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유민주주의의 한계와 대안으로서 생태민주주의: 생태민주주의의 관점과 구성요소를 중심으로

김미자 2022년
' 자유민주주의의 한계와 대안으로서 생태민주주의: 생태민주주의의 관점과 구성요소를 중심으로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deliberative democracy
  • ecological democracy
  • environmental problems
  • liberal democracy
  • republicanism
  • 공화주의
  • 생태민주주의
  • 숙의 민주주의
  • 자유민주주의
  • 환경문제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669 0

0.0%

' 자유민주주의의 한계와 대안으로서 생태민주주의: 생태민주주의의 관점과 구성요소를 중심으로' 의 참고문헌

  • 환경주의자들
    김환표 [2001]
  • 환경정치론
    김미자 [2010]
  • 현대 민주주의의 스펙트럼: 좋은 민주주의 모색을 위한 민주주의 이론사의 재검토
    김비환 [2014]
  • 정치생태학과 녹색국가
    문순홍 [2006]
  • 자유주의, 민주주의 그리고 자유민주주의
    조한상 [2015]
  • 왜 자유주의는 실패했는가
  • 사회사상과 정치 이데올로기
  • 사피엔스
  • 민주주의의 이해
    강정인 [2016]
  • 민주주의의 모델
    Held, David [1993]
  • 물 부족의 ‘기든스 역설’
  • 기후변화와 민주주의의 모델: 녹색 근본민주주의론을 중심으로
    장원석 [2016]
  • 기든스의 역설에 빠진 북극해
    라미경 [2020]
  • 공화주의 전통의 현대적 의의
    유홍림 [2018]
  • 공화주의 이론의 명암(明暗)
    고봉진 [2018]
  • 공화주의 시민성에 관한 연구
    이진희 [2009]
  • 공화국 원리의 함의에 대한 이념사적 고찰* -고전적 공화주의 이론의 유형화와 그 법적 구체화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
    이계일 [2011]
  • ‘850조 원’ 세계 3대 연기금, 삼성전자에 “RE100 고려하라”
  • https://covid19.who.int/
  • Rethinking green politics: Nature, virture and progress
    Barry, John [1999]
  • Democracy’s Discontent: America in Search of a Public Philosophy