처용설화 속 간통 서사에서 질병의 은유 읽기 - ≪삼국유사≫ <처용랑 망해사조>를 중심으로-

조희정 2022년
' 처용설화 속 간통 서사에서 질병의 은유 읽기 - ≪삼국유사≫ <처용랑 망해사조>를 중심으로-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Cheoyongga(처용가)
  • Cheoyongrang Manghaesa(처용랑 망해사)
  • Samkukyusa(삼국유사)
  • Story of Cheoyong(처용설화)
  • a plague
  • adultery
  • disease
  • metaphor
  • narrative
  • 간통
  • 삼국유사
  • 서사
  • 역병
  • 은유
  • 질병
  • 처용가
  • 처용랑망해사
  • 처용설화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3,155 0

0.0%

' 처용설화 속 간통 서사에서 질병의 은유 읽기 - ≪삼국유사≫ <처용랑 망해사조>를 중심으로-' 의 참고문헌

  • 혼인과 연애의 풍속도
  • 향가 해독법 연구
    김완진 [1980]
  • 향가 창작 동인으로서의 ‘아름다움’과 신라인의 미의식
    김혜진 [2008]
  • 향가 서정 여행
    신재홍 [2016]
  • 한한대사전 4권
  • 한국문학사의 쟁점
    김진영 [1986]
  • 표준국어대사전
  • 처용설화의 사회서사와 소통 효과
    손석춘 [2018]
  • 처용가의 감각
    신재홍 [2012]
  • 질병과 함께 춤을-아프다고 삶이 끝나는건 아니니까
  • 은유로서의 질병
  • 온전하지 못한 몸과 마주보기: <도천수관음가>와 <처용가>의 질병, <노처녀가>의 장애, <덴동어미화전가>의 사고
    서철원 [2021]
  • 역신의 상징적 의미와 <처용가>의 감동 기제
    박일용 [2016]
  • 역신(疫神)의 정체와 신라<처용가>의 의미 고찰
    황병익 [2011]
  • 아파도 미안하지 않습니다-어느 페미니스트의 질병 관통기
  • 신라인의 마음, 신라인의 노래-이야기와 함께 만나는 향가의 세계
    이형대 [2012]
  • 신라 가요 <처용가>와 <처용설화>의 현대시 수용 양상
    윤석산 [1999]
  • 분노와 용서-적개심, 아량, 정의
  • 문학비평용어사전 (하)
  • 문학교육을 위한 고전시가작품론
    염은열 [2019]
  • 문명과 질병
  • 다음(Daum) 백과사전
  • 處容의 實體와 「處容歌」
    박인희 [2004]
  • 處容 談論의 推移와 그 傳承의 問題
    박경우 [2008]
  • 『삼국유사』에 나타난 여성상 -향가 및 향가 배경설화를 중심으로-
    최선경 [2008]
  • 「<처용가>와 <도량 넓은 남편>의 관련 양상 및 그 문학치료적 의 의」
    정운채 [2006]
  • ≪삼국유사≫
  • “三國遺事”소재 향가 및 배경설화에 나타난 ‘女性 疎外’의 양상
    신은경 [2005]
  • ‘처용랑 망해사’조의 서사적 이해와 처용가의 기능
    이완형 [1999]
  • ‘처용’ 담론에 나타난 사회적 모순과 굿문화의 변혁성
    임재해 [1999]
  • ‘되기’의 문학과 생성적 텍스트
    서명희 [2005]
  • <처용가>의 시적 정서와 서사물의 구조
    이승남 [2003]
  • <처용가>의 서사적 이해
    나경수 [1992]
  • <처용가>와 관련설화의 생성기반과 의미
    김학성 [1995]
  • <처용가>에 대한 정신분석적 검토 – 라캉의 ‘주체의식’ 이론을 중심으로
    신은경 [1997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