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외국인의 한국어 발화 음성 데이터 구축 방안

논문상세정보
'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외국인의 한국어 발화 음성 데이터 구축 방안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오류유도(error inducement)
  • 외국인의 한국어 발화 음성 데이터(foreign speakers’ voice data of Korean speech)
  • 인공지능(artificialintelligence)
  • 자동음성인식(automatic speech recognition)
  • 희소데이터(low-resource data)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9 0

0.0%

'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외국인의 한국어 발화 음성 데이터 구축 방안' 의 참고문헌

  • 한국어 학습자 문법 습득 연구를 위한 구어 말뭉치 구축과 활용
    이승연 [2019]
  •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의 자료 구축 방안 대한 기초 연구
    강현화 [2011]
  • 한국어 발음 교육을 위한음성 DB 구축 방안
    정명숙 [2003]
  • 지원자 현황
  • 음성 데이터 수집을 통한 인공지능 음성인식 학습용 대화 셋 구축 방법
    윤성진 [2021]
  •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음성 코퍼스 구축 방안 연구 - 중국어권 화자를 중심으로 -
    이석재 [2005]
  • 연도별 주요 국적별 외국인 현황
  • 언어권과 숙달도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오류 분석 - 음소 오류를 중심으로 -
    유소영 [2018]
  • The Role of the L1 Grammar in the L2 Acquisition of Segmental Structure
  • Strategies for Automatic Segmentation of Audio Data
    Kemp, Tomas [2000]
  • SpecAugment: A Simple Data Augmentation Method fo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
  • Speaker Augmentation for Low Resource Speech Recognition
  • Interlanguage
  • ETRI AI와 대화하며 앱으로 한국어 배운다
  • Data Augmentation for Low Resource Languages
  • AI스피커, 이용자↑ 만족도↓…‘말알못’의 역설
  • AI 기반 교육 현황과 기술 동향
    전형배 [2021]
  • 2022년 한국어능력시험(TOPIK) 시행계획 발표
  • 2021년 11월 출입국․외국인정책 통계월보
  • 2021 Duolingo Language Report
    Duolingo [2021]
  • 2019년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연구 및 구축 사업 보고서
    한송화 [2019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