만주 안전농촌을 통해 본 식민지 통치성과 ‘안전’의 역설적 함의

윤영실 2022년
' 만주 안전농촌을 통해 본 식민지 통치성과 ‘안전’의 역설적 함의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Safety Farm Village
  • Songmakyeonunok
  • choi nam-seon
  • colonial governmentality
  • discipline
  • population
  • security
  • sovereignty
  • 규율
  • 송막연운록
  • 식민지통치성
  • 안전
  • 안전농촌
  • 인구
  • 주권
  • 최남선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,520 0

0.0%

' 만주 안전농촌을 통해 본 식민지 통치성과 ‘안전’의 역설적 함의' 의 참고문헌

  • 푸코와 장애의 통치
  • 푸코 효과 : 통치성에 관한 연구
  • 푸코 이후 : 통치성 안전 투쟁
  • 최남선연구
    류시현 [2009]
  • 최남선 기행문의 문화민족주의와 제국협력 이데올로기 - 『송막연운록』을 중심으로 -
    홍순애 [2016]
  • 지배에서 통치로 : 근대적 통치성의 탄생
    이동수 [2021]
  • 조선총독부의 농촌 중견인물 정책 연구
    김민철 [2004]
  • 조선총독부 만주이민정책의 이면 ― 선만척식회사 설립 경위를 중심으로
    조정우 [2014]
  • 전시체제기 동양척식주식회사의 ‘중견인물’ 양성과 농업연성시설
    이규수 [2007]
  • 일제의 조선인 만주이주정책 논쟁
    김기훈 [1998]
  • 일제의 만주지역 자위단 조직과 활용
    이양희 [2016]
  • 일제 말기 식산계와 식민지파시즘
    이경란 [2019]
  • 일본 발전국가의 기원과 진화 : 아이디어와 제도
  • 일본 발전국가 체제와 담론의 전개: 만주국에서 전시 및 전후 일본으로
    이동준 [2018]
  • 일본 농민의 만주 이주, 군(軍)과 민(民) 사이
    김영숙 [2014]
  • 인종주의라는 쟁점 : 푸코와 발리바르
    최원 [2006]
  • 육당 최남선과 식민지의 민족사상
    윤영실 [2018]
  • 어떻게 이런 식으로 통치당하지 않을 것인가? 푸코를 읽는 권력, 신자유주의, 통치성, 메르스
    심세광 [2015]
  • 안전, 영토, 인구
  • 안수길전집 1
    안수길 [2011]
  • 송막연운록
    최남선 [2013]
  • 성의 역사 1
  • 서구학계 근현대 만주 연구의 현황과 전망
    한지현 [2019]
  • 생명정치의 탄생-미셸 푸코와 생명권력의 문제
    진태원 [2006]
  • 생명권력인가 생명정치적 주권권력인가 : 푸코와 아감벤
    양창렬 [2006]
  •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
  • 비판이란 무엇인가/자기수양
  • 비정상인들
  • 미셀 푸코의 권력모델의 변화와 비판의 의미: 전쟁에서 통치성으로
    김용규 [2018]
  • 만주사변 이후 세워진 만주인·조선인 부락에 관하여 : 대둔부락을 중심으로
    현은주 [2000]
  • 만주농업이민 정책을 둘러싼 관동군・조선총독부의 대립과 그 귀결 - 우가키(宇垣) 총독의 구상 및 활동과 관련하여 -
    임성모 [2009]
  • 만주국 한인의 강제이주와 집단부락 연구
    유필규 [2014]
  • 만주국 시기 조선인 이민담론의 시론적 고찰 - 조선일보 사설을 중심으로 -
    김기훈 [2011]
  • 만주 지역 한인 ‘安全農村’ 연구
    김주용 [2006]
  • 만주 모던-60년대 한국개발체제의 기원
    한석정 [2016]
  • 만주 개척 서사에 나타난 애도의 정치학
    손유경 [2009]
  • 동아일보
  • 滿洲移民の入植による現地中国農民の强制移住
    劉含発 [2001]
  • 每日申報/
  • 在滿朝鮮人通信
  • 『중국조선족사료전집』 력사편/이주사 11권
    [2011]
  • 『移民地調査資料』 第二輯
  • ”만주국기 조선인의 만주 이민과 鮮滿拓殖(주)“
    정안기 [2011]
  • ‘요동’의 기억 - 명나라 사행시의 전통과 육당의 <松漠燕雲錄>
    이혜순 [2015]
  • ‘불령선인’에서 ‘개척의 전사’로 —중일전쟁 이후 조선인 만주이민정책의 재편—
    조정우 [2020]
  • The True Foucault
  • The Subject and Power
  • The Question of Biopower: Foucault and Agamben
    Katia Genel [2006]
  • The Nation and Its Fragments: Colonial and Postcolonial Histories
  • Rule by Numbers: Governmentality in Colonial India
  • Race for Empire : Koreans as Japanese and Japanese as Americans during World War Two
  • Make and Let Die: Untimely Sovereignties
  • Legitimacy and Disaster : Responses to the 1932 Floods in North Manchuria
    Wright, Tim [2017]
  • How Michel Foucault Lost the Left and Won the Right
  • Colonial Governmentality