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를 통한 창의력 계발 수업 모델 개발 – ‘수선화 한국학’

최원재 2022년
논문상세정보
'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를 통한 창의력 계발 수업 모델 개발 – ‘수선화 한국학’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Daffodil
  • Narcissus
  • digital data narrative
  • education
  • koreanology
  • semantic data curation
  •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
  • 메이커 교육
  • 수선화
  • 창의력
  • 한국학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,499 0

0.0%

'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를 통한 창의력 계발 수업 모델 개발 – ‘수선화 한국학’' 의 참고문헌

  • 해제로 보는 조선시대 생물자원 4 – 조선후기➁(19세기)
  • 추사(秋史) 김정희(金正喜)의 제주 인식
    장승희 [2017]
  • 조선후기 수선화의 유행과 쇠퇴
    윤지안 [2018]
  • 조선 후기 燕行과 花卉의 文化史
    이종묵 [2013]
  • 제주도… 수선화… 그 향기가 아득할 정도로 짙다
  • 이큐레이션(E-curation) 역사 수업 - 『유년필독』을 중심으로 -
    최원재 [2021]
  • 연결주의가 적용된 개인학습환경 설계원리 개발 연구
    정다은 [2018]
  • 역사 데이터 내러티브
    최원재 [2020]
  • 디지털 큐레이션 연구동향 분석과 과제: 문헌정보학 분야를 중심으로
    김판준 [2015]
  •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: 문학, ‘수선화 시인들'
    최원재 [2021]
  • 데이터 전처리도 AI의 중요한 요소다
  • 대용량 RDF 데이터의 효율적인 저장방법과 SPARQL 기반 검색방안연구
    오상윤 [2016]
  • 근원 김용준(1904-1967)의 기명절지화 연구
    이인숙 [2019]
  • 교육학에서의 내러티브 가치와 교육적 상상력의 교육
    강현석 [2007]
  • 교육의 변화와 디지털 역량 정책연구
    장은주 [2020]
  • 金昌業・李器之의 중국 문인교유 양상과 특징
    신익철 [2019]
  • [홍영표 박사의 한국의 꽃] 제주 수선화(수선화)
  • [조상제의 태화강 식물도감] 금잔옥대와 몰마농꽃
  • Historical notes on Shui Xian—The Chinese sacred lily