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헌을 통해 본 고혼의례 물질문화의 역사적 배경- 여제와 수륙재의 고혼대상과 상징물이 무속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-

최진아 2022년
' 문헌을 통해 본 고혼의례 물질문화의 역사적 배경- 여제와 수륙재의 고혼대상과 상징물이 무속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-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Confucianism
  • Gohon(lonely soul)
  • Material culture
  • Seonghwang(City God)
  • Yeoje-dan
  • abnormal death
  • buddhism
  • disaster
  • eternalrecurrence
  • infectious disease
  • resentful soul
  • rituals for Gohon
  • shamanism
  • suryukjae
  • yeoje
  • 고혼
  • 고혼의례
  • 무속
  • 물질문화
  • 불교
  • 비정상적인 죽음
  • 성황
  • 수륙재
  • 여제
  • 여제단
  • 역병
  • 영원회귀
  • 원혼
  • 유교
  • 음혼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3,287 0

0.0%

' 문헌을 통해 본 고혼의례 물질문화의 역사적 배경- 여제와 수륙재의 고혼대상과 상징물이 무속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-' 의 참고문헌

  • 「전통수륙의문의 재차와 그 미학」
    이성운 [2016]
  • 호남지역 무당굿놀이의 연행양상과 의미
    이경엽 [2010]
  • 현대 한국의 장례의식에 나타난 죽음관
    송현동 [2006]
  • 현대 한국 원혼의례의 양상과 특징
    송현동 [2010]
  • 한국천주교회사 3
  • 한국종교연구 권1
    윤이흠 [1986]
  • 한국의 샤머니즘
    조흥윤 [1999]
  • 한국과 중국의 성황신앙 비교
    서영대 [2001]
  • 한국 수륙재의 의례와 설행양상
    연제영 [2014]
  • 퇴송굿에 나타난 삶과 죽음의 문제
    황루시 [2000]
  • 친족집단과 조상숭배
    이광규 [1977]
  • 천지명양수륙재의 범음산보집
    지환 [2012]
  • 진군청
  • 중국의 신령
    G.프르너 [1984]
  • 중국의 도교문화
    갈조광 [1993]
  • 중국 성황의 사적 전개와 신앙성격
    박호원 [1996]
  • 죽음의례 죽음 한국사회
    이용범 [2015]
  • 종교와 일생의례
    구미래 [2006]
  • 종교와 그림
    김헌선 [2008]
  • 조선후기 질병사 연구: 조선왕조실록의 전염병 발생 기록을 중심으로
    이규근 [2001]
  • 조선후기 불서간행 연구 : 진언집과 불교의식집을 중심으로
    남희숙 [2004]
  • 조선전기 원혼을 위한 제사의 변화와 그 의미: 수륙재와 여제를 중심으로
    이욱 [2001]
  • 조선전기 수륙재의 설행과 의례
    심효섭 [2004]
  • 조선시대 국가사전과 예제
    이욱 [2000]
  • 조선 전기 유교국가의 성립과 국가제사의 변화
    이욱 [2002]
  • 잡귀잡신 연구
    조흥윤 [1988]
  • 의례의 이해
  • 유교와 무속의 상관관계
    금장태 [1981]
  • 옛무덤의 사회사
    장철수 [1995]
  • 영가천혼범어집
  • 시흥군자봉 성황제
    서영대 [2005]
  • 수륙재 <하단>에 보이는 죽음 형상의 보편성
    홍태한 [2012]
  • 불교의례 재물(齋物)의 중층적 의미― 천도재를 중심으로 ―
    구미래 [2006]
  • 부락제
  • 무속의 관점에서 보는 사회적 약자의 존재성–뒷전의 인물을 중심으로
    황루시 [2018]
  • 마을신앙의 변화와 전승: 구리시 사노동 산치성을 중심으로
    천태현 [2017]
  • 뒷전의 주인공
    황루시 [2021]
  • 넋건지기굿 무구의 의례적 기능과 상징 -군산지역 강신보살의 사례를 중심으로-
    최진아 [2015]
  • 남해안지역 굿놀이의 양상과 비교
    김형근 [2010]
  • 관혼상제에 투영된 유교적 세계관
    김미영 [2009]
  • 고려시대의 성황신앙과 지방통치
    김갑동 [1991]
  • 거리굿의 전형성과 특징
    윤동환 [2011]
  • 강진일보
  • 감로탱
    강우방 [1989]
  • 감로도에 나타난 수륙재의 장엄 설단과 구성
    윤동환 [2015]
  • 감로도상의 조성배경과 천도대상의 변화
    연제영 [2003]
  • 鶴峯先生文集
  • 韓國巫俗論集
    秋葉隆 [1983]
  • 雲水壇
  • 銀臺條例
  • 部落祭
  • 輿地圖書
  • 竹陰集
  • 禮記
  • 眞言勸供(언해)
  • 牧民心書
  • 洪武禮制
  • 法界聖凡水陸勝會修齋儀軌
  • 沙溪全書
  • 水陸無遮平等齋儀撮要
  • 梅月堂集
  • 東國輿地備考
  • 朱子의 厲鬼論
    박성규 [2003]
  • 朱子語類
  • 朝鮮王朝實錄
  • 朝鮮巫俗의 硏究(下)
  • 朝鮮巫俗의 硏究(上)
  • 朝鮮巫俗文化圈
    秋葉隆 [1935]
  • 朝鮮巫俗の硏究 (下)
  • 春官通考
  • 春官志
  • 日省錄
  • 弘齋全書
  • 寒岡集
  • 宮中撥記
  • 天地冥陽水陸齋儀纂要
  • 大刹四明日迎魂施食儀文
  • 國朝五禮通編
  • 國朝五禮儀
  • 厲祭謄錄
  • 冥間鬼神
    馬書田 [2012]
  • 儀禮的 관점에서 甘露幀畵와 水陸畵의 內容 비교
    연제영 [2007]
  • 五種梵音集
  • 五洲衍文長箋散稿
  • 亂中雜錄
  • 『국조오례의(國朝五禮儀)』와 그 속보(續補)편의 편찬과정 및 내용
    안유경 [2010]
  • 『靑莊館全書』
  • 『經國大典』
  • 『東文選』,
  • 『東國李相國集』
  • 『星湖僿說』
  • 『新增東國輿地勝覽』,
  • 『宋子大全』
  • 『三國遺事』,
  • 『三國史記』,
  • 《高麗史》,
  • 《南史》
  • ‘좋은 죽음’과 유학의 죽음관
    김명숙 [2009]
  • ‘일생’에 대한 불교적 관념과 불교 일생의례의 특성
    구미래 [2009]
  • ‘옷’을 매개로 한 불교 상례의 의례구조와 특성
    구미래 [2007]
  • <설양굿>의 연극적 구조와 기능
    이경엽 [1997]
  • 17세기 여제의 대상에 관한 연구
    이욱 [1999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