인공지능 시대의 언어 연구: 주요 문제와 언어학의 역할

황화상 2022년
' 인공지능 시대의 언어 연구: 주요 문제와 언어학의 역할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Chinese Room Argument
  • artificial intelligence
  • linguisticcompetence
  • machine translation
  • natural language analysis
  • natural language processing
  • turing test
  • 기계 번역
  • 언어능력
  • 인공지능
  • 자연언어 분석
  • 자연언어처리
  • 중국어 방 논증
  • 튜링테스트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4,266 0

0.0%

' 인공지능 시대의 언어 연구: 주요 문제와 언어학의 역할' 의 참고문헌

  • 한국어와 정보−한국어 정보 처리와 자연언어 처리의 이해
    황화상 [2006]
  • 한국어 형태소 분석과 정보 검색
    강승식 [2002]
  • 한국어 형태소 분석 및 품사 태깅을 위한 딥 러닝 기반 2단계 파이프라인 모델
    윤준영 [2021]
  • 한국어 중의어절 사전
    홍종선 [2008]
  • 한국어 정보 처리 입문
    한정한 [2007]
  • 한국어 어휘의미망의 의미 관계를 이용한 어의 중의성 해소
    김민호 [2011]
  • 한국어 어휘의미망(UWordMap)을 이용한 동형이의어 분별 개선
    신준철 [2016]
  • 한국어 어절의 형태론적 중의성 연구
    황화상 [2003]
  • 표준국어대사전
  • 자연언어처리를 위한 한국어 명사구의 분석 방법 연구
    황화상 [2004]
  • 자연어처리 바이블−핵심 이론・응용시스템・딥러닝
    임희석 [2020]
  • 음절 단위 임베딩과 딥러닝 기법을 이용한 복합명사 분해
    이현영 [2019]
  • 용언의 어근 분리 현상에 대하여
    임홍빈 [1979]
  • 어근 분리의 공시론과 통시론 - 단어 구조의 인식, 문장의 형성, 그리고 문법의 변화 -
    황화상 [2016]
  • 순환 신경망을 이용한 전이 기반 한국어 의존 구문 분석
    이건일 [2015]
  • 빈도 효과-코퍼스를 활용한 국어 문법의 기술
    김일환 [2020]
  • 문장 벡터를 이용한 동형어 구분
    박진호 [2020]
  • 딥러닝을 이용한 전이 기반 한국어 형태소 분석 및 품사 태깅
    민진우 [2017]
  • 디지털 자료와 의미 연구의 다양성
    김일환 [2017]
  • 기계학습에 기반한 한국어 미등록 형태소 인식 및 품사 태깅
    최맹식 [2011]
  • 기계학습 기법을 이용한 한국어 구문분석
    이용훈 [2008]
  • 국어의 어기 분리 현상과 경계인식
    허철구 [2001]
  • 고려대한국어 대사전.
  • 『인공지능의 시대, 인간을 다시 묻다』
    김재인 [2017]
  • “국어 명사의 의미연구”
    최경봉 [1998]
  • Semantics and the Lexicon
  • Results from a Survey of Attendees at ASRU 1997 and 2003
  • Dependency-Based Word Embeddings
    Levy, O. [2014]
  • Computing machinery and intelligenc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