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학교 증명 수업에서 학생들의 연역적 추론 분석: 의사소통(commognition) 관점을 중심으로

' 중학교 증명 수업에서 학생들의 연역적 추론 분석: 의사소통(commognition) 관점을 중심으로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Axiom
  • Commognition perspective
  • Deductive Reasoning
  • Definition
  • Mathematical justification
  • Proof teaching
  • 공리
  • 수학적 정당화
  • 연역적추론
  • 의사소통 관점
  • 정의
  • 증명 지도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645 0

0.0%

' 중학교 증명 수업에서 학생들의 연역적 추론 분석: 의사소통(commognition) 관점을 중심으로' 의 참고문헌

  • 효과적인 수학적 논의를 위해 교사가 알아야 할 5가지 관행
    방정숙 [2013]
  • 확률 문제를 해결하는 수학 영재 수업에서의 담론에 관한 연구
    구나영 [2014]
  • 탐구형 기하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중학교 2학년 학생의 증명활동에 관한 사례연구
    조완영 [2000]
  • 초등학생의 수학적 정당화에 관한 연구
    김정하 [2010]
  • 증명의 본질
  • 증명에서 연역 체계 이해에 관한 연구
    강정기 [2013]
  • 증명 문제해결 교실 담화에서 교사 발화 및 사회 수학적 규범 분석
    변규미 [2019]
  • 중학교 수학에서 기하 내용 취급에 관한 연구
    김흥기 [2004]
  • 중학교 수학 영재아의 수학적 정당화에 대한 인식과 특성에 관한 연구
    홍영석 [2021]
  • 중학교 수학 교과서 분석을 통한 정당화 방안 탐색
    이환철 [2011]
  • 중학교 기하에서의 공리와 증명의 취급에 대한 분석
    이지현 [2011]
  • 중학교 1학년 직관기하영역에서의 증명요소분석
    조완영 [2003]
  • 정의 없이 정의 가르치기: 예비교사는 어떻게 자신이 배웠던 방식과 다르게 가르칠 수 있는가?
    이지현 [2014]
  •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삼각형의 합동조건의 도입 비교
    강미광 [2010]
  •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학 수업에서의 담화 분석
    김미주 [2014]
  • 수학적 토론에서 의사소통적 갈등과 인지 갈등의 관계
    오택근 [2014]
  • 수학교실담론의 삼각 분석
    조진우 [2017]
  • 수학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핵심역량의 국제적 동향 탐색
    김선희 [2015]
  • 수학과 교육과정. 교육부 고시 제 2015-74호 [별책 8]
  • 수학 교육에서 ‘증명의 의의’에 관한 연구
    류성림 [1998]
  • 수학 교사들의 증명에 대한 인식
    방정숙 [2005]
  • 벡터 수업의 담론 창의성 분석
    오택근 [2014]
  • 반힐레 이론과 GSP를 활용한 중학교 기하영역에 관한 연구 - 8-나 단계의 사각형의 성질을 중심으로 -
    이창현 [2010]
  • 담론적 관점(discursive approach)에서 중1 수학 교과서의 그래프 정의 분석
    김원 [2018]
  • 기호적 중재를 통한 사각형의 성질 학습 사례 연구 - 성질 사이의 관계에 관한 추론을 중심으로
    노정원 [2019]
  • 귀납적 추론과 연역적 추론 중심의 교수방법이 유아의 수학능력, 수학적 성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
    김은정 [2018]
  • 국어ㆍ수학 통합 교과 원리로서 ‘정당화’에 대한 탐구 - 툴민의 논증 구조에 따른 분석을 중심으로
    이선영 [2013]
  • 교수학에 제시된 정의에 관한 연구
    조영미 [2001]
  • 고등학교 명제 단원에서 반례 활용에 관한 교수·학습 자료 개발 연구
    오세현 [2016]
  • When the rules of discourse change, but nobody tells you: Making sense of mathematics learning from commognitive standpoint
    Sfard, A. [2007]
  • To be or not to be minimal? Student teachers views about definitions in geometry
  • Thinking as communicating: Human development, the growth of discourse, and mathematizing
    Sfard, A. [2008]
  • There is more to discourse than meets the ears : looking at thinking as communicating to learn more about mathematical learning
    Sfard , A [2001]
  • Theory of didactical situations in mathematics: Didactique des mathématiques 1970–1990
  • The van Hiele theory through the discursive lens: Prospective teachers’ geometric discourse
    Wang, S. [2011]
  • The teaching of geometry
  • The rules of the game
    Gernes, D. [1999]
  • The notion of proof in the context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
  • Teaching and learning proof across the grades: A K-16 perspective
  • Students’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of deductive proof
  •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
    Harel, G. [2007]
  • Proof and proving in mathematics education: The 19th ICMI Study
  • Professional noticing of children’s mathematical thinking
  • On two metaphors for learning and the dangers of choosing just one
    Sfard, A. [1998]
  • Mathematics as an educational task
  • Mathematical mindsets: Unleashing students’ potential through creative math, inspiring messages, and innovative teaching
    Boaler, J. [2016]
  • Justifying and proving in the mathematics classroom
    Almeida, D. [1996]
  • IB DP 수학 내용 및 교수・학습 특징에 근거한 고등학교 수학교육의 방향
    김선희 [2020]
  • How does language impact the learning of mathematics? Comparison of English and Korean speaking university students’ discourse on infinity
    Kim, D. J. [2012]
  • Geometry between the devil and the deep sea
  • Encyclopedia of psychology
  • Developing 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
  • Birkhoff공리계의 교수학적 분석
    권석일 [2009]
  • 5 practices for orchestrating productive mathematics discussions
  • "평행사변형은 사다리꼴이다."에서 '이다'에 대한 고찰
    이규희 [2016]