‘동학(東學)’ 개념 탄생의 사상사적 의미 – 창도(創道)에서 창학(創學)으로-

' ‘동학(東學)’ 개념 탄생의 사상사적 의미 – 창도(創道)에서 창학(創學)으로-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Creating a new Learning
  • Creating a new Way
  • Eastern Learning (Tonghak)
  • Literature Eastern Learning.
  • Oral Eastern Learning
  • choijewoo
  • gyeongju
  • namwon
  • 경주(慶州)
  • 남원(南原)
  • 동학(東學)
  • 문헌동학(文獻東學).
  • 주문동학(呪文東學)
  • 창도(創道)
  • 창학(創學)
  • 최제우(崔濟愚)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98 0

0.0%

' ‘동학(東學)’ 개념 탄생의 사상사적 의미 – 창도(創道)에서 창학(創學)으로-' 의 참고문헌

  • 표영삼의 동학이야기
    표영삼 [2014]
  • 최제우의 철학
    김용휘 [2012]
  • 지구지역학으로서의 ‘동학’
    조성환 [2021]
  • 조선에서 독창적으로 발생한 두 가지 큰 물건
    유재풍 [1921]
  • 전라도 남원 동학농민혁명
    임형진 [2015]
  • 유럽을 지방화하기
  • 용담유사 연구
    윤석산 [2006]
  • 수운 최제우 저작의 연대기적 검토
    김기승 [2002]
  • 삼신설(三新說)
    정계완 [1911]
  • 동학교조 수운 최제우
    윤석산 [2004]
  • 동학경전의 편제와 내용(4) - 「안심가」
    표영삼 [1985]
  • 동학경전의 편제와 내용(10) - 「논학문」(하)
    표영삼 [1985]
  • 동학경전 해의(중)
    표영삼 [1983]
  • 동학경전 해의(상)
    표영삼 [1983]
  • 동경대전 1-나는 코리안이다
    김용옥 [2021]
  • 도원기서
    윤석산 [2012]
  • 남조선 뱃노래
    김지하 [2012]
  • 구술문화와 문자문화
  • 고운 최치원의 철학‧종교사상
    최영성 [2009]
  • 崔致遠 사상에서의 보편성과 특수성의 문제 -東人意識과 同文意識을 중심으로-
    최영성 [2009]
  • 『용담유사』의 역사적 이해 - 최제우 사상의 발전과정을 중심으로
    김기승 [2001]
  • 『대선생주문집』의 성립연대에 대하여 – 도올 김용옥의 학설에 대한 비판적 고찰
    조성환 [2021]
  • Salvation through Dissent: Tonghak Heterodoxy and Early Modern Korea(UCLA Philosophy and Religion Series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