강릉 문화자원을 활용한 니트 패션문화상품 개발 -강릉 수보 문양을 중심으로-

논문상세정보
' 강릉 문화자원을 활용한 니트 패션문화상품 개발 -강릉 수보 문양을 중심으로-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knit
  • Gangneung Subo
  • culturalresources
  • fashion culture products
  • textile design
  • 강릉 수보
  • 니트
  • 문화자원
  • 텍스타일 디자인
  • 패션문화상품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283 0

0.0%

' 강릉 문화자원을 활용한 니트 패션문화상품 개발 -강릉 수보 문양을 중심으로-' 의 참고문헌

  • 한국전통보자기[Korean traditional Bojagi]
  • 한국의 전통색과 색채 심리 [Traditional colors and color psychology in Korea]
    Ha, Y. [1989]
  • 한국 민속제의와 음양오행
    Kim, E. [1993]
  • 지역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가야유물의 조형성 연구
    송미정 [2010]
  • 조선시대 조각보의 색채와 면구성에 관한 연구
    김지연 [2009]
  • 제주 초가(草家) 형태를 직물 문양으로 활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및 지역패션문화상품 개발
    윤성희 [2015]
  • 자수문양[Embroidery patterns]
  • 이렇게 예쁜 보자기 [Bojagi‘s Simple Elegance]
    Heo, D. [2004]
  •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규방 문화[Our Gyubang culture]
    Heo, D. [2006]
  • 옛보자기 [Characteristics Bojagi]
    Heo, D. [1988]
  • 역사 문화자원을 활용한 텍스타일 패턴디자인 개발 방안 연구 - 강릉의 역사인물 난설헌 허초희 작품을 중심으로 -
    양순영 [2013]
  • 신사임당의 초충도를 활용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- 팝아트의 색채표현을 적용하여 -
    송재민 [2015]
  • 신사임당의 예술작품을 활용한 스카프 직물디자인 개발 및 제작 -초충도를 중심으로-
    정진순 [2014]
  • 신사임당 초충도를 응용한 패션 디자인
    이윤미 [2007]
  • 사라져가는 우리 보자기 [Our Bojagi disappearing]
    Heo, D. [1997]
  • 백제문양을 활용한 니트 패션문화상품 개발
    서미영 [2013]
  • 문화자원과 지역 정책 [Cultural resources and Local policies]
    Nam, C. [2007]
  • 난설헌의 캘리그래피와 아르 데코의 기하학적 문양을 이용한 커피 잔 패턴디자인
    양순영 [2014]
  • Textile design using Chochungdo motif
    Kim, H. J. [2014]
  • Textile design development applying Shin saimdang's painting Chochungdo: Focused on fashion culture products
    Hyun, S. H. [2009]
  • Sumok-mun Subo 3
  • Sumok-mun Subo 1
  • Suhwa-mun Subo 1
  • National Museum of Korea Goods Shop
  • Local tourism and economic vitality found on KTX
  • Hwajo-mun Subo 2
  • Hwajo-mun Subo 1
  • Generational color preference
  • Gangneung oriental embroidery museum to close after 10 years
  • Gangneung Embroidered Bojagi Glasses Cleaner
  • Exhibition ‘GIV’
  • Bedding in the Drama ‘Saimdang’
  • About 5,000 artifacts from the Korea embroidery museum donated to Seoul museum of craft art
  • A study on the urban regeneration strategy of Gangneung city using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
    Lee, H. J. [2009]
  • A study on the textile design using the formative beatuty of the Gangneung Seongyojang
    Lee, N. H. [2020]
  • A study on the scarf design of applied natural dyeing
    Lee, J. Y. [2003]
  • A study on the design of parasol fabric using Chochungdo
    Cha, B. Y. [2010]
  • A study on textile design through the application of Shin saimdang's Cho-chung-do
    Jung, M. J. [2015]
  • A study on developing cultural goods using historical cultural resources and amenity resources
    Kim, J. H. [2006]
  • A study on clothing design applying the patterns of Subo in the late Joseon Dynasty:Focused on gutta flame retardant technique
    Lee, S. J. [2005]
  • A study focused on the design value of formativeness in cloth wrapper of Gangreung
    Kim, S. I. [2012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