018]
  • 韓国のBL·やおい文化の流れ
    宣政佑 [2012]
  • 那些偷偷读网文的孩子,他们长大了——《男频周报》发刊词
    吉云飞 [2015]
  • 腐女子の「ファンタジー·トラブル」─身体·欲望·妄想をめぐるBLファンタジーの存在論
    張瑋容 [2021]
  • 耽美现象背后的女性诉求——对耽美作品及同人女的考察
    郑丹丹 [2009]
  • 美少年学入門
    中島梓 [1997]
  • 网络文学的题材类型
    蓝爱国 [2008]
  • 网络同人小说的权利界定
    孙战龙 [2006]
  • 粉丝经济的三重面相
    杨玲 [2015]
  • 粉丝小说和同人文 : 当西方与东方相遇
    杨玲 [2009]
  • 箱の中
  • 父权的偷换——论耽美小说的女性阉割情结
    张博 [2011]
  • 我国“耽美文化”的网络传播浅析
    葛志远 [2009]
  • 想象的政治:“耽美”迷群体的文本书写与性别实践
    朱丽丽 [2015]
  • 女性たちの“腐った夢”=<やおい小説>
  • 同人女群体:“耽美”现象背后
    杨雅 [2006]
  • ボーイズラブの臨界―<木原音瀬>というノイズ
  • ファンタジーのポリティクス─ボーイズラブを論じるための理論的基盤に向けて
  • ゲイに共感する女性たち
    石田仁 [2007]
  • インタビュー 自然な〈萌え〉を表す文体 (特集 BL ボーイズラブ オン·ザ·ラン!)
  • やおい/BLを研究する─方法論とディシプリン
  • おっさんずラブ」が最優秀作品賞ほか6冠!貴島彩理P『温かくてカッコいい, 最高の“座長”に感謝』
  • いまさら聞けない用語もわかる!ボーイズラブの歴史
  • 「ボーイズラブ」ジャンル形成期における「マンガ·アニメファン」雑誌の言説
  • 「やおい」·「ボーイズラブ」(BL)研究における森茉莉評価の再検討─「月の光の下で」論
  • “耽美”小说的几个主题
    张冰.论 [2012]
  • “女性向”网络文学的性别实验——以耽美小说为例
    肖映萱 [2016]
  • ‘당사자’와 ‘비당사자’의 사이에서: 요시나가 후미 만화의 게이 표상을 중심으로
    김효진 [2019]
  • BL진화론 : 보이즈 러브가 사회를 움직인다
  • BL장르 세계관 분석을 통한 가상적 섹슈얼리티 생산 가능성 연구: 알파 / 오메가 섹슈얼리티의 페미니즘적 해석을 중심으로
    장민지 [2020]
  • BL소설
  • BLカルチャー論─ボーイズラブがわかる本
  • BL 만화의 탈19금과 대중화 전략: 여성 독자 심리와 일본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
    김소원 [2021]
  • 2020년대 한국, 창작자와 독자/수용자의 거리─해석 공동체로서의 BL 커뮤니티를 사례로
    김효진 [2021]
  • (언제나 우리 곁에 있었던) BL의 재발견
    김효진 [2020]
  • "同人女"现象的分析与思考
    王萍 [2008]
  • "出圈"的耽美 : 国内耽美文化发展概述
    邓楠楠 [2021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