소설의 선형적 사고에 대한 교육적 활용 가능성

박장범 2022년
' 소설의 선형적 사고에 대한 교육적 활용 가능성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Linear Mind
  • Media Literacy
  • New Media
  • Novel Education
  • Print Media
  • Visuality
  • kimsaryang
  • 김사량 <풀숲 깊숙이>
  • 뉴 미디어
  • 미디어 리터러시
  • 선형적 사고
  • 소설교육
  • 시각성
  • 인쇄미디어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807 0

0.0%

' 소설의 선형적 사고에 대한 교육적 활용 가능성' 의 참고문헌

  • 한국소설사
    김윤식 [2013]
  • 한국 근대소설의 형성 과정
    김영민 [2019]
  • 한국 근대소설의 기원
  • 한국 근대 초기 소설 텍스트의 자율화 과정 연구
    손정수 [2001]
  • 하이퍼텍스트 구조의 비선형적 공간특성 연구 -SANAA의 작품을 중심으로-
    손진배 [2020]
  • 플랫폼 기반 웹소설의 장르성 연구
    노희준 [2018]
  • 투시법과 근대적 시각주체의 출현
    오창섭 [2009]
  • 텍스트 의미의 기원과 그 분리에 관한 연구
    김휘택 [2021]
  • 커뮤니케이션 편향
    Innis, H. [2018]
  • 청소년기 독서 수행 및 인식에 관한 실태 조사: 비독서의 이유와 스마트폰 사용 양상을 중심으로
    김혜정 [2021]
  • 책 읽는 뇌
    Wolf, M. [2020]
  • 조선어의 ‘마지막 수업’
    윤대석 [2008]
  • 재매개
    Bolter, J [2006]
  • 작품으로서의 소설, 콘텐츠로서의 소설 - 원작 개념으로서의 서사
    강유정 [2010]
  • 읽기의 역사
    Fisher, S. [2011]
  • 일인칭 소설에서 내포작가의 서술 행위와 소설교육
    선주원 [2008]
  • 이상적 독자의 개념과 존재 양상
    김승환 [2018]
  • 웹소설 장에서 사용되는 장르 연관 개념 연구
    김준현 [2019]
  • 원근법과 평균율의 상관관계에 나타난미적 사유의 특성
    박영욱 [2019]
  • 시각의 로고스를 넘어서-플라톤과 데카르트의 시각주의를 중심으로-
    강범석 [1999]
  • 소설의 수사학
    Booth, W. [1999]
  • 소설과 미디어콘텐츠의 상호매체성-2000년 이후 한국소설을 중심으로
    장미영 [2012]
  • 소설과 매체 서사 교육의 상호작용적 방법의 모색
    김동환 [2010]
  • 소설 이해로서 서술자의 신빙성 평가에 대한 연구
    정진석 [2011]
  • 선형적 텍스트와 합리성의 위상학
    박승억 [2012]
  •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
    Carr, N. [2020]
  • 상상된 공동체
  • 비선형성 관점으로 본 매체와 서사
    류현주 [2007]
  • 미디어철학
  • 미디어의 출현과 근대소설 독자
    전은경 [2019]
  • 미디어의 이해: 인간의 확장
    McLuhan, M [2011]
  • 미디어 생태계의 변화에 따른 문학교육 제도의 응답책임성
    우신영 [2020]
  • 문학제도 및 민족어의 형성과 한국 근대문학
    김영민 [2013]
  • 문학미디어론
    임형택 [2016]
  • 문학 독서의 ‘거리두기’와 비판적 읽기
    김남희 [2018]
  • 맥루언을 읽는다
    김균 [2006]
  • 디지털 세대, 새로운 서사의 향유 방식과 문학교육의 미래
    김지혜 [2020]
  • 디지털 매체를 통한 소설 읽기 교육 연구
    호창수 [2017]
  • 내포독자의 개념과 존재 양상
    김승환 [2018]
  • 김사량의 일본어 소설 생성과정 연구- <풀숲 깊숙이>와 <산의 신들>을 중심으로
    곽형덕 [2009]
  • 김사량 선집
    김재용 [2016]
  • 근대적 글쓰기의 형성 과정 연구 : 논설문의 성립 환경과 문장 모델을 중심으로
    배수찬 [2008]
  • 근대의 책 읽기
    천정환 [2019]
  • 근대유럽의 인쇄미디어 혁명
  • 근대 초기 문사의식과 예술가 형상의 상관성
    김주현 [2010]
  • 근대 서사 텍스트와 미디어 테크놀로지
    최성민 [2012]
  • 구텐베르크 은하계
    McLuhan, M [2001]
  • 「소설텍스트의 현실과 허구를 나누는 선」
    김승환 [2017]
  • 2021 국민 독서실태 조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