고등학교 일반선택과목 “독서와 작문” 교육과정 구현을 위한 의제 설정 및 방향 탐색

장성민 2022년
' 고등학교 일반선택과목 “독서와 작문” 교육과정 구현을 위한 의제 설정 및 방향 탐색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(Interdisciplinary) learning literacy
  • (범교과) 학습 문식성
  •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(CSAT)
  • Curriculum
  • Disciplinary literacy
  • Essay test
  • General elective subject
  • Reading
  • Writing
  • 교육과정
  • 대학수학능력시험
  • 독서
  • 서·논술형 평가
  • 일반선택과목
  • 작문
  • 학문 문식성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3,215 0

0.0%

' 고등학교 일반선택과목 “독서와 작문” 교육과정 구현을 위한 의제 설정 및 방향 탐색' 의 참고문헌

  • 활동 중심 독서 지도
    천경록 [2021]
  • 화법, 독서, 작문 영역의 통합
    박영민 [2015]
  • 한국어 교재의 실제성 평정 척도 연구
    김호정 [2019]
  • 한국과 미국의 사회 교과서에 반영된 교과문식성 연구
    이경화 [2019]
  • 한국과 미국의 과학 교과서에 반영된 교과문식성 연구
    이경화 [2019]
  • 학습문식성 신장을 위한 교과 어휘 교육 연구
    전영주 [2019]
  • 학습 목적 글쓰기 교육 가능성 검토 - IB 교육과정 확장형 에세이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
    곽수범 [2020]
  • 학습 논술 교육 연구-학습 과정에서의 논증 능력을 중심으로-
    이영호 [2012]
  • 학문 문식성(disciplinary literacy)의 의미와 중등교육에의 시사점
    김영란 [2021]
  • 학문 문식성(disciplinary literacy) 관점으로 본 역사와 물리 교과서의 비교 분석
    이해영 [2021]
  • 학문 문식성(Disciplinary Literacy) 교육의 필요성과 과제
    이용준 [2021]
  • 학문 문식성 신장을 위한 기능적 메타언어 관점의 문법 교육 연구
    소지영 [2020]
  • 학교 미디어 교육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개선방안 연구
    장의선 [2021]
  • 포스트코로나 대비 미래지향적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 방안 연구
    노은희 [2021]
  • 지식 탐구의 도구로서 논증적 글쓰기에 대한 고찰- CCSS 범교과 문식성 영역을 중심으로 -
    유상희 [2017]
  • 중학생의 양식의 정보성 인식 양상 연구 —시선추적기법을 활용하여
    서혁 [2018]
  • 중등학생의 자료 통합적 글쓰기에 나타난 자료 글 차용하기 수행 양상 연구 - 인용과 환언을 중심으로-
    최숙기 [2018]
  • 중등 작문 교수·학습 실태조사 연구 - 교과 글쓰기(disciplinary writing)를 중심으로
    김주환 [2020]
  • 작문교육론
    권순희 [2018]
  • 자유로운 말하기와 글쓰기를 위한 실천적 지식의 재구성
    민병곤 [2021]
  • 읽기・쓰기 연계 활동의 교육적 의미
    이재기 [2012]
  • 읽기와 쓰기의 통합적 교수 학습 방안 탐색
    최숙기 [2012]
  • 읽기와 쓰기의 통합 단원 개발 방향
    천경록 [2009]
  • 읽기와 쓰기 통합 지도의 방법과 유의점,
    이재승 [2004]
  • 읽기와 쓰기 통합 지도를 위한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
    김정자 [2008]
  • 읽기 쓰기 통합 활동에서 의미 구성의 내용과 이행 과정 연구
    김혜정 [2004]
  • 읽기 교육의 과제와 전망
    김혜정 [2021]
  • 읽기 교육내용의 비판과 실천적 재구성
    김혜정 [2021]
  • 인식론적 신념이 독자 신념과 다문서 읽기 전략에 미치는 영향
    이소라 [2017]
  • 예비교사와 현장교사를 위한 교과 독서와 세상 읽기
    이경화 [2007]
  • 역사 텍스트 독해에서 맥락화 교수학습의 문제
    양호환 [2018]
  • 역사 및 물리 교사의 텍스트 읽기 양상 비교를 통한 학문 문식성 개념의 교육적 적용 방안 탐색
    김종윤 [2018]
  • 역량 함양 국어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
    정혜승 [2021]
  • 쓰기에 대한 관점과 역사 학습에서의 쓰기 활동 분석 ―초등학교를 중심으로―
    전제응 [2013]
  • 쓰기 윤리 교육의 내용 연구
    강민경 [2013]
  • 쓰기 교육의 과제와 전망
    박영민 [2021]
  • 소셜 미디어에 나타난 디지털 필자의 글쓰기 특성 고찰
    김지연 [2015]
  • 서 논술형 수능 도입을 대비한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탐색
    최숙기 [2021]
  • 사고력 함양을 위한 읽기 쓰기의 통합적 접근 모색 -개정 국어과 교육 과정을 중심으로-
    고춘화 [2008]
  • 복합양식 텍스트의 텍스트성 재개념화를 위한 시론
    편지윤 [2018]
  • 복합 양식 텍스트에 대한 독자의 읽기 행동 분석에 기반한 디지털 시대의 읽기 교육 방안 탐색
    최숙기 [2013]
  • 복합 문서 처리 전략 검사 도구의 타당도 검증 및 전략 수행 양상 분석 - 학생의 복합 문서 요약 과제 수행을 중심으로
    최숙기 [2014]
  • 범교과 학습 문식성 활동 성향 측정을 위한 표준화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
    장성민 [2021]
  • 미국 공통핵심기준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—읽기 영역을 중심으로—
    조병영 [2014]
  • 물리와 역사 교육과정 성취기준 서술어에 대한 물리 교사와 역사 교사의 해석 비교 연구
    변태진 [2019]
  • 말하듯이 쓰기와 쓰듯이 말하기: 말하기와 쓰기의 교육적 연결.
