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랑과 돌봄, 사적 영역의 변혁 시도와 한계 : 식민지 시기 콜론타이즘 수용의 유산들

노지승 2022년
' 사랑과 돌봄, 사적 영역의 변혁 시도와 한계 : 식민지 시기 콜론타이즘 수용의 유산들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Jeong Chil-Seong
  • Kollontaism
  • Private shpere
  • Publicness of care labor
  • Women’s economic independence
  • heojeong-sook
  • kollontai
  • the Dissolution of the family system
  • 가족의 해체와 재구성
  • 돌봄 노동의 공공화
  • 사적 영역
  • 여성의 경제적 독립
  • 정칠성
  • 콜론타이
  • 콜론타이즘
  • 허정숙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70 0

0.0%

' 사랑과 돌봄, 사적 영역의 변혁 시도와 한계 : 식민지 시기 콜론타이즘 수용의 유산들' 의 참고문헌

  • 한국근대여성운동사연구
    박용옥 [1982]
  • 한국공산주의 운동사 연구
    서대숙 [1985]
  • 프롤레타리아 연애론
    윤형식 [1932]
  • 풍문첩
    [1930]
  • 콜론타이즘의 이입과 신여성기획 ― ‘지식인여성노동자’ 등장과 ‘주의자연애’를 중심으로 ―
    서정자 [2004]
  • 콜론타이의 여성 문제의 사회적 기초·세계여성의 날
  • 코론타이 연애관 비판
    김온 [1930]
  • 최창익 연구
    심지연 [2009]
  • 최근 노서아의 연애와 매음, 레-닌그래드에서
  • 주저 없이 꿈꾸고 사랑하다
  • 조선의 콜론타이스트 허정숙
    [1932]
  • 적연 비판, 꼬론타이의 성도덕에 대하야
    정칠성 [1929]
  • 인생게시판
    [1934]
  • 이정 박헌영 전집 8
    박갑동 [2004]
  • 육년만에 출옥하니 완연한 격세지감
  • 유년기에 대한 회상
  • 위인의 연애관
    허정숙 [1926]
  • 옥중기(2)
    임원근 [1930]
  • 오분간이면 이혼이 되는 노서아의 남녀
    [1932]
  • 열정의 여성 운동가 허정숙
    서형실 [1992]
  • 여자 해방은 경제적 독립이 근본
  • 여성주의 고전을 읽는다
    한정숙 [2012]
  • 여기자 군상
    [1935]
  • 애욕문제로 동지에게
    민병휘 [1931]
  • 앞날을 바라보는 부인 로동자
    정칠성 [1931]
  • 알렉산드라 콜론타이-볼셰비키와 여성해방
  • 알렉산드라 콜론타이(1872-1952)의 사회주의 여성해방 사상-공산주의적 성적 도덕과 섹슈얼리티를 중심으로-
    이정희 [2008]
  • 아지트 키퍼와 하우스 키퍼 ―여성 사회주의자의 연애와 입지
    장영은 [2008]
  • 신여성이란 무엇-가치대폭락의 허물은 누구에게
  • 신년과 여성운동
  • 식민지 조선에서의 콜론타이 논의의 수용과 그 의미
    배상미 [2014]
  • 세계의 동향
    [1930]
  • 성혁명
  • 성적 지배와 그 양식들
    이종영 [2001]
  • 성 정치학
  • 서구 페미니즘 사상의 근대적 수용 연구
    홍창수 [2004]
  • 사회주의 운동가, 조선의 ‘콜론타이’ 허정숙
    신영숙 [2006]
  • 사랑의 급진성-욕망, 사랑, 섹슈얼리티 쾌락의 힘 그리고 혁명에 대하여
  • 붉은 연애의 주인공들
    [1931]
  • 붉은 연애와 새로운 여성
    이태숙 [2006]
  • 붉은 사랑
  • 민족 변호사 허헌
    허근욱 [2001]
  • 미래는 우리의 것이다: 한국 페미니즘의 기원, 근우회
    이임하 [2021]
  • 마르크스주의자들의 여성해방론
  • 남편 재옥·망명 중 처의 수절문제
    [1930]
  • 계급전선에서 떨어진 꽃들
    김옥엽 [1933]
  • 弱한 者여 네 일홈은 男子니라
  • ‘여성해방’에 대한 콜론타이와 레닌의 정치적 갈등
    김은실 [2008]
  • 1930년대 전반기 이효석 소설의 마르크시즘 차용 양상
    이미림 [2020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