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어과 교육과정 문학 영역의 통시적 분석을 통해 살펴본 초등 문학 교육의 항존성

이지영 2022년
' 국어과 교육과정 문학 영역의 통시적 분석을 통해 살펴본 초등 문학 교육의 항존성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Achievement Standard
  • Consistency
  • Curriculum
  • Diachronic Analysis
  • Elementary Literary Education
  • genre
  • 교육과정
  • 성취기준
  • 장르
  • 초등문학교육
  • 통시적 분석
  • 항존성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3,275 0

0.0%

' 국어과 교육과정 문학 영역의 통시적 분석을 통해 살펴본 초등 문학 교육의 항존성' 의 참고문헌

  • 학습 독자의 시적 체험 특성에 따른 시 읽기 교육 내용 설계 연구
    진선희 [2006]
  • 초등학교 문학 영역 성취기준에 대한 비판적 고찰
    곽춘옥 [2014]
  •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(Ⅲ): 국어, 도덕, 사회
  •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(Ⅰ) -총론, 국어, 수학-
  • 초등학교 교육과정
  • 초등 문학교육 장르 용어의 통시적 고찰
    권혁준 [2010]
  • 초⋅중등 국어과 교육론
    정동화 [1991]
  • 읽기 태도의 개념과 성격
    정혜승 [2006]
  • 문학교육론
    구인환 [1998]
  • 리듬 인식을 통한 시 낭송 지도 방향 탐색
    이향근 [2019]
  • 독서교육에서 낭독의 의의에 대한 재음미
    최지현 [2010]
  • 국어과교육과정
  • 국어과 교육과정과 초등 문학교육에서의 ‘맥락
    염은열 [2011]
  • 국어과 교육과정 문학 영역 교육 내용 변천에 관한 연구 - 내용 성취 기준의 서술어 분석을 중심으로 -
    박치범 [2015]
  • 국어과 교육과정
  • 국어
  • 국민학교 교육과정
  • 국민학교 교육과정
  • 「아동독자의 이야기책 읽기 반응 연구」
    이지영 [2011]
  • 「문학 소통 ‘맥락’의 교육적 탐색」
    진선희 [2008]
  • 2015 국어과 교육과정의 초등문학교육 설계 양상 분석 - 아동문학작품 갈래 용어의 제시를 중심으로 -
    한명숙 [2016]
  • 2015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양상과 교육과정 발전을 위한 논제
    김창원 [2016]
  •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문학 영역의 논리
    류수열 [2016]
  •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 중심 내용 체계에 대한 비판적 분석: 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
    정혜승 [2016]
  • 2011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문학 영역의 교육 내용에 대한 비판적 검토
    진선희 [2011]
  • 2011 교육과정 ‘문학’ 영역의 내용 성취 기준에 대한 비판적 검토 -초・중학교 <국어> 과목을 중심으로-
    김창원 [2012]
  •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‘태도’ 범주의 문제점 고찰 -쓰기 영역을 중심으로-
    박종임 [2011]
  • 2009 개정 교육과정 문학 영역의 변화상과 이후의 과제
    김성진 [2012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