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 중년기 가계의 다중빈곤 연구: 소득, 자산, 시간 빈곤을 중심으로

' 한국 중년기 가계의 다중빈곤 연구: 소득, 자산, 시간 빈곤을 중심으로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Assets poverty
  • Income poverty
  • Korean labor & income panel study
  • Korean middle-aged households
  • Multidimensional poverty
  • time poverty
  • 다중빈곤
  • 소득빈곤
  • 시간빈곤
  • 자산빈곤
  • 중년기 가계
  • 한국노동패널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29 0

0.0%

' 한국 중년기 가계의 다중빈곤 연구: 소득, 자산, 시간 빈곤을 중심으로' 의 참고문헌

  • 희귀 사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위한 편의 수정방법 비교 연구
    김형우 [2014]
  • 한국의 다차원적 빈곤 분석: 실현능력접근서병수
    서병수 [2007]
  • 한국에서 자산빈곤의 변화추이와 요인분해
    이상은 [2011]
  • 한국사회 빈곤의 여성화의 장기적 변화와 영향요인
    노혜진 [2020]
  • 한국 다차원 빈곤의 종단분석: 차원계수방식에 의한 실현능력접근
    서병수 [2013]
  • 청년 1인가구의 성별 생활시간 사용구조와 주관적 시간빈곤: 부부가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
    서지원 [2017]
  • 중년기가계의 노후대비 지출실태에 관한연구
    송혜림 [1998]
  • 중년기 남녀 봉급생활자의 은퇴계획 비교 분석 : 경제적 준비와 건강준비를 중심으로
    홍성희 [2006]
  • 중년기 기혼남녀의 가족스트레스, 사회적 지지 자원이 결혼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
    박주희 [2015]
  • 중년기 기혼남녀의 가정자원 수준 및 집단별 생활만족도
    박미석 [2012]
  • 중년기 가정의 세대 간 경제적 자원이전과 노후생활 준비
    김순미 [2012]
  • 중고령자의 자산빈곤 특성 및 자산빈곤이행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
    유태균 [2014]
  • 중·고령자의 빈곤 특성과 사회인구학적 결정요인
    이상붕 [2018]
  • 중 장년층의 이중부양 부담과 정책 과제
    김유경 [2019]
  • 저소득층의 자산 실태 분석
    남상호 [2009]
  • 저소득층 자산형성지원프로그램 시행방안
    이태진 [2005]
  • 재무설계의 유용성
    최현자 [2008]
  • 재량시간(discretionary time)을 중심으로 본 빈곤여성의 삶의 질
    노혜진 [2013]
  • 장애인의 빈곤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- 취업상태와 공공부조제도를 중심으로 -
    남정휘 [2016]
  • 자산빈곤이행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
    강성민 [2009]
  • 자산빈곤과 빈곤지속
    석상훈 [2011]
  • 우리나라 소비자의 재무관리역량
    김정현 [2012]
  • 우리나라 소득빈곤 및 자산빈곤의 이행추이 분석
    김성태 [2016]
  • 우리나라 빈곤율의 변화추이와 정책방향:소득분포 특성 고찰과 가상패널 구축을 통해 살펴본 빈곤추이와 정책시사점
    성명재 [2005]
  • 우리나라 베이비붐 세대의 자산보유 현황과 시사점
    남상호 [2011]
  • 여성가구주의 발생원인에 따른 빈곤특성 분석
    박재규 [2009]
  • 시민의 부패 경험과 부패영향요인에 대한 인식의 관계: 관계의 시점 간 안정성과 효과크기 분석
    고길곤 [2017]
  • 시간빈곤이 일가족양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−미취학자녀를 둔 기혼취업여성을 중심으로
    박예은 [2016]
  • 시간빈곤과 이중빈곤의 실태와 영향요인 - 다양한 시간빈곤 개념 적용 -
    노혜진 [2019]
  • 시간과 소득의 이중빈곤
    노혜진 [2010]
  • 시간과 소득의 동시 빈곤에 관한 연구 - 남녀 가구주를 중심으로 -
    오혜은 [2017]
  • 소득·자산 기준 빈곤 지위별 부채 보유특성
    신규수 [2019]
  • 소득 계층에 따른 시간 빈곤 결정요인 분석
    박세정 [2020]
  • 사회복지정책론
    원석조 [2017]
  • 빈곤의 특성과 결정요인: 차상위계층을 중심으로
    이상붕 [2016]
  • 빈곤의 측정과 규모에 관한 연구
    김교성 [2008]
  • 빈곤의 사회과학
    이수철 [2013]
  • 빈곤심도별 빈곤 결정요인 비교 : 극빈층과 일반빈곤층을 중심으로
    손병돈 [2010]
  • 빈곤론
    김기원 [2019]
  • 부채상환여력의 평가 및 예측-중년기 가계를 중심으로-
    이종희 [2018]
  • 돌봄 관점에서 본 이중빈곤연구의 의의와 한계
    신영민 [2019]
  • 다차원적 빈곤 관점에서의 서울시 빈곤실태와 정책과제
    김경혜 [2010]
  • 농가의 노후 경제적 요구와 대비수준에 관한 연구-경기도 중년기 가계를 중심으로-
    김인숙 [1992]
  • 노인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: 패널자료를 활용한 분석
    최옥금 [2007]
  • 노동경제학
  • 기초생활보장 개편의 효과 : 선정기준 변화를 중심으로
    강신욱 [2016]
  • 기본소득과 재량시간; 성별비교를 중심으로
    이지은 [2018]
  • 근로시간 단축 정책의 과제
    김근주 [2019]
  • 고령층의 자산빈곤과 소득빈곤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: 베이비붐 세대와 해방전쟁 세대를 중심으로
    이영라 [2018]
  • 가족자원관리학
    김외숙 [2010]
  • 가구주 특성과 상대적 빈곤 :수도권과 비수도권의 비교
    이성균 [2019]
  • 가구유형을 고려한 생애주기와 소비지출양식에 관한 연구
    최홍철 [2014]
  • 가구소득 정의
  • “한창 애들 돈 들어갈 때인데…”50대 엄마 아빠 눈물의 알바
  • Working Long Hours and Having No Choice: Time Poverty In Guinea
  • Wealth of A Nation : A Reassessment of Asset Inequality in America Shows at least One Third of Households are Asset-Poor
  • Time and Income Poverty
  • The Seasons of A Man's Life
  • The Life Cycle Hypothesis of Saving : Aggregate Implications and Tests
  • The Concept and Measurement of Asset Poverty : Levels, Trends and Composition for the US, 1983-2001
  •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
  • Relative Income Poverty among Children in Rich Countries
  • Recycling the Family Life Cycle : A Proposal for Redefinition
  • Performance of Firth-and logF-type Penalized Methods in Risk Prediction for Small or Sparse Binary Data
  • Measuring Time Poverty and Analyzing Its Determinants:Concepts and Application to Guinea
  • Logistic regression in rare events data
    King, Gary [2001]
  • Discretionary Time:A New Measure of Freedom
  • Class, Gender and Time Poverty: A Timeuse Analysis of British Workers’ Free Time Resources
  • Bias Reduction of Maximum Likelihood Estimates
  • Assets and The Poor: A New American Welfare Policy
  • A Theory of the Allocation of Time
  • A Modernized Family Life Cycle
  • 5060 소득 크레바스, 민관 협력으로 풀어야
  • 2020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
  • 2019년 빈곤통계연보
  • 2015년 인구총조사
  • 17차년도 한국노동패널조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