논증 능력 발달을 위한 언어적 교육 내용 탐색 - 대학생 쓰기 자료에서 주어 ‘나’ 실현 양상으로 본 ‘주관의 객관화’ 관찰을 기반으로

' 논증 능력 발달을 위한 언어적 교육 내용 탐색 - 대학생 쓰기 자료에서 주어 ‘나’ 실현 양상으로 본 ‘주관의 객관화’ 관찰을 기반으로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argumentative texts
  • authorialself-mention
  • development of argumentative ability
  • objectification of subjectivity
  • subject 'I'
  • subjectivity
  • systemic-functional linguistics
  • 논증 능력 발달
  • 논증텍스트
  • 대학 글쓰기
  • 주관의 객관화
  • 주관화
  • 주어 ‘나’
  • 체계 기능 언어학
  • 필자지칭표현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775 0

0.0%

' 논증 능력 발달을 위한 언어적 교육 내용 탐색 - 대학생 쓰기 자료에서 주어 ‘나’ 실현 양상으로 본 ‘주관의 객관화’ 관찰을 기반으로' 의 참고문헌

  • 論證 텍스트 類型에 기반한 論證的 글쓰기 敎育의 位階化 方案 硏究
    이영호 [2013]
  • 현대 의사소통이론과 수사학-논증적 의사소통을 중심으로-
    김상희 [2005]
  • 한국어의 문장 유형과 용법
    임동훈 [2011]
  • 학습자의 논증 텍스트에 나타난 ‘것 같다’에 대한 문법교육적 고찰
    조진수 [2015]
  • 학술적 글쓰기와 대중적 글쓰기에 나타난 수사의문문의 양상과 설득효과 비교연구(1) - 대학생이 쓴 에세이와 연구논문을 중심으로-
    정소연 [2010]
  • 학술논문의 텍스트성 분석 - 의도성(intentionality)을 중심으로 -
    박나리 [2008]
  • 학술논문에 나타난 ‘필자 지칭 표현’의 사용 양상
    이윤진 [2014]
  • 학술논문 문형의 문법적 특징과 담화 기능에 대하여 - 국어국문학 분야 학술논문을 대상으로
    안소진 [2012]
  • 통합적 문법교육 내용 설계의 원리와 실제 연구
    주세형 [2005]
  • 통합적 문법 교육 내용 설계 -‘의미를 구성하는 문법 지식’을 중심으로-
    주세형 [2005]
  • 텍스트의 장르성과 시간 표현 교육 - 신문 텍스트에서 ‘-었었-’과 ‘-ㄴ 바 있-’의 선택을 중심으로 -
    제민경 [2013]
  •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의 방향 탐색 - 신문 텍스트의 ‘전망이다’ 구문을 중심으로 -
    제민경 [2011]
  • 질적 연구방법론
  • 주장과 근거 관련 용어의 재범주화 - 2007 개정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-
    이삼형 [2011]
  • 전기문 서술 주체의 관점 개입 방식 연구: ‘백범일지’ 텍스트들에 나타난 평가어의 선택 양상을 중심으로
    박진희 [2021]
  • 장르, 텍스트, 문법: 작문교육을 위한 테크놀로지로서의 문법
  • 장르 문법의 위상과 의미 - 교육 내용과 연구 방법으로서의 장르 문법 -
    제민경 [2019]
  • 장르 문법 교육 내용 연구
    제민경 [2015]
  • 작문 교육의 관점에서 ‘저자성(authority)’ 논의를 위한 시론
    장지혜 [2019]
  • 외국인 유학생이 생산한 설득적 텍스트 분석-장르 기반 문법 모델을 바탕으로-
    박나리 [2014]
  • 왜 기사문을 선택하는가 - 국어과 교과서에 나타난 기사문 선정 원리 탐색 -
    제민경 [2016]
  • 역량 함양 국어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(안)
    정혜승 [2021]
  • 설득적 텍스트의 헤지 표현(hedging) 번역문제: 뉴스위크 영­한 번역 사례를 중심으로
    신진원 [2012]
  • 문법지식의 응용화 방향 -신문텍스트에 나타난 '-(다)는 것이다' 구문의 의미기능을 중심으로-
    남가영 [2009]
  • 문법으로 텍스트 읽기의 가능성 탐색 - 신문 텍스트에 쓰인 ‘-도록 하-’와 ‘-게 하-’를 중심으로
    이관희 [2010]
  • 문법으로 텍스트 읽기의 가능성 탐색 (2) - 기사문에 쓰인 ‘-기로 하-’의 의미기능을 중심으로
    이관희 [2012]
  • 문법 교육에서 주어 관련 교육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
    강효경 [2020]
  • 대학의 학술적 서평 쓰기 교육의 과정 중심 접근
    박현희 [2017]
  • 대용 표현 ‘나’의 학술적 의미·기능 일고
    조형일 [2013]
  • 논증의 탄생
  • 김수영 산문에서 1인칭 대명사와 필자 관련 지칭어의 표현 양상
    김흥수 [2010]
  • 국어교육을 위한 의사소통이론
    박재현 [2013]
  • 국어 화자입장(speaker stance)의 화용적 표현 체계에 대하여
    이창덕 [2016]
  • 국어 학술텍스트에 드러난 헤지(hedge) 표현에 대한 연구
    신명선 [2006]
  • 국어 선생님을 위한 문법 교육론
    최경봉 [2017]
  • 국어 교육의 이해
    최미숙 [2019]
  • 고등학교 화법과 작문
    민병곤 [2020]
  • 고등학교 국어
    신유식 [2020]
  • 고교학점제 정책에 대한 이해
    노은희 [2021]
  • 경험적 대기능의 장르별 실현 양상 비교 연구 — 초등학교 5학년 학습자 텍스트를 중심으로
    이관규 [2021]
  • 現代國語의 樣態範疇에 관한 연구
    張京姬 [1985]
  • “학교 문법 다시 쓰기(3) : 인용 표현의 횡적 구조 연구”
    주세형 [2010]
  • ‘장르’ 개념화를 위한 문법교육적 접근
    제민경 [2014]
  • ‘사실과 의견 구별하기’의 국어과 전문성 탐색
    주세형 [2010]
  • ‘건의하는 글’에 나타난 필자와 독자의 의사소통 방식 연구 -필자의 스탠스 조정과 평가어 선택의 양상을 중심으로
    박진희 [2020]
  • <역량 함양 국어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(안)> 토론
    박상규 [2021]
  • <역량 함양 국어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(안)> 토론
    이정희 [2021]
  • <언어와 매체> 교재 구성의 원리 - 문법 영역에서의 통합 원리 탐색을 중심으로 -
    주세형 [2016]
  • 6-1 국어(가)
  • 2015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설득하는 글 쓰기 단원의 학습활동 분석
    신민영 [2021]
  • 2015 개정 교육과정[교육부 고시 제2015-74호 별책5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