남성의 육아휴직 사용은 돌봄의 탈젠더화를 촉진할 것인가?: 2010년대 중반 이후 남성 육아휴직자의 경험을 중심으로

논문상세정보
' 남성의 육아휴직 사용은 돌봄의 탈젠더화를 촉진할 것인가?: 2010년대 중반 이후 남성 육아휴직자의 경험을 중심으로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Caring masculinity
  • De-genderizing of care
  • Fathers’ leave
  • Ideal worker norm
  • 남성의 육아휴직
  • 돌보는 남성성
  • 돌봄의 탈젠더화
  • 이상적 노동자 상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24 0

0.0%

' 남성의 육아휴직 사용은 돌봄의 탈젠더화를 촉진할 것인가?: 2010년대 중반 이후 남성 육아휴직자의 경험을 중심으로' 의 참고문헌

  • 女 고위공무원·男 육아휴직자 증가… 국가성평등지수 73.6점으로
  • 한국여성단체연합 30년의 역사
    최혜영 [2017]
  • 젠더와 돌봄: 남성의 돌봄 참여를 중심으로
    안숙영 [2017]
  • 젠더 관점에서 본 한국 기업의 가족친화정책
    김원정 [2018]
  • 제 1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[요약본]
  • 제 1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-보완판
  • 제 1차 건강가정기본계획
  • 정동적 평등: 누가 돌봄을 수행하는가
  • 전진하는 페미니즘
  • 육아휴직제를 사용한 남성의 가정 및 직장에서의 경험 연구
    최새은 [2019]
  • 육아휴직자 4명중 1명은 아빠... 아빠 육아휴직 보너스도 늘어
  • 육아휴직 이후 무슨 일이 있었을까? : 젠더효과와 고용유지를 중심으로 본 심층면접 분석
    양현아 [2021]
  • 육아휴직 넷 중 한명은 남성… 3년 전보다 2.3배 늘어
  • 육아 리얼리티프로그램과 남성돌봄 실천의 한계와 가능성: KBS<슈퍼맨이 돌아왔다>를 중심으로
    강혜원 [2017]
  • 여성주의 관점에서 본 생애주기별 복지와 돌봄 패러다임.
    송다영 [2013]
  • 아버지들의 육아휴직 실현과정을 통해 본 가족복지정책 이념의 재구조화
    조윤경 [2012]
  • 아버지들의 육아휴직 경험에 관한질적연구
    김진욱 [2015]
  • 아버지 양육 담론의 한계와 대안적 부성: 행복한 가족과 친구 같은 아버지를 넘어서
    이동옥 [2014]
  • 스웨덴 가족정책의 삼중 동학: 탈상품화, 탈가족화, 탈젠더화
    김수정 [2006]
  • 생활시간조사
  • 부모ㆍ부성휴가를 통해본 남성 돌봄 노동참여 지원정책 비교: 경제협력개발기구 15개국을 중심으로
    윤홍식 [2006]
  • 돌봄의 세대 전가: 전일제 취업 부부의 조(부)모 양육 지원을 중심으로
  • 돌봄 민주주의
  • 돌보는 남성성의 가능성 모색: 남성의 가족돌봄 사례를 중심으로
    문현아 [2021]
  • 남성의 육아휴직 경험에 대한 연구 : 이분법적 젠더 역할에 대한 인식 변화 가능성을 중심으로
    김연진 [2015]
  • 남성의 육아휴직 경험과 성평등
    정수빈 [2021]
  • 남성의 양육 참여와 평등한 부모 역할의 의미구성 -육아 휴직제도 이용 경험을 중심으로
    나성은 [2014]
  • 남성육아휴직의무제를 통한 아빠노동자 탄생에 관한 사례연구
    최새은 [2019]
  • 남성 육아휴직자의 양육 경험과 성별관계의 변화: 남성 육아휴직자의 양육 실천의 경험을 중심으로
    강혜경 [2013]
  • 가족리얼리티 예능프로그램 시청과 사회·경제적 계층소속감의 상호작용이 가족건강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
    변상호 [2016]
  • 가족과 젠더를 넘어 돌봄의 관계를 상상하기 — 드라마 「동백꽃 필 무렵」과 「사이코지만 괜찮아」를 중심으로
    김미라 [2021]
  • ‘환상과 한숨’ 사이...부럽거나 괴롭거나, TV속 육아방송과 현실
  • ‘청년 세대’담론의 젠더화를 위한 시론: 남성성 개념을 중 심으로
    배은경 [2015]
  • ‘딸바보’ 시대의 여성혐오 - 아버지 상(father figure)의 변모를 통해 살펴 본 2000년대 한국의 남성성
    허윤 [2016]
  • Varieties of Familialism: The caring function of the Family in comparative perspective
  • Unbending Gender: Why Family and Work Conflict and What to do about it
  • TV매체에 재현된 새로운 남성성(masculinity)과 그 한계- 주말 예능프로그램을 중심으로
    김미라 [2014]
  • Qualitative Researching
  • Masculinities, Care and Equality: Identity and Nurture in Men’s Lives
    Hanlon, N. [2012]
  • Hierachies, Jobs, Bodies : A Theory of Gendered Organizations
    Acker, Joan [1990]
  • Fatherhood
  • Caring Masculinities : Theorizing an Emerging Concept
  • Are they ideological renegades? Fathers' experiences on taking parental leave and gender dynamics in Korea: A Qualitative study
  • 2020년 육아휴직통계 결과(잠정)
  • 2019년 상반기 육아휴직자 5명 중 1명은 아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