    장성민 [2020]
  • 디지털 시민성 개념 및 교육 방안 연구
    김아미 [2019]
  • 디지털 리터러시 표현 영역의 인지적 특성 탐색
    옥현진 [2017]
  • 디지털 리터러시 인지적 영역의 평가 요소 개발
    김종윤 [2018]
  • 독・토・론 모형을 활용한 과학 수업의가능성 탐색- 과학중점 고등학교에서의 현장 연구
    김영란 [2018]
  • 독서와 작문: 그 개념의 변천과 지도 방법에의 시사점
    노명완 [2012]
  • 독서와 작문 통합 지도의 전망 : 비문학 담화를 중심으로
    김봉순 [2004]
  • 독서교육론
    이순영 [2015]
  • 독서교육론
    천경록 [2022]
  • 독서-작문의 통합에서 독서 활동과 작문 활동의 성격
    박영민 [2004]
  • 독서-작문 통합 교육을 위한 요약문 쓰기 수업 탐색
    송지언 [2015]
  • 독서 작문 통합 지도의 전제와 기본 방향
    김명순 [2004]
  • 대학생의 학습 목적 글쓰기에서 지식 구성의 양상 고찰 - 혼합 연구 방법론의 적용 -
    김혜연 [2016]
  • 대학 신입생 대상 ‘학술적 글쓰기’의 장르적 의미와 성격
    이윤빈 [2012]
  • 다문화 이해 교육 내용 체계화 연구: 탐색, 통합, 비판을 중심으로
    오은하 [2020]
  • 다문서 읽기 연구의 연구 동향과 전망
    김종윤 [2014]
  • 논증 기반 타당도 접근에 기반한 수능 작문 평가의 개선 방향 탐색
    장성민 [2018]
  • 내용 생성을 위한 학생 필자의 자료 탐색 과정에 관한 연구 — 6학년 필자 사례를 중심으로 —
    최건아 [2014]
  • 국어교육에서 실제성과 가상성의 관계
    이성영 [2012]
  • 국어교육과 “교과 논리 및 논술” 교과목의 교육 내용 체계화를 위한 기초 연구 ­ - 2009~2018년 강의계획서에 대한 텍스트 마이닝을 중심으로 - ­
    장성민 [2019]
  • 국어교육 내용으로서의 ‘실제’ -국어과 교육과정의 ‘실제’에 대한 메타적 접근-
    김창원 [2014]
  • 국어과 읽기 평가 맥락에서 과학 지문의 특성 연구
    주세형 [2015]
  • 국어과 교재 개발의 과제와 전망: 국어 교과서의 다면적·중층적 속성에 대한 탐색을 바탕으로
    남가영 [2021]
  • 국어과 교육과정[교육부 고시 제2015-74호(별책 5)]
  • 국어 교사의 다문서 문식성 교육 능력 신장을 위한 지식 구성 및 교육적 적용 방안 탐색
    장성민 [2021]
  • 국민과 함께하는 미래형 교육과정 추진 계획(안)
    교육부 [2021]
  •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
    주세형 [2021]
  • 교과독서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: 문학, 역사, 과학, 수학을 중심으로
    천경록 [2018]
  • 교과 논술 교육을 위한 귀추적 글쓰기 학습 모형 탐색
    장성민 [2018]
  • 교과 간 연계·융합 교육에서의 국어 교과의 역할과 향후 과제
    김종윤 [2018]
  • 과학과 언어(국어)의 통합적 교수·학습을 위한 ‘讀·討·論’ 모형화 연구: 학문 문식성 개념을 기초로 하여
    김영란 [2016]
  • 과제 기반 다문서 읽기활동을 위한 학습독자의 읽기 목적 지도 탐색
    박수자 [2019]
  • 고등학생의 자료 통합적 글쓰기에서 분량에 따른 능숙한 필자와 미숙한 필자의 논증 양상 비교
    장성민 [2015]
  • 『읽기 교육의 원리와 방법』
    이경화 [2001]
  • “쓰기 과정에서 생성하기와 검토하기의 역동적 상호작용”
    김혜연 [2014]
  • Writing as a learning activity
  • Vernacular eloquence: What speech can bring to writing
    Elbow, P. [2012]
  • Variation across speech and writing
    Biber, D. [1988]
  • Using journal writing to enhance student teachers’ reflectivity during field experience placements
    Bain, J. D. [1999]
  • Using journal writing to enhance reflective practice
    Boud, D. [2001]
  • Understanding historical controversies: Students’ evaluation and use of documentary evidence
  • Understanding and integrating multiple science texts: Summary tasks are sometimes better than argument tasks
    Gil, L. [2010]
  • Training writing skills : A cognitive developmental perspective
  • The trouble with computers: Usefulness, usability, and productivity
  • The triple articulation of media technologies in teenage media consumption
  • The science of writing: Theories, methods, and applications
  • The role of task representation in reading to write
    Flower, L. [1987]
  • The psychology of written composition
  • The process of education
  • The functions of multiple representations
  • The development of writ-ing abilities
    Britton, J. [1975]
  • The contructivist metaphor: Reading, writing, and the making of meaning
  • The Cambridge handbook of expertise and expert performance
  • Teaching disciplinary literacy to adolescents : Rethinking content-area literacy
  • Teaching and learning science as argument
    Kuhn, D. [2010]
  • Task-oriented reading of multiple documents: Online comprehension processes and offline products
  • Summary versus argument tasks when working with multiple documents: Which is better for whom?
    Gil, L. [2010]
  • Strategies for comprehending and integrating texts and videos
    List, A. [2018]
  • SNS의 언어 현상과 소통 공간에 관한 국어교육적 고찰
    정현선 [2013]
  • Problems of Dostoevsky’s poetics
    Bakhtin, M. [1984]
  • Postscript: In pursuit of integration
    List, A. [2018]
  • Persuasion online or on paper: A new take on an old issue
  • Oral and literate strategies in spoken and written narratives
    Tannen, D. [1982]
  •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: PISA 2015 결과 보고서
    구자옥 [2016]
  • Multiplicity in the digital era: Processing and learning from multiple sources and modalities of instructional presentations
    Mason, L. [2018]
  • Literacy, language, and learning: The nature and consequences of reading and writing
    Tannen, D. [1985]
  • Learning from writing in two content areas: A case study/protocol analysis
  • Language correlates of disciplinary literacy
    Fang, Z. [2012]
  • Knowing what to write: Conceptual processes in text production
  • In praise of amateurism: A friendly critique of Moje’s “Call for Change” in secondary literacy
    Heller, R. [2010]
  • Historical problem solving : A study of the cognitive processes used in the evaluation of documentary and pictorial evidence
  • Fostering and evaluating reflective capacity in medical education : developing the REFLECT rubric for assessing reflective writing
    Wald HS [2012]
  • Flower & Hayes의 과정중심이론에 관한 비판적 재검토
    정희모 [2018]
  • Enhancing the Quality of Learning: Dispositions, instruction, and learning processes
  • Domestication of Media and Technology
  • Doing and teaching disciplinary literacy with adolescent learners: A social and cultural enterprise
    Moje, E. B. [2015]
  • Digital and Media Literacy: A Plan of Action. A White Paper on the Digital and Media Literacy Recommendations of the Knight Commission on the Information Needs of Communities in a Democracy
    Hobbs, R. [2010]
  • Developing socially just subject-matter instruction: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disciplinary literacy teaching
    Moje, E. B. [2007]
  • Designing web usability: The practice of simplicity
    Nielsen, J. [2000]
  • Convergence culture: Where old and new media collide
    Jenkins, H. [2006]
  • Constructing arguments from multiple sources: Tasks that promote understanding and not just memory for text
    Wiley, J. [1999]
  •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English language arts and literacy in historical/social studies and science and technical subjects
  • Cognitive processes in writing
  • A multi-dimensional model of reflective learning for professional development
  • A historical writing apprenticeship for adolescents: Integrating disciplinary learning with cognitive strategies
  • A four-category scheme for coding and assessing the level of reflection in written work
    Kember, D. [2008]
  • 21세기 문식성 계발을 위한 내용문식성과 읽기 과제 모형 탐색
    박수자 [2019]
  •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강화 방안
    정현선 [2021]
  •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(시안)
    교육부 [2021]
  • .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의 의의와 방법
    정현선 [2014]
  • (Re)imagining content-area literacy instructi